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과몰입, 과몰입때문에 피곤해서 글을 쓴다는 글에

제가 열올린거 맞아요. 


과몰입이라,,,,사실은 하고 싶은 이야기들은 늘 꾹꾹 참아왔어요.

정치에 대해서도 내 의견을 밝히지도 않았고, 끼어들지 않고

내가 피곤하면 다 피해갔어요. 차라리 내가 안보고 안읽고 말도 안하고 말자 싶었죠.

다른 사람들이 목소리를 높여서 논쟁할 때는 이유가 있을테니까요.


정치에 대한 글 썼다가 지워버린게 몇 번 있는데 늘 역시 안올리길 잘했다 생각했어요.


이번에도 아예 입다물었으면 더 좋았을 것이란 후회를 엄청나게 하죠.

그래도 쓴 글을 지울 생각은 없네요.


저는 정치, 경제, 사회, 인권,,,,이런 것들은 엄청난 논쟁을 해도 될만한 문제가 되고

가요계의 유명인의 표절은 큰 논쟁거리나 비난이 될 때 왜 과몰입이 되는지 수긍하기가 힘들어요.


가요계 표절은 항상 이런 식으로 묻히는구나 싶어요. 앞으로도 크게 다르지 않을거에요.


지금 당장 현안으로 심각한건 내 "끝나지 않을 것같은 물가상승"

"끝나지 않는 우크라이나 전쟁" "계속되는 코로나" "절망과 환멸뿐인 국내정치"


물가상승에 대해서 성토했다면 과몰입이라고하지 않았겠죠.


그런데 수십년 믿었던 "연예인"의 "표절"사건에(표절의혹이라고 할까요?)

열올리면 안되나요?


아무래도 피곤하겠죠. 이 글 쓰면서도 왜 사서 피곤한 짓을 하는거니?라고

스스로에게 묻고 있어요. 하지만 이런 일들은 열올려서 성토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믿어요. 


사실 어제 유희열이 유스케 작별인사하면서 쓴 글을 읽고

그냥 이제는 정말 이별이구나했어요. 


본인은 절대 표절 인정은 안할 사람이고 나를 비롯해서 다수는

표절이라고 믿고 있고 타협점도 없고 사과하는 사람도 없고

이제는 그러면 거기서 끝일 수 밖에요. 

(물론 표절이 아니라고 믿는 사람들도 있죠.)


유희열은 표절 얘기는 안했어요. 끝내. 한마디도 안하더군요.

("표절이 아니다"라고 밝혔는데 이 부분을 놓쳤네요.

유희열은 절대로 표절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사정이 이러이러해서 하차가 늦어졌다, 주로 그런 얘기.


처음 사과문에는 아주 명확하게 "표절 안했다"로 나왔고

이후에는 "무의식적으로"라고 표현했고.

마지막으로 다시 "나는 표절하지 않았다"라고 했네요.


본인이 표절이 아니라고 했고, 원곡자들은 고소를 안했고

음악가들은 거의 나서지를 않고(김태원, 임진모씨 외에 공식적인 의견을

표명한 음악가가 혹시 있나요?)대중들의 설왕설래 판단만 있는 사건이네요. 


표절의 속성상 이럴 수 밖에 없을지도 모르지만

전 표절은 충분히 논쟁거리가 되고 그게 과열된다고 해도 왜 과몰입이라는 소리를 들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뉴스 기사가 많고 유투브 댓글이 많이 달린다고 과몰입일까요?

어차피 정말 길어야 2개월도 넘기지 않고 대중들 관심에서도 사라질 사건일텐데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8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69
120601 초등학교 만5세부터 입학 [13] 캐러맬향 2022.07.31 1074
120600 채찬님은 다 알거고 두가지 다 아는 사람은 뭘 무척 넉넉히 알고 사는 사람임이 분명 [5] 가끔영화 2022.07.31 464
120599 [시즌바낭] 가난한 호러 두 편 - '잭슨을 위해서라면 뭐든지', '익시젼' [4] 로이배티 2022.07.31 468
120598 프레임드 #142 [10] Lunagazer 2022.07.31 233
120597 에이스는 커피와 먹나요 아니면 우유와 먹나요? [11] 왜냐하면 2022.07.31 565
120596 로마 ㅡ 토트넘 하이라이트 [7] daviddain 2022.07.31 259
120595 영화 보다 생기는 섹스에 대한 질문 [20] 잠깐만익닉이요 2022.07.31 1343
120594 2010년대와 90년대 미국영화 [2] catgotmy 2022.07.31 399
120593 [시즌바낭] 안톤 옐친, 이모겐 푸츠의 피칠갑 스릴러 '그린 룸'을 봤어요 [16] 로이배티 2022.07.30 623
120592 프레임드 #141 [6] Lunagazer 2022.07.30 204
120591 탑건 매버릭 한국 박스 오피스 [5] theforce 2022.07.30 587
120590 아 동거인이 옆에서 '미씽' 보는데 [3] 채찬 2022.07.30 561
120589 문재인이 깨끗하긴 한가봅니다 [4] catgotmy 2022.07.30 1251
120588 마이너스의 손(전기소비) [5] 채찬 2022.07.30 346
120587 수퍼 리그/북스마트 짧은 잡담 [3] daviddain 2022.07.30 283
120586 기적이네요! 제가 출연하고 스태프로 참여한 이혁의 장편 <갯벌>이 국제해양영화제에서 상영돼요. ^^ [20] crumley 2022.07.30 439
120585 [넷플릭스바낭] 13년만의 의문 해소, '악마가 너의 죽음을 알기 전에'를 봤어요 [19] 로이배티 2022.07.29 1000
120584 Mary Alice 1936-2022 R.I.P. 조성용 2022.07.29 173
120583 [KBS1 독립영화관] 빛나는 순간 [6] underground 2022.07.29 275
120582 우울이 디폴트가 되니까 갑자기 기분이 좋으면 불안하네요 [5] 하워드휴즈 2022.07.29 53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