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 유령을 만나는 사람들

2022.04.30 12:57

Sonny 조회 수:290

최근 들어 <태어나길 잘했어>, <스펜서>, <앵커>를 봤습니다. 이 영화들은 각기 톤도 다르고 결말도 다르지만 주인공들이 전부 다 유령을 만납니다. 그들은 유령을 만나고 고통스러워합니다. 유령은 고통스러운 과거를 상기시키는 현상이면서 그 현상이 전혀 치유되지 않았음을 가리키는 현재의 증상이기도 할 것입니다. 누군가는 이 유령을 의학적으로 트라우마가 도져서 개인에게만 보이는 환영이라고 진단할 수 있겠지만, 입장을 바꿔서 생각해본다면 그 유령들은 한 개인의 세계를 완전히 잠식해들어가는 압도적인 의식적 점령이기도 할 것입니다. 내가 나여야 하는데 내가 나일 수 없을 때, 그 고통은 초자연적으로 승화해서 또 다른 자신을 만들어냅니다. 이런 경우 단순히 약이나 상담으로 증상을 호전시키긴 어려울 겁니다. 왜냐하면 과거와 현재가 해결되지 않았으니까요. 상처는 오랫동안 자신을 따라다닙니다. 그 풀리지 않는 울분과 원한은 과연 해소될 수 있는 것인지.


유령이 악령이라면 우리는 그것을 쫓아낼 수 있을 겁니다. 굿이나 구마의식을 통해서 그 외부적 존재를 자신의 영역 바깥으로 밀어내고 본연의 공간을 점유할 수 있겠죠. 그러나 저 세 영화 속의 유령은 전부 다 내면에서 빚어진 것들입니다. 이 경우 인간은 유령과 싸울 수 있을까요. <태어나길 잘했어>에서 주인공 춘희는 유령에게 독설을 퍼붓습니다. <스펜서>에서 다이애나는 계단에서 투신을 하며 정신적 자살을 꾀합니다. <앵커>에서는 전문의의 힘을 빌려 자신의 상처를 대면합니다. 어떤 식으로든 모질고 지독한 에너지를 발휘해서 그 유령으로부터의 탈출을 도모합니다. 유령이 또 하나의 자신이기 때문에 단순히 꺾어서 이겨내는 대상이 아니라 동시에 포용하면서 인정해야하는 대상입니다. 이 부분이 참 역설적이죠. 유령을 유령으로 인정할 때, 자신이 유령을 보고 있고 그와 함께 있다는 것을 인지할 때, 유령을 자신이라고 납득할 수 있을 때 비로서 앞날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 세 영화 중 어느 영화도 극복과정은 만만치 않습니다. 여자들은 다 죽을뻔한 고비를 넘기구요.


어쩌면 유령을 맞닥트리는 그 상태야말로 전환점에 와있다는 신호이기도 할 것입니다. 시달려온 시간이 얼마나 오래되었든 눈앞에 괴이의 형태로 출현한다는 것은 이들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또 다른 희망이니까요. 그렇다면 역으로 현실적인 질문이 따라붙습니다. 유령을 보지 못하는 우리는 유령을 인지하지도 못하는 상태로 평생을 살아가는 것이 아닐지. 춘희, 다이애나, 세라 이 세 인물은 모두 행복하고자 원하면서 자신의 죄를 무의식적으로나마 인지하고 있는, 선량한 이들입니다. 선한 이들이 유령을 봅니다. 자기 자신에게 혹독한 사람들은 과연 유령을 볼까요. 혹은 죄의식이 없을만큼 얇고 평면적인 사람들이 과연 유령을 볼까요. 모든 유령 영화가 유령과 작별하거나 함께 하는 엔딩을 가지고 있다면 현실의 이야기는 훨씬 더 재미없고 섬뜩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유령과 함께 살면서도 남의 유령을 걱정하는 관객들인 우리는 과연 안녕하기는 한 것인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8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69
119821 개역개정 성경의 장점 [4] catgotmy 2022.05.11 381
119820 넷플릭스에서 홍상수 영화 몇 편 챙겨보기 [9] 영화처럼 2022.05.11 1474
119819 허울과 실체 [8] thoma 2022.05.11 598
119818 뒤의 Diotima님의 묻지도 않은 질문 대답 + 가짜 논문... [6] Kaffesaurus 2022.05.11 787
119817 mb정부 인듯 mb정부 아닌 박근혜 정부 같은(다시 대한민국, 반지성주의) [4] 왜냐하면 2022.05.11 615
119816 [신작VOD바낭] 드라이, 앰뷸런스 [10] 폴라포 2022.05.11 358
119815 [왓챠바낭] 한국에서만 좀 어색한 제목의 영화, '시바 베이비'를 봤습니다 [10] 로이배티 2022.05.11 497
119814 시의원 선거에는 돈이 얼마나 들까? [10] 칼리토 2022.05.11 713
119813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2] 조성용 2022.05.11 531
119812 조앤 롤링의 장점 [6] catgotmy 2022.05.11 748
119811 한동훈의 검사와 피의자 놀이 [5] 왜냐하면 2022.05.11 753
119810 양자경의 신작이 국내개봉 안되는 일은 없겠죠? [7] ro2ro2 2022.05.10 488
119809 [영화바낭] 이것저것 자잘한 영화 잡담 [21] 로이배티 2022.05.10 727
119808 농구가 별로 안좋아졌던 일 [6] catgotmy 2022.05.10 448
119807 하일권 원작 넷플드라마 안나라수마나라 보신 분 없나요? [1] 예상수 2022.05.10 554
119806 '임신 중단을 선택할 권리' 뒤집겠다는 미국 대법원 [8] 왜냐하면 2022.05.10 876
119805 한동훈 청문회를 본 소감 [27] 아리아 스타크 2022.05.10 1728
119804 알카라스 [2] daviddain 2022.05.10 237
119803 친일파와 친미파에 대해 [4] catgotmy 2022.05.10 391
119802 요즘 들은 노래(서리, 아이브, 아케이드 파이어) 예상수 2022.05.10 2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