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의 뉴스 속보를 보며 세월호 때를 떠올렸습니다. 믿을 수 없는 일들이 눈앞에 펼쳐지면 일단 부정하고 싶어지고 거기에 대해 분노하다가 타협하고 우울해진 후에 수용하게 된다죠. 아마 지금은 분노의 단계인가 봅니다. 


아내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저 참사는 저기에 놀러 간 개개인의 책임일까? 아내는 그럴리도 없거니와 그래서도 안된다고 답하더군요. 저도 동감합니다. 


윤석열 정권이 들어선 이후에 빠르게 무정부 상태가 되어간다는 진단이 있었습니다. 그전에는 욕을 먹을지언정 정부가 뭐라도 하는 게 보였는데 지금은 그 안전망들이 하나씩 사라지거나 방치되고 있는 기분이 들어요. 


그리고 날벼락처럼 젊고 약한 생명들이 창졸간에 사라졌습니다. 애도는 할지언정 비난과 분노는 자제하자는 목소리도 있던데.. 그런 이야기를 들을 때 마다 도끼로 내려 찍고 싶은 마음이 듭니다? 누구를? 무엇을? 글쎄요.. 


이 마음의 정체를 모르겠습니다. 단톡방에서 특정 정치 세력을 옹호하면서 온갖 정보와 지식은 혼자 다 아는 것 처럼 떠들어 대는 친한 후배를 향한 것인지 지난 대선에서 저 망할 놈을 찍어준 국민들을 향한 것인지 실제로 저 참사를 보면서도 침묵과 오도로 일관하는 언론을 향한 것인지 그도 저도 아니면 세상에 공정하고 냉정한 척 하면서도 결국 지 입맛대로 사건을 재단하는 일베충들과 사건의 책임을 마땅히 져야 할 관계 기관장들과 집권 세력을 향한 것인지 말이죠. 


저희 집에는 도끼도 없고 있다 해도 그걸로 누구 대가리를 까버릴 용기(?)도 없습니다. 말이 그렇다는 거죠. 말이.. 


지금은 분노가 이성을 잠식하고 있는 시기니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9
121518 프레임드 #245 [4] Lunagazer 2022.11.11 117
121517 감기의 장점 [5] catgotmy 2022.11.11 255
121516 윤석열 정부, 10.29 참사에 경찰과 소방서 압수수색 외... [16] Sonny 2022.11.11 925
121515 MBC 언론통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보이콧하는 언론은 두군데밖에 없네요 [3] 으랏차 2022.11.11 758
121514 와칸다 포에버 를 보고<스포유 [2] 라인하르트012 2022.11.11 509
121513 뉴공도 이제 끝나는 군요.. [2] 라인하르트012 2022.11.11 671
121512 [스크린 채널] 폭력의 씨앗, 밤의 문이 열린다 underground 2022.11.10 276
121511 만화 아일랜드 드라마판 티저예고편 [1] 예상수 2022.11.10 342
121510 엔니오 모리꼬네 생일/terrore dello spazio [1] daviddain 2022.11.10 200
121509 프레임드 #244 [2] Lunagazer 2022.11.10 124
121508 10.29 참사 도대체 왜 그랬을까 [1] 도야지 2022.11.10 422
121507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2015) [2] catgotmy 2022.11.10 287
121506 [왓챠바낭] 알고 보니 내가 인간 병기! 영화계의 듣보 조상, '시한폭탄'을 봤어요 [6] 로이배티 2022.11.10 425
121505 티빙 몸값 재미있군요. (스포) [1] dodo 2022.11.10 468
121504 바낭 - 듀게 밖에서 해야할 일들(또 안해도 될 일) [4] 예상수 2022.11.10 374
121503 문재인도 윤석열과 얽히는 게 진짜 짜증나나 봅니다 [8] Sonny 2022.11.10 1144
121502 대통령실, MBC에 “순방 때 전용기 탑승 불허” 통보... [17] 으랏차 2022.11.10 957
121501 1972년생, 50이 되다 [12] Kaffesaurus 2022.11.10 788
121500 요즘 좋아죽는 드라마속 인물2 [2] singlefacer 2022.11.09 441
121499 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파양 (aka hubris님을 기억하며) [11] 세멜레 2022.11.09 88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