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코로나19 상황

2022.07.19 15:20

soboo 조회 수:971

 역시 예상대로 정권 바뀌니 코로나19 자체가 담론장에서 사라지고 있군요….


 1. 지금 발표되는 확진자수치는 3~4개월전 상황으로 치환하면 하루 확진자수 30만명 정도 생각하면 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검사소의 수도 적고 검사에 이르는 장벽이 더 높아졌거든요.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사람들은 아예 검사를 안받거나 약국에 가서 처방 필요없는 약 구매로 넘어갑니다.

  동네 약국들에 물어 보세요. 약국 감기약 매출이 지난 3월 수준에 근접중이라고 합니다.


 2. 하지만 별로 체감이 안될겁니다. 일단 불필요한 공포를 조장하는 언론보도와 여론몰이하는 sns 물량 자체가 확연히 줄었거든요. 

  

 3. 이 정권 패거리들이 주장하던 과학방역이란게 고작 ‘공적비용을 최대한 아끼는 것’으로 보입니다. 


 4. 한마디로 쉽게 말해 일본식 방역입니다. (그 일본도 문정권보다 돈을 더 많이 풀고 국민들에게 돈폭탄을 날려댔다는게 함정… ㅅㅂ)


 5. 개인적으로는 당연히 전정권의 방역보다 후진 방역이라고 보지만 뭐 그렇다고 나라 망할것처럼 난리 떠는 민주당 지지자들 선동은 무시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오미크론 이후 코로나19 방역은 더 나뻐질게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한마디로 말해 ‘중국’처럼만 안하면 중간은 갈거에요.


 6. 각자도생? 이 이 정부의 방역 정책이라고 하는데 그렇다해도 계층 집단의 필요에 따른 집단 행동에 따라 양상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각자’가 그저 개인에 국한된다면 그야말로 개돼지 취급을 받을 뿐이지만’분명한 의지’로  ‘조직된’ 대중이라면 다르죠.

     자영업자 집단이던 소규모 사업장 노동자던 각자 알아서 뭉치고 목소리를 내야하는건 정권이 어찌 바뀌던 다다익선입니다.


7. 각설하고 본인이나 가족 그리고 직장에서 고위험군인 사람 혹은 그런 사람과 접촉이 잦은 분들은 지금 일일 확진자수가 30만명 그러던 시절 수준으로 개인방역을 하면 된다고 합니다.

    식당이나 카페 같은 곳을 멀리해야하고 당연히 주점이나 클럽 같은 곳은 바이러스 농축공장이나 마찬가지니 절대 근처도 가지 말아야 합니다. 


8. 사실 지난 2~3월보다 더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대중들의 개인방역 의식은 매우 떨어지는 상태고 정부에서 각별히 방역행위를 고취할 구체적인 노력이 전무합니다.

    게다가 백신은 상당수가 최종 접종후  6개월이 다 되어갑니다.  먹는 치료제는 여전히 의료현장에서 처방을 기피하고 소극적인 문제가 해결이 안되고 있습니다.


9. 오미크론 변이가 치명률이 적은 것은 바이러스 자체의 변이 특성에도 그 원인이 있겠으나 백신의 중증화 저감능력도 큰 몫을 했고 전문 병상의 충분한 구축으로 의료시스템을 흔들리지 않고 유지시킨 덕도 큽니다.  이렇게 치명률을 낮춘 전정권의 방역정책과 상황에서 현정권은 모두 악화된 조건이라는 것은 분명합니다.   


10. 그래도 아무리  최악이라해도 최소  일본 정도는 될거라 생각하고 개인방역 노력을 할만큼 다 하고 일상을 살아가면 될거 같아요. 머 어쩌겠어요. 

 원래 일본 정도만 해도 크게 나쁜건 아닌데 일본식으로 하고 싶어도 언론상황이 매우  달라서 지난 정권에서는 불가능했었죠? 이제 보수언론의 비호를 받는 정권이니까 충분히 가능할거 같습니다.

 보수정권은 원래 늘 이렇게 개떡같이 해도 대충 기본은 하는 것처럼 넘어갑니다.  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4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4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001
120684 [영화바낭] 먹먹하고 먹먹하다가 먹먹한 영화 '매스'를 봤어요 [10] 로이배티 2022.08.10 785
120683 요즘 생활용품, 생활소품 사는 거 왜 이렇게 힘든가요. [12] 해삼너구리 2022.08.10 1181
120682 프레임드 #152 [6] Lunagazer 2022.08.10 189
120681 [넷플릭스] 주인공이 안나와도 충분히 재미있는 ‘샌드맨’ [16] 쏘맥 2022.08.10 789
120680 에스파는 이름이 목욕탕 느낌 [14] catgotmy 2022.08.10 744
120679 [시즌바낭] '아메리칸 사이코' 감독의 여고괴담 영화, '더 모스 다이어리즈'를 봤어요 [10] 로이배티 2022.08.09 553
120678 아이유를 만나러 갑니다. [9] 칼리토 2022.08.09 723
120677 프레임드 #151 [6] Lunagazer 2022.08.09 206
120676 밥먹을때 쩝쩝소리에 대해 [2] catgotmy 2022.08.09 872
120675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3] 조성용 2022.08.09 825
120674 오늘이.. [14] 라인하르트012 2022.08.09 676
120673 올리비아 뉴튼 존 1948-2022 RIP [14] theforce 2022.08.09 691
120672 폭우에 각종 사고 조심하세요!! + 박X애 사퇴와 윤썩부부 [10] soboo 2022.08.08 1427
120671 교회를 오래 다니면서 생긴 능력 [1] catgotmy 2022.08.08 530
120670 능소화 더워서 축 처졌어요 [4] 가끔영화 2022.08.08 385
120669 [넷플릭스] 언커플드. [7] S.S.S. 2022.08.08 590
120668 [한국영상자료원] 하마구치 류스케의 <우연과 상상>, 코고나다의 <애프터 양> 무료 상영 [1] underground 2022.08.08 364
120667 프레임드 #150 [11] Lunagazer 2022.08.08 239
120666 보는 웹툰들 [1] catgotmy 2022.08.08 338
120665 [왓챠바낭] 어쩌다 보니 무척 삐딱하게 봐 버린 '애프터 양' 잡담 [18] 로이배티 2022.08.08 10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