뒤늦게 본 '그녀'

2021.11.07 11:17

thoma 조회 수:646

Her, 2013

01da180ccaec4b90a44119a2d26e459f15604872

재개봉 때 포스터네요. 

이 영화 역시 오래 미루고 있다가 최근에 시리즈온 통해서 봤습니다. 극장에서 봤으면 휙휙 지나가는 자막에 내용 이해가 어려웠지 않았을까 합니다. 이런 서비스로 집에서 보는 큰 이점이 대사 다시 확인할 수 있다는 것, 되풀이 보기가 쉽게 가능하다는 것인 듯합니다. 

영화의 앞과 뒤를 관통하는 사건은 아내와의 이별 후유증을 겪는 주인공 테오도르가 이혼을 잘 마무리하고 감정적으로도 매듭을 짓는 것입니다. 그 사이에 새로운 사랑을 경험하는데 대상이 인공지능이라는 것이죠.

사랑의 진행은 다 비슷합니다. 외로움이 가속 기능을 하기도 하면서, 서로를 알아가는 설렘과 기쁨 속에서 달리다가 어느 순간 나나 상대방에 대한 의심이 생기기도 하고, 그런 것을 대충 넘겼다고, 이겼다고 생각하고 행복한 관계라는 믿음 속에 머무는 시간이 있고, 그리고 이어지는 관계의 변화. 사랑의 성격을 포함해서 모든 것은 변화하기 마련이죠. 

인공지능인 사만다와의 사랑도 이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인간과의 사랑에서는 관계의 변화 이유를 서로의 결점 때문이라며 비난과 성냄을 거듭했는데 사만다는 변화의 양상을 이해하고 이해시키려 합니다. 깊이 사랑하나 이 이별은 변화의 양상을 수용하는 과정임을 테오도르도 납득하게 되고요. 뭔가 차원이 다른 공격을 해 오니 차원이 다른 사고 방식으로 접근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나 할까요. 

사만다는 떠날 즈음 이렇게 말해요. '사랑할수록 사랑할 수 있는 마음의 용량이 커진다, 물리적인 차원을 떠나고 시공 너머에 있지만 언제나 사랑하며 언젠가 만날 수 있다.' 이런 이야기들은 과학적인 이유로 생긴 인공지능의 운명을 연인 사이의 언어로 표현한 것이지만 동시에 거의 신적인 사랑의 언어 차원으로 들리기도 합니다. 제가 익숙한 것이 sf의 문법이 아니라 종교적인 문법이라 바로 그쪽을 연상한 것인지도요.

마지막에 친구와 함께 건물 옥상으로 올라 갑니다. 친구와는 주로 실내에서 만나다가 밤하늘과 주변 경치를 배경으로 시야를 넓히는 것이죠. 이 친구 역을 에이미 아담스가 맡았는데 배우들 모두 연기가 뛰어나지만 참 자연스럽고 소박하더군요. 뭔가 마음을 편하게 해 주는 연기랄까, 보기 좋은 연기였어요. 이분이 '어차피 사람들이 나한테 실망해대잖아, 신경 안 쓸래, 까짓거 얼마 산다고. 잠깐 머물 뿐인데, 즐겁게 살고 싶어' 똑같진 않지만 이 비슷한 대사를 칠 때 저도 조금 기운을 받았습니다.

스칼렛 요한슨의 연기는 '결혼 이야기'와 더불어 최고로 치고 싶어요. 정말 매력적인 허스키 보이스에 설득력 있는 감정 연기였습니다. 


1. 의상이나 건물 내부 등 디자인 색상이 파스텔톤 핑크가 많더군요. 그리고 남자들의 배바지가 눈에 들어왔어요. 근미래를 표현하자니 요즘 의상과 조금의 차별을 두고자 그랬을까. 이 우주는 기후위기나 빈곤문제, 인종문제는 대략 해결한 것일까요. 사람들 옷차림을 보면 마치 실리콘벨리 주변 사람들처럼 크로스백을 매고 화려하진 않으나 세련되었고 먹고 사는 문제는 별 고민 없어보이더군요. 

2. 주인공의 직업 말인데요, 도대체 손편지대행업이란 설정이 납득이 안 되었습니다. 손편지는 '직접 쓴다' 땜에 존재의의가 있는데 그걸 대행시키고 프린트해서 보낸다니.

아마 남의 편지만 써 주다가 전처에게 자신의 편지를 보낸다는 의미 있는 마무리를 염두에 둔 것일까, 그래도 이상한 직종입니다.

3. '아임 유어 맨'이라는 영화가 몇 달 전 개봉했는데 이 영화와 어우러 보면 좋다고 합니다. 저도 가격 좀 내리면 보려고 찜해 뒀어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2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7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61
117860 고스트버스터 라이즈를 보고... 사팍 2021.12.01 354
117859 베네데타/나폴리 오시멘 이적 [2] daviddain 2021.12.01 367
117858 한국 드라마의 불필요하게 잔인한 연출 (스포 포함, 잔혹 묘사, 오징어게임, DP, 지옥) [12] tom_of 2021.12.01 1035
117857 예쁜 브로치라니 [12] Lunagazer 2021.12.01 703
117856 존재하는 것만으로 혐오와 차별을 당하는 건 [2] 적당히살자 2021.12.01 497
117855 정치와 종교와 사상 [3] 예상수 2021.12.01 275
117854 나를 찾아줘 (2014) [7] catgotmy 2021.12.01 474
117853 슬로베니아, 얀센 백신 영구 퇴출..사망 인과 확인 [4] driesvannoten 2021.12.01 819
117852 이수정 비판 [3] 사팍 2021.12.01 801
117851 신춘문예 희곡 관련해서 각 신문사마다 특징이 있을까요? [2] 한동안익명 2021.12.01 398
117850 [드라마바낭] 본격 스몰빌 대막장 스릴러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을 봤습니다 [22] 로이배티 2021.12.01 857
117849 신문수화백 별세 [4] 사팍 2021.12.01 402
117848 저도 웨이브에서 왓치맨 봤어요. [7] woxn3 2021.12.01 442
117847 만달로리안 시즌2 (스포일러) [6] skelington 2021.11.30 462
117846 [넷플릭스]콜린: 흑과 백의 인생 [2] 쏘맥 2021.11.30 354
117845 집에 찌개나 국이 남았을때 [10] catgotmy 2021.11.30 640
117844 신비한 알고리즘의 세계 [2] 사팍 2021.11.30 401
117843 전원일기 시골아낙 1, 2, 3 [4] 왜냐하면 2021.11.30 447
117842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2] 조성용 2021.11.30 792
117841 여성 성형 기준으로 남성을 성형하는 한국 tom_of 2021.11.30 58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