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nzy. 1972

1443EF10B1619FA546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존 핀치, 베리 포스터, 안나 마시.

히치콕 감독의 영화 참 오랜만에 보았습니다. 넷플릭스에서 십 년, 수십 년 지나간 영화들 올려 주면 다시 보기 해 보실 것을 권해요. 화질도 괜찮고 새록새록 재발견의 기쁨이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 솔직히 말해서 수 많은 존경과 감탄을 실은 평 때문에 히치콕 감독의 영화에 순수하달까 진솔한 접근이 어렵다는 감정이 있습니다. 처음 이분의 영화를 만난 건 tv에서 토요일이나 일요일 오후에 방영해 준 '새, 이창,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싸이코' 같은 작품이었고 그저 무섭거나 재미난 범죄물로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나이들고 트뤼포나 박찬욱 같은 감독들의 추앙에 음? 하고 놀란 것입니다. 그냥 소박하고 재미있는 장르 영화들 아니었나, 하고요. 그래서 '현기증' 같은 작품은 일부러 찾아서 두어 번 다시 본 거 같습니다. 영화를 거듭 많이 보고 공부하고 나아가 영화를 만들어 보고 그러면 아마도 히치콕 감독 영화 만듦새에 대한 개안이 오는 것인가 했습니다. 길게 얘기할 능력이 못 되니 줄이면 '저는 히치콕 감독이 왜 위대한 감독인지 잘 모른다.' 상태입니다.

상태가 이러한 제가 이 영화를 보면서 느낀 걸 아주 조금만 써보겠습니다. 

한 편의 이야기를 말로 설명하지 않고 전-부 화면으로 옮긴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연쇄 살인범으로 오인 받는 인물과 진범과 피해자가 된 여자들과 나중에 등장하는 수사관을 가지고 '런던에서 일어난 넥타이 살인 사건이 어떻게 전모가 드러났고 범인을 잡게 되었는지 얘기해 줄게. 단 말로 안 하고 영상으로 얘기해 줄게' 라고 하는 영화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이야기를 한 조각의 불필요한 화면 없이 전달해 준다고나 할까요. 감독의 자의식이나 감상은 느껴지지 않았고 이야기의 전달에 최적화된 느낌이었습니다. 후반 살인 장면을 되풀이하는 대신 카메라가 계단과 거리로 빠지는 기법을 쓴다거나 아내의 프랑스 요리 집착으로 고통받는 수사관, 범인의 뒤틀린 의식을 클로즈업한 얼굴로 나타낸 장면같은 기교랄까 위트가 들어간 부분까지 포함해서 하나하나의 장면이 물흐르듯이 한 편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느낌을 받았네요. 추악하고 해괴한 살인자가 런던 한 복판 농산물 시장에 또아리를 틀고 있으며 그 위를 분주한 일상이 덮고 있고 어느 방에선 여자가 죽어가고 있는데 창밖엔 사람들이 바삐 흘러가고 있습니다. 

가만 생각해 보면 이렇게 쉬워 보이고 물흐르듯 전달한다는 것. 그게 히치콕에 다들 감탄하는 지점인가 싶기도 하네요. 모든 것이 필요한 지점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으면 물흐르듯 느껴지지 않을 것이니까요. 

히치콕 감독만큼 영화만의 언어에 정통한 감독이 없는데 마치 영화가 이야기 전달의 방편인 것처럼 쓴 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그런 뜻은 아닌데 더 적절하게 표현하기가 어렵네요. 나이브하고 짧은 감상 급히 옮겨 보았어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2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2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54
121112 (드라마 바낭)디 엠파이어: 법의 제국 [1] 왜냐하면 2022.09.29 361
121111 [떠난왓챠바낭] 본격 결혼생활 다크 환타지 스릴러 '더 원 아이 러브' 잡담 [11] 로이배티 2022.09.29 455
121110 바람의 그림자, 독서 블로그 [3] eltee 2022.09.29 379
121109 담당 수사관은 저에게 전혀 연락이 없습니다. [16] 산호초2010 2022.09.29 1378
121108 심즈3를 시작하면서 catgotmy 2022.09.29 175
121107 도밍고는 어디까지 망가지련지 그리고 이어지는 잡담 [2] daviddain 2022.09.29 558
121106 성범죄 수사 정말 너무 한심하고 화나서 미치겠네요. [12] 산호초2010 2022.09.29 1095
121105 프레임드 #202 [4] Lunagazer 2022.09.29 152
121104 이 시국에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이라니.... [9] 일희일비 2022.09.29 576
121103 이러니저러니 해도 역시 넷플릭스일까요? [4] 산호초2010 2022.09.29 521
121102 넷플 마릴린 먼로 영화 블론드 후기 [15] LadyBird 2022.09.29 1281
121101 [영화바낭] 내친김에 제목따라 본 B급 호러, '카운트다운'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2.09.28 369
121100 프레임드 #201 [7] Lunagazer 2022.09.28 142
121099 오세훈 "싱가포르 외국인 가사 도우미 월38만원에서 76만원 수준, 우리도 도입하자" [11] soboo 2022.09.28 999
121098 성추행범을 신고했는데 허탈하네요 [19] 산호초2010 2022.09.28 1111
121097 새 이탈리아 총리 멜로니 [8] daviddain 2022.09.28 726
121096 넷플릭스에서 '투게더 투게더'와 '루' 봤어요. [8] thoma 2022.09.28 366
121095 넷플릭스 '다머' 봤습니다. [6] woxn3 2022.09.28 838
121094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39) [3] catgotmy 2022.09.28 290
121093 진중권을 통해 보는 먹고사니즘의 무게 [5] skelington 2022.09.28 103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