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베 미유키 소설 몇 권과 잡담

2022.05.26 16:22

thoma 조회 수:634

미야베 미유키의 에도 시대 미스터리물 <외딴집>을 읽고 이어서 <얼간이>를 읽었어요. 

작년 가을 쯤에 <누군가>를 읽었는데 저는 <외딴집>이 훨씬 낫더군요. 

시대물이라 시간의 거리만큼 여유를 갖고 양해하는 마음 같은 게 깔린 상태로 읽게 되는 것 같습니다. 다른 문화라는 것이 현대물보다 자연스럽게 전제되고 있는 그대로 보게 되는 모양입니다. 그리하여 <얼간이>도 읽게 되었는데 오...이건 좀 더 재밌게 읽었습니다.


<외딴집>은 바닷가 마을이 배경인데 이곳의 사연 있는 빈 집이 악행을 저질러 귀양살이 오게 된 전직 고관의 거처로 정해집니다. 마을이라고 했지만 이 지역은 중앙 막부와는 독립적인 행정 구역으로 바다를 끼고 어업과 조개 염색으로 재정이 탄탄한 현입니다. 전직 고관이 이곳의 외딴 집에 갇히는 것을 계기로 중앙 정부와 토호 세력들 끼리의 암투가 전개되고 주인공들은 그 틈바구니에서 공동체를 유지하고 본인들도 살아남기 위해 머리를 쓰고 몸을 쓰는 내용입니다. 여기서 이야기를 이끄는 절대적으로 중요한 부분이 절이나 신사를 중심으로한 민간 신앙입니다. 바다 영향 아래 사는 마을이니 만큼 생계와 직결시켜 여러 잡신을 믿고 있는 민중들, 그것을 이용하여 권력을 유지하려는 세력들의 소문 유포와 조작이 나와요. 지금 일본 사회에 전통으로 남은 부분도 많지 싶어요. 중심 인물들이 아주 선하고 올곧습니다. 


<얼간이>가 <외딴집>보다 재밌었던 이유는 주인공이 아주 선하거나 아주 바른생활맨이 아니라는 점과 살인 사건으로 시작하는 소설이지만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살인 사건에 대한 궁금증은 어디론가 가버리고 당시 에도의 시시콜콜한 생활상을 읽는 재미에 빠지게 된다는 점에 있습니다. 소설은 팽창하는 에도에서 온갖 직종을 가진 평민들이 사는 공동 주택이 주요 무대입니다. 이 공동 주택은 '나가야'라고 불리는데 돈 많은 개인이 관리인을 따로 두고 소유하는 형태입니다. 뎃핀 나가야라는 곳에서 살인 사건이 일어나고 이 동네 치안을 담당하는 주인공인 하급 무사 헤이시로가 평소의 게으름과 일 크게 벌리지 않기의 노선에서 할 수 없이 벗어나 사건을 알아 보는 내용입니다. 그러니 소매를 걷어붙이고 날카로운 눈매로 본격 수사를 한다기 보다는 늘 하던 식으로 매일 들리던 식당에 들려 간식을 사먹고 식당 주인이나 관리인과 잡담을 하고 나가야 주변 상황을 살핀 뒤 집에 와선 방바닥을 뒹굴며 되짚어 생각을 해보는 식입니다. 그러다가 사건의 윤곽이 잡히자 출중한 주변의 능력자들 손을 빌게 되고 주로 일다운 일은 이 조력자들이 다 하는 것이죠. 헤이시로는 완벽한 상태나 질서를 지킨답시고 일의 실체를 다 헤집기 보다는, 조금 눈 감고 가는 상태가 낫다는 생각을 갖고 있고 <외딴집>의 인물들과 비교하면 신에 대한 경외 같은 것도 없어요. 신앙이란 게 믿는 만큼 효과는 없는데 번거롭기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에도 시대 무사로선 상당히 쿨한 태도죠. 소설은 주인공이 살짝 무르고 어설퍼 보이는 듯 쉽게 살려고 하는 듯 그리고 있지만 실은 이 사람을 통해 건실한(헤이시로도 이만하면 충분히 건실합니다? 근데 소설 제목이 '얼간이'네요!!) 등장인물을 강력하게 지지합니다. 본인은 허허거리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그 여유로 오토쿠 같은 도덕적인 인물의 꽉 막힌, 그래서 다치기 쉬운 순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오토쿠는 아픈 남편 수발을 오래 한 후 혼자 식당을 운영하면서 남 일도 내 일처럼 보살피는 매우 씩씩하고 강직한 심성의 인물) 

