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냥 공장 소녀'를 봤어요.

2022.01.17 21:40

thoma 조회 수:562

성냥 공장 소녀 Tulitikkutehtaan tyttö, 1990  

177389504DAD995309

핀란드 감독 아키 카우리스마키의 영화입니다.

위 포스터에서 뭔가 실험하고 있는 듯 찍힌 소녀가 주인공 이리스입니다. 이리스는 성냥 공장에서의 단순한 노동이 끝나면 귀가 길에 빵을 사서 엄마는 담배만 계부는 tv만 끼고 사는, 사지멀쩡하고 게으른 부모와 먹을 저녁 식사 준비를 해야합니다. 설거지까지 마치면 유일한 낙인 댄스장으로 가서 즐겨보고자 하지만 왜소하고 지쳐 보이는 이리스에게 아무도 춤을 청하지 않아요. 자기 봉급에 손을 대(본인 돈인데 봉투에 돈이 빈다고 계부에게 따귀를 맞네요) 마련한 원색의 옷을 입은 날 어떤 남자와 하루를 보냅니다만 이후의 첫데이트에서 결별당하고 임신을 알게 되네요.....숱하게 많이 본 이야기입니다. 

이리스의 엄마는 딸을 착취하는 생활에 적응되어 있고 매우 이기적이며 이리스에게는 소통할 친구조차 없습니다. 매일 반복되는 일터의 단순 노동과 가사 노동에서 아무 보람도 기쁨도 느낄 수 없고 자기만의 공간도 없어요. 영화의 중반을 넘어서며 한가닥 희망이 짓밟히면 이리스는 완전히 절망하는 사람이 됩니다. 끝에 이리스가 하는 행동은 짐승이 구석에 몰렸을 때 자신을 보호하려는 몸짓 같습니다. 

이야기만 보자면 삭막한 환경에서 외로움이라는 병에 시달리다가 절망적 사건으로 끝맺게 되는 젊은 여성이야기, 라는 흔한 영화 같지만 '성냥 공장 소녀'에는 특별한 면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점은 영화에 대사가 정말 적다는 것입니다. 꼭 필요한 말 이외엔 어지간하면 다들 말이 없어요. 심정을 대사로 드러내는 것은 이리스가 한 번 정도 있었던 것 같고 그 외에 제대로 속을 표현한 것은 편지를 쓰며 독백처리가 되는 장면이 있을 뿐, 주고 받는 대화다운 대화는 없는 영화입니다. 이렇게 말을 안 나누니 서로 눈을 마주치지도 않게 되고 표정이 다양할 일도 없어요. 대부분 배우들이 시종 무뚝뚝한 표정으로 연기를 하고 전체적으로 영화가 건조한 느낌을 줍니다. 그런데 이런 영화의 메마름으로인해 이리스가 유일하게 뺨을 다 적시며 우는 장면이나 밤늦은 시간 식물원에 혼자 앉아 있는 장면 같은 것이 더 강렬하게 다가오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영화가 삭막하니 종종 사용되는 유행가인 듯한 노래도 귀에 확 다가 옵니다. 내용의 안타까움과 격렬함을 침묵과 무표정으로 감싼 영화라고나 할까요. 좋은 영화였어요.

유럽 영화 중에 음악 사용 안 하고 조용한 일상이 길게 인물들의 연기만으로 진행되는 영화가 있는데 보면 또 보게 되지만 시작하기까지 작정하고 봐야하는 부담감이 있지요. 이 영화도 그런 영화와 톤이 비슷하지만 이건 70분 정도의 짧은 길이라 충분히 흥미를 유지하며 볼 수 있었습니다. 

감독의 '르 아브르'를 좋게 본 기억이 있어 왓챠에 있길래 찜해 두었다가 본 영화입니다.   

핀란드는 사우나가 유명하고 무민의 나라인데 이 영화는 그런 따뜻함이나 몽글몽글함은 느낄 수 없네요. 인접한 같은 스칸디나비아국인 스웨덴의 선진국스러움보다 다른 인접국인 러시아의 소도시스러움이 더 많이 느껴졌습니다. 지금부터 30년도 더 된 영화긴 합니다만. 변두리 공단 동네라 쇠락한 느낌이 들고 배우들의 외모도 뭔가 러시아인 같은? 모두 가 보진 못했고...소설이나 영화를 통한 이미지일 뿐이죠. 

핀란드 사람들이 행복 지수 조사에서 자국이 선두라는 말을 들으면 '우울한 사람은 이미 자살해서 그런거 아냐?' 라든가 '우리가 말하기 싫어 해서 불행하다는 말을 안 해서 그런거 아냐?' 라고 한다는 농담이 있답니다. 전반적으로 한국 사람 못지 않게 뚱하고 비사교적이라는 풍문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4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3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74
118937 노래하는거 들으니 노래할 기분이 안나는군요 [2] 가끔영화 2022.02.22 300
118936 코로나 확진자 15만 돌파.. [8] 으랏차 2022.02.22 937
118935 시나리오 합평에서(황당대사 두번째) [3] 사팍 2022.02.22 310
118934 (중드)대당여법의 [2] 왜냐하면 2022.02.22 323
118933 자가키트 음성 [10] 채찬 2022.02.22 574
118932 나는 친구가 적다 (2011) TVA [4] catgotmy 2022.02.22 347
118931 현재 우리네 코로나 백신 상황이랑 똑같네요 [1] Tomof 2022.02.22 735
118930 playz 산 잡담 [10] 2022.02.22 684
118929 나이키 광고 feat 에릭 칸토나 [4] daviddain 2022.02.22 457
118928 선입견이 정말 무섭네요. 제 나름대로 진지하게 써본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후기 [6] crumley 2022.02.22 1682
118927 시간이 지나고 나면 다 별 거 아니게 될 거 같은데 [3] 예상수 2022.02.22 426
118926 궁금한게 있는데 이낙연이 경선에서 밀린 이유가 뭔가요? [16] 하워드휴즈 2022.02.22 1085
118925 잊고있었는데 오늘은 정말 중요한 날이었습니다 [6] catgotmy 2022.02.22 475
118924 어제 토론 후 윤석열에 대한 반응은 어떤가요? [15] Sonny 2022.02.22 1052
118923 음모론 하니 생각난 어제 대선토론 [3] skelington 2022.02.22 482
118922 이런거 사면 사치와 향락으로 망하게될까요 [30] 채찬 2022.02.22 975
118921 탈퇴합니다~ [19] Tomof 2022.02.22 1089
118920 시나리오 합평을 하다가...(황당 대사) [5] 사팍 2022.02.22 382
118919 킬라킬 (2013) [4] catgotmy 2022.02.22 211
118918 얼른 계산을 못하는 나 어리벙벙 [4] 가끔영화 2022.02.22 24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