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호주 사라

2022.09.08 10:51

Sonny 조회 수:593



제가 그를 처음 알게 된 건 "영국남자"나 "소련여자"같은 유튜버들이 그 맹위를 떨치기 이 전이었습니다. 그는 그 당시에 흔치 않았던 "한국말을 나름 유창하게 하는 외쿡사람"이었고 저도 그의 영상을 몇번 보곤 했습니다. 그는 케이팝이 너무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하기 시작한 사람이었고 여러가지 한국 문화를 즐기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요즘 나오는 유튜버들처럼 철저하게 계산적인 컨텐츠를 올리지는 못했지만요. 어찌보면 그건 그가 한국에 가지고 있는 애정이 그만큼 사적이고 또 본인의 목적 그 자체였던 증거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안타깝기도 했습니다. 그가 컨텐츠에 들이는 정성과 애정에 비해 조회수는 좀 안나오기도 했으니까요. 이러다가 호주사라가 유튜브를 떠나진 않을까 하는 걱정도 했습니다.


어떤 이별은 파국적입니다. 서서한 쇠퇴를 혼자 기약하고 쓸쓸해할 때, 그 관계는 느슨해지는 대신 뚝 끊어지면 그 반동의 충격을 안깁니다. 호주사라가 백혈병을 진단받았다고 들었을 때도 꽤나 충격적이었지만 그게 그의 유튜브의 최종장이 되리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우리는 그 누구도 어떤 유튜버의 죽음을 계산하면서 보지 않으니까요. 삶을 바라볼 때 그러하듯, 유튜브의 컨텐츠들도 업로드 간격이 얼마나 뜨문뜨문하든지 그의 유튜브가 계속 이어지리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점에서 점을 잇는 선이 어떤 점에서 멈추고야 말 때, 우리는 그 선을 되돌아가게 되는 게 아닐까요. 미래의 표지판이 보이지 않는 현재의 종점에서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운동을 이어나갑니다. 그 땐 그랬고 처음에는 그랬고 하며 최초의 점으로 플레이백하게 되는 이 기억 자체가 무한의 루프를 만드는 것은 아닐지.


아마 그도 자신의 이름을 한국어 발음으로 쓴 의미를 곱씹었을 것입니다. 어디 사냐고 묻는다면 호주 사라. 호주에서 타고 자라난 호주 사라ㅁ. 한국을 향해 날아온 호주로부터의 사라ㅇ. "살아'있던 그는 호주보다 훨씬 더 멀고 근원적인 곳으로 돌아가버렸습니다. 호주사라가 즐긴 한국에서의 여행이 즐거웠길 바랍니다. 몇몇 유명인들과 맛집으로 과대표되는 이 나라에 대한 애정이 자국민으로서는 얼마나 과부하게 느껴졌던지요. 그의 다정함과 믿음을 뒤늦게나마 그대로 되돌려주고 싶습니다. 호주사라에게 샤라웃. 레스트 인 피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1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35
121107 도밍고는 어디까지 망가지련지 그리고 이어지는 잡담 [2] daviddain 2022.09.29 556
121106 성범죄 수사 정말 너무 한심하고 화나서 미치겠네요. [12] 산호초2010 2022.09.29 1095
121105 프레임드 #202 [4] Lunagazer 2022.09.29 152
121104 이 시국에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이라니.... [9] 일희일비 2022.09.29 576
121103 이러니저러니 해도 역시 넷플릭스일까요? [4] 산호초2010 2022.09.29 521
121102 넷플 마릴린 먼로 영화 블론드 후기 [15] LadyBird 2022.09.29 1276
121101 [영화바낭] 내친김에 제목따라 본 B급 호러, '카운트다운'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2.09.28 369
121100 프레임드 #201 [7] Lunagazer 2022.09.28 142
121099 오세훈 "싱가포르 외국인 가사 도우미 월38만원에서 76만원 수준, 우리도 도입하자" [11] soboo 2022.09.28 999
121098 성추행범을 신고했는데 허탈하네요 [19] 산호초2010 2022.09.28 1110
121097 새 이탈리아 총리 멜로니 [8] daviddain 2022.09.28 726
121096 넷플릭스에서 '투게더 투게더'와 '루' 봤어요. [8] thoma 2022.09.28 366
121095 넷플릭스 '다머' 봤습니다. [6] woxn3 2022.09.28 837
121094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39) [3] catgotmy 2022.09.28 290
121093 진중권을 통해 보는 먹고사니즘의 무게 [5] skelington 2022.09.28 1038
121092 이러다가 우리나라 망할지도.. [2] 분홍돼지 2022.09.28 760
121091 비행기에서 본 영화들 라인하르트012 2022.09.28 279
121090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2] 조성용 2022.09.27 557
121089 프레임드 #200 [8] Lunagazer 2022.09.27 160
121088 [왓챠바낭] 이번엔 1980년산 밀덕 영화 '최후의 카운트다운'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2.09.27 4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