<얼간이>에 나오는 평민들 공동 주택인 나가야와 그 관리인, 운영 방식 같은 걸 보면 좀 기숙사 비슷합니다. 이웃 살림 살이나 사정도 속속들이 알고 있고 이사 같은 일도 분명한 이유가 없으면 괜히 말이 나고 의심스럽게 본단 말이죠. 우리도 조선 시대 작은 마을에선 비슷했겠지만 대도시였다는 에도에서 이 '나가야'라는 곳은 사생활이란 게 거의 없던 걸요.

식당 주인 오토쿠가 등장하면 이 인물이 좀 부담스럽긴 하지만, 조림 음식들이 아주 맛 있게 묘사되어서 감자 조림 나도 해볼까 생각하게 됩니다. 

헤이시로가 먹는 감이나 밤과자, 팥소 든 생과자나 메밀국수 같은 것도 먹고 싶어지고 싱싱한 꽁치로 소금 뿌려서 구워 먹고 싶다는 생각도 하게 되고요. 이 소설 재미가 생활상을 읽는 재미라고 했는데 주로 먹는 것만 기억나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3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66
120196 요즘 듣고 본 것 중 인상깊은 세가지 [4] 예상수 2022.06.19 708
120195 예수와 바울의 차이 [7] catgotmy 2022.06.19 676
120194 [넷플릭스바낭] 세상에서 가장 나이브한 아포칼립스물, '러브 앤 몬스터스'를 봤어요 [8] 로이배티 2022.06.19 661
120193 프레임드 #99 [4] Lunagazer 2022.06.18 271
120192 탑건 매버릭을 보고.. [8] 라인하르트012 2022.06.18 1210
120191 짜파게티 끓일때 마지막 물 몇숟가락남기는거 어떻게 맞추죠 [14] 채찬 2022.06.18 737
120190 언어 습관의 고질병 [3] 가끔영화 2022.06.18 465
120189 영끌해서 집 사는 게 좋다던 인식이 1년도 안지난 것 같은데 [1] catgotmy 2022.06.18 856
120188 테넷/포그바/선수의 '아이돌'화, 열렬함에 담긴 달고 씁쓸한 이면 [2] daviddain 2022.06.18 473
120187 개한테 이해안되는 점 [2] catgotmy 2022.06.18 528
120186 Jean-Louis Trintignant: 1930-2022 R.I.P. [6] 조성용 2022.06.18 335
120185 [OCN] 테넷 [EBS1] 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6] underground 2022.06.17 564
120184 [왓챠바낭] 저예산 소소하게 재밌는 장르 영화들 몇 편 묶음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2.06.17 597
120183 굿바이 돈까스 [8] Sonny 2022.06.17 940
120182 소피의 세계 [2] catgotmy 2022.06.17 422
120181 한동훈은 성역? 누가 '내로남불'을 지적하나 [2] 왜냐하면 2022.06.17 692
120180 프레임드 #98 [19] Lunagazer 2022.06.17 336
120179 [씨네플러스 채널] 악마가 너의 죽음을 알기 전에 [스크린 채널] 공기인형 [4] underground 2022.06.16 554
120178 헤일로 1화 풀버전 [4] 예상수 2022.06.16 494
120177 <문> 을 읽고 [4] thoma 2022.06.16 44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