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인천에 다녀왔는데, 그곳 정도의 바다를 보면서도 육지 응석받이가 먼 바다에 나가 냉정한 선생님과 만나는 뭉클한 감정을 느꼈습니다. 
대양은 인간화되지 않는 리듬을 펼치지 않고 어질지도 않아요. 인간의 낭만화라든가 어리광이 통하지 않습니다.
나이들수록 느끼는 건데 자연은 엄한 선생님 같달까,  멀미/긴장을 유발합니다. 저는 육지라는 확고한 바닥에서 사는 존재이니까요. 제가  바다를 어떻게 맞이하냐 하면,' '나는 누구인가, 나의 현위치는 어디인가?' 라고 던지는 기타 등등의 질문을 받는 점에 있거든요.

대양의 파도는 저에게 1. 의식적으로 생각하기 2. 무의식적으로 파도에 동조하기 라는 두 가지 선택 사이의 복논리를 강요합니다. 정신 없는 가운데 있는데 뭐라도 해야 할 것 같은 자극을 한달까요.  가급적 굴복하지 않으려 버티지만 결국 하릴없이 무릎꿇고 머리 조아리게 됩니다. 인간의 시간은 무력한 거예요. 그런 와중에 1과 2의 교묘한 배치가 선생님의 냉정함에 대꾸하는 방식이 되는 거고요.

사실 2가 더 어려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만 한다면 버틸 만합니다.. 하지만 드림타임 dreamtime이란 게 간단하지 않잖아요. 꿈에는 1의 개입도 있는 거고요. 양자택일은 상대적으로 쉽지만 저는 싫습니다. 비벼서 엮는 무의식화된 어떤 태도, 의식의 무의식화에 저항감을 느끼는 면이 제게 있는 게 분명합니다. 워낙 이성의 패스를 받고 있으니까요.( hehe) 그러므로 오히려 1의 개입,  타이밍, 지속, 2에 대한 조율 같은 것이 어렵군요. 

뻘덧: 좀전에 '코라시아' 라는 용어를 처음 접했는데요,  코리아가 아시아를 잡는다는 뜻인가요? 차라리 '아시아코'라는 게 낫겠구만~ - -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