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에 대해서

2022.07.14 14:19

가봄 조회 수:665

그냥 이번 유희열 표절 사태로 떠올려지는 생각들입니다. (음... 제 단상들은 산호초님이 제기하신 상업의 윤리적 측면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문제입니다. 오해 없으시길)


1. 세익스피어는 당시 남들의 저작물을 마음대로 가져다 쓴 것으로 유명합니다. 지금 시대였다면 어마어마한 합의금을 물어줘야 했을 겁니다. 

신경숙도 미시마 유키오를 표절한 사건이 있었죠. 본인도 인정을 했고 한번 찾아서 읽어보신다면 탄식이 절로 나옵니다. (신경숙'전설')


2. 대중음악계 쪽으로는 훨씬 심합니다. 

특히나 대중음악계에서 표절이 많은 이유는 단순합니다. 자기 예술---> 대부분 돈안됨.  검증된 외국의 히트곡을 번안해서 부르는 것--->본전은 됨. 

예전에는 아예 대놓고 그랬었죠. 안그럴거 같은 한대수의 '행복의 나라'도 표절곡입니다. 하지만 한국에 제법 큰 규모의 레이블들이 생겨나고 대중음악산업이 확실하게 성장한 것은 70년대 표절곡들의 상업적 성공덕분입니다. 아이러니 하지만요. 

게으르고 잘못된 행태였지만... 그 수많은 표절들이 없었다면 지금의 BTS도 없었을 겁니다. 

명과 암. 어떠한 산업이든 레퍼토리는 비슷해요. 따라하며 성장하고 성장한 뒤 선도하고 또 누가 따라하고..바뀌고 바뀌며 굴러가죠. 산업으로서의 문화예술은 이런 측면이 있다.. 


3. 저작권 과잉의 시대가 되면 어떻게 될까요? 지금도 충분히 과잉됐다고 생각하지만 지금보다 더 빡센 저작권 과잉이 된다면요. 

표절을 문제삼지 않겠다는 루이치 사카모토는 기본적으로 카피레프트인 입장입니다. MP3 불법다운로드 조차 옹호했었죠. 그는 창작물의 독점이 이익으로 환원되는 것을 반대하는 사람인데 이는 멀리보면 저작권의 독점이 전체 문화산업의 저하를 불러오기 때문입니다. 자본의 논리와 같습니다. 기술과 자본의 독점은 전체 산업의 저하를 불러오거든요. 저작권자의 공익적 역할이 있다는 거죠. 사카모토가 유희열에게 엄정한 처분을 요구했다면 사카모토 개인의 이익은 몇억 정도 생기겠죠. 하지만 전체 음악산업으로 보면 몇백억이 빠져나갈 수도 있으니 카피레프트 입장인 사카모토는 표절을 문제삼지 않았을 겁니다. 누가봐도 표절임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유희열은 못났지만 사카모토는 끝까지 품격이 있네요. 


4. 말이 길어지네요.


5. 아주 옛날에는 계급이 되지 않으면 글도 알지 못했습니다. 글을 알더라도 어떤 책들은 아예 구매하지 못했구요. 지금은 어떤 컨텐츠든 돈이 있으면 살 수 있어요. 귀족들의 전유물인 문화 컨텐츠들이 현대에 오면서 돈이 있으면 누구나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좋은(??) 세상입니다. 그런데 요즘 세상에는 돈이 계급이죠. 자본이라는 정정당당한 이유로 학벌이 결정되고 향유할 수 있는 문화의 레벨이 달라집니다. 물론 태어날 때부터 천민인 시대보다는 많이 진보했다고 생각해요.


6. 표절할 때 감각적으로 아는 어떤 윤리적 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유희열은 그 선을 넘었구요. 잘못했고 멍청했습니다. 하지만 사카모토는 왜 문제 삼지 않았을까요? 저작권을 개인의 사적 재산 주장만이 아닌 산업의 생태적인 측면에서 당사자끼리의 어떤 약속 정도로만 본다면 사카모토처럼 대응했을 수도 있겠구나.. 라고 한번 생각해보았습니다. 


두서 없어서 번호로 정리했는데 그래도 두서없어요. 로이베티님처럼 빨리 팀을 꾸려서 글 많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8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74
120603 집에서 부모님 간병을 해본 분 계신가요? [8] 산호초2010 2022.08.01 1091
120602 Nichelle Nichols 1932-2022 R.I.P. [3] 조성용 2022.08.01 233
120601 초등학교 만5세부터 입학 [13] 캐러맬향 2022.07.31 1074
120600 채찬님은 다 알거고 두가지 다 아는 사람은 뭘 무척 넉넉히 알고 사는 사람임이 분명 [5] 가끔영화 2022.07.31 464
120599 [시즌바낭] 가난한 호러 두 편 - '잭슨을 위해서라면 뭐든지', '익시젼' [4] 로이배티 2022.07.31 468
120598 프레임드 #142 [10] Lunagazer 2022.07.31 233
120597 에이스는 커피와 먹나요 아니면 우유와 먹나요? [11] 왜냐하면 2022.07.31 565
120596 로마 ㅡ 토트넘 하이라이트 [7] daviddain 2022.07.31 259
120595 영화 보다 생기는 섹스에 대한 질문 [20] 잠깐만익닉이요 2022.07.31 1344
120594 2010년대와 90년대 미국영화 [2] catgotmy 2022.07.31 400
120593 [시즌바낭] 안톤 옐친, 이모겐 푸츠의 피칠갑 스릴러 '그린 룸'을 봤어요 [16] 로이배티 2022.07.30 623
120592 프레임드 #141 [6] Lunagazer 2022.07.30 204
120591 탑건 매버릭 한국 박스 오피스 [5] theforce 2022.07.30 587
120590 아 동거인이 옆에서 '미씽' 보는데 [3] 채찬 2022.07.30 561
120589 문재인이 깨끗하긴 한가봅니다 [4] catgotmy 2022.07.30 1251
120588 마이너스의 손(전기소비) [5] 채찬 2022.07.30 346
120587 수퍼 리그/북스마트 짧은 잡담 [3] daviddain 2022.07.30 283
120586 기적이네요! 제가 출연하고 스태프로 참여한 이혁의 장편 <갯벌>이 국제해양영화제에서 상영돼요. ^^ [20] crumley 2022.07.30 439
120585 [넷플릭스바낭] 13년만의 의문 해소, '악마가 너의 죽음을 알기 전에'를 봤어요 [19] 로이배티 2022.07.29 1000
120584 Mary Alice 1936-2022 R.I.P. 조성용 2022.07.29 17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