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브 마이 카

2022.04.27 18:27

thoma 조회 수:553

마음가는 대로 감상이니 감안하시고, 스포일러는 의식 않았으니 역시 감안하시기 바랄게요.

Drive My Car, 2021

25f7f5a8664305e7836c36b87716b4d55968ef7b

오프닝 크레딧이 나오는 시간이 영화 시작 후 40분 지나서입니다. 어 이제사 나오나, 하고 시간을 보니 그러네요. 거기까지가 주인공 가후쿠에게 치명상을 입힌 아내 오토와 함께 살던 장면이자 아내의 죽음이라는 사건이 있는 전사이니 구분해 주는 역할도 하게 됩니다. 제목이 저럼에도 영화를 보기 전엔 몰랐는데 이 영화 일종의 로드 무비네요. 도쿄에서 횡단해서 서쪽에 있는 히로시마로, 히로시마에서 종단해서 북쪽인 홋카이도로. 그리고 극중극이 매우 중요해서 저는 이 영화가 매개체를 통해 고통을 직시하면서 매개체를 통해 그 고통을 견디는 방법을 찾는 이야기로 봤습니다. 우리가 영화(이 영화에선 연극이지만)를 보는 것도 이와 성격이 같은 행위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차 역시 매체라고 할 수 있겠죠. 내 소중한 차를 타인에게 허락해 나가는 과정으로 진행되다가 나중에는 그냥 완전히 내주는 방식으로요. 


아내 오토와 관련된 부분에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입김을 강하게 느꼈습니다. 원작은 읽지 않았지만 하루키의 이전 작품에서 봤던 여성에 대한 막연하고도 알 수 없음에 따른 신비화와 섹스가 중요하여 이야기 만들기를 연결짓는다거나 하는 것이요. 대표적으로 '아내에겐 들여다 볼 수 없는 어두운 소용돌이가 있었어' 같은 표현이 하루키의 두고 쓰는 문자라 그랬는데 사실 이 영화에서 저에게는 가장 이입이 어려운 부분이 이런 하루키의 강렬한 향기가 엄습하는 대목들이었습니다. 게다가 그 전생이 칠성장어인 여학생 등장하는 스토리는 강렬한 상징성만큼이나 강렬한 거부감이 ㅠㅠ.(일본 사람들의 이래저래 어쨋거나 장어 사랑! 그리고 오래 전에 본 이마무라 쇼헤이 감독의 '우나기'도 아내의 불륜으로 시작했다는 게 떠올랐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운전 기사인 미사키의 사연이 더 설득력 있게 다가오더군요. 두 사람이 겪는 마음의 고통이 처절함으론 우열을 가리기 어렵지만 가후쿠보다 훨씬 현실성 있고 생생하게 아픈 이야기였습니다.


카메라가 차 안에 있을 때보다 밖에서 차가 움직이는 걸 보여 주는 장면이 좋았습니다. 인물들이 대화하는 장면보다 풍경 속에 그냥 들어가 있거나(입엔 담배를 물고) 말없이 이동할 때가 더 좋았고요. 솔직히 대사를 아주 조금만 줄였으면 좋았을 텐데 싶은 장면들이 있었습니다. 칸 영화제에서 각본 상 받은 영화를 보며 이게 무슨 생각이람. 저의 마구잡이 생각이지만 대사가 의미심장하면서 길이도 꽤 긴 장면들이 있어서 현실에서 저런 대화가 오간다면 기억해야 할 중요한 얘기임에도 참 기억하기 어려울 것인데 싶더라고요. 길게 주고받는 대화가 의미심장하게 유기적으로 잘 엮여 있기 때문에 각본 상을 받은 것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요. 저는 생각해 봅니다. 깊이 있는 대사를 곱씹기 위한 것이 우리가 영화를 재관람하게 하는 중요한 이유가 될까. 영화는 대화 장면을 놓고 볼 때 현실과 가장 비슷한 시간 체험을 하는 예술 같은데 대사가 의미심장하고 길다면, 그래서 관객이 충분히 대사를 읽어내기(기억하기) 어려웠다면 좋은 체험이랄 수 있을까. 무슨 소리, 전통적인 연극에선 영화보다 대사의 역할이 더 크지 않나. 무슨 소리, 연극은 '희곡'이라는 문학 장르와 뗄 수 없는 관계로 따로 대사만 향유되기도 하니 다르지 않을까. 여기까지 엄벙덤벙 생각해 봅니다.


영화가 끝 난 다음에 생각해 보니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이 이 영화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야심이랄까 스케일이 생각보다 컸습니다. 칠성 장어 소녀의 분명한 자백과 더불어 왜 하필 히로시마인가, 왜 배우들은 다양한 아시안으로 구성되어 제각각의 언어로 대사를 치게 하는가, 게다가 한국인 배우의 중요한 역할이나 마지막을 부산 장면으로 끝내는 것을 보면요. 


가후쿠가 히로시마를 구경시켜 달라니 미사키가 쓰레기 처리장으로 데려가는데, 멋지던데요. 과연 관광지로 손색이 없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가후쿠가 묵는 숙소도 분위기 좋았는데 창이 한 면이라 춥겠습디다. 

한국인 부부는 그림같은 집에 그림같은 개와 그림같은 가정을 이루고 살더군요. 그래서 보는 한국인 입장에선 좀 한국인 안 같았습니다. 

e8dd06396c6474168034f1e14f18aa78287ad95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8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0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67
119943 [벼룩] 잡다한 것들 팔아요.(향수, 씹는담배, 화장품, 기타 등등) [8] budva 2010.08.29 3923
119942 유튜브 올타임 최다 클릭 [4] 가끔영화 2010.08.29 3014
119941 자기전 요것조것.. [4] 서리* 2010.08.30 2538
119940 지금 구글에 까만 리본. [2] mithrandir 2010.08.30 3871
119939 호주 태즈매니아 가보신 분 계세요? [2] 프레데릭 2010.08.30 2545
119938 어제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 봤어요. [2] Linko 2010.08.30 2444
119937 [시국좌담회] 뜬금없이 3회기 복기. [2] nishi 2010.08.30 2104
119936 듀게에서 글쓴 분을 짐작하게 될 때...? [11] 모그 2010.08.30 2829
119935 [듀나in] 컴퓨터를 구입하려고 해요..델과 조립피시... [8] 주근깨 2010.08.30 2305
119934 자야 하는데 잠이 안 올 때 어떻게 하십니까요들? [12] 새옹지마 2010.08.30 2676
119933 늦은 악마를 보았다 감상... (스포일러... 있으려나?) [5] jikyu 2010.08.30 3206
119932 디카 사진 인화 자주 하시는 분 계십니까 [4] august 2010.08.30 2667
119931 [바낭] 왜 그녀들은 [7] 01410 2010.08.30 3454
119930 가장 현명한 이별에 관하여 [7] 질문맨 2010.08.30 5049
119929 [노닥노닥 사진] 빛기둥 놀이 [1] 바오밥나무 2010.08.30 2449
119928 남자의 자격과 무한도전 [10] being 2010.08.30 5264
119927 이자벨 아자니 대신(?) 엠마 드 칸니스 [1] 01410 2010.08.30 2209
119926 죽을 때까지 좋아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음악 장르, 무엇인가요? [35] 형도. 2010.08.30 3333
119925 에미상 중계 같이 보실 분 [23] morcheeba 2010.08.30 2287
119924 루이비통 가방을 주웠습니다. -_- [13] 질문맨 2010.08.30 82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