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본행 야간열차>를 btv 무료 영화로 보면서 든 의문이, 고전 가르치는 교수로 나온 제레미 아이언스가 포르투갈 책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가였습니다. 영화에서는 등장 인물이 죄다 영어를 능수능란하게 쓰는 걸로 나옵니다. 고전 교수다 보니 라틴 어,희랍 어는 잘 알 거고 그러니 포르투갈 어 책도 펴자마자 이해하는 데 무리가 없다는 설정일 수도 있지만 제가 이탈리아 어, 스페인 어보다 더 어렵게 생각하는 게 포르투갈 어라 궁금해지는 건 어쩔 수 없네요. 원작 소설을 읽을 수 없으니 궁금하기만 합니다. 보니까 독일 어던데요.등장 인물 보면 포르투갈 여성을 프랑스 배우 멜라니 로랑이 연기하고 더 나이든 모습은 스웨덴 배우 레나 올린이. 역시 포르투갈 인으로 나온 잭 휴스턴은 존 휴스턴 손자로 이 집안이 4대 째 배우 집안인데 아마 앤드류 가필드처럼 영국에서 크던가 했을 겁니다.


저는 제레미 아이언스가 읽는 책 구절이 젊을 때면 늘어놓는 개똥철학같아 그게 나이 지긋한 남자의 내면을 흔든다는 게 이해가 안 되더라고요.


감독이 빌 어거스트입니다. 칠레 군부독재와 민주화 운동도 나오는 <영혼의 집>감독이고 아이언스와는 두 번째로 일하는 것이고 살라자르 독재 시절 맞섰던 학생 민주화 운동이 배경이네요.




왓챠에 히치콕 초기 흑백영화가 많아 놀랐습니다. 1929년 작 <협박>은 틀고 한 7분 넘게 소리가 안 나요. 뭐 이상있나 했는데 원래 무성영화로 찍던 거 유성 영화로 전환해서 그렇다네요. 히치콕은 관객에게 볼 거리를 제공할 줄 압니다. 대영 박물관 무대로 벌어지는 추격전은 <미션 임파서블6>에서 탐 크루즈가 테이트 모던 옥상까지 갔던 것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후대의 드 팔마, 스필버그도 히치콕에게서 많이 배웠겠죠.


ithankyou: Love versus duty… Blackmail (1929) at the BFI with Cyrus Gabrysch

Manu on Twitter: "• British Museum in “Blackmail”. • Washington's National  Gallery of Art in "Strangers on a train". • Alte Nationalgalerie in Berlin  in "Torn Curtain". • San Francisco's Legion of


Beginner's Guide to Alfred Hitchcock: Blackmail (1929) — Talk Film Society


British Museum on Twitter: "Alfred Hitchcock was born #onthisday in 1899.  His film Blackmail features scenes at the Museum http://t.co/pw50aqEuqA  http://t.co/QagvD7ouzw" / Twitter


Hitchcock Gets His Hands on <i />Blackmail

Blackmail (1929) | MUBI


살인 장면을 커튼의 흔들림과 칼을 쥐는 손으로 보여 줍니다. 살인을 저지르고 난 후 길거리를 헤매는 범인의 불안한 심리도 잘 살렸고요.


범죄를 저지른 금발 미녀, 오인된 남자, 카메오로 등장하는 히치콕 등등 히치콕 영화 특징은 이미 다 드러나 있습니다. 확실히 히치콕은 음습합니다. <사이코>, <프렌지>가 괜히 나온 게 아닙니다.



1926년 작 <the lodger>,<자메이카 여인숙>은 왓챠에 없네요.





SPOORLOOS / THE VANISHING — Matt Skuta




<Vanishing>은 국내에 미국판 리메이크로 알려져 있을 겁니다. 1993년 키퍼 서덜랜드, 산드라 블록 나온 리메이크가 국내에 잠깐 개봉되었고 나중에 tv에서도 방영되었거든요.


그 원본인 1988년 작은 네덜란드, 프랑스 합작 영화로 프랑스 어가 주로 쓰입니다. 감독도 네덜란드 인이고 원작 소설도 네덜란드 작가의 것.


애인이 실종되어 찾아 다니는 남자가 결국 범인을 만나고 그 범인이 애인을 납치해 어떻게 범행을 저질렀는지를 체험하게 해 줍니다. 남주가 자신이 황금 계란 안에 갇히는 악몽을 얘기한 것이 복선이 됩니다. 


범인은 그냥 가정있고 평범한 남자지만 자신이 좋은 일을 할 수 있으면 나쁜 일도 저지를 수 있음을 알고 그걸 실행에 옮기는 사람입니다. 별장에 온갖 준비를 다 해 놓고 살죠. 아내와 딸은 바람피우는 게 아닌가 의심하고요. 주유소에서 젊은 여자를 꼬셔다 범행을 저지른 겁니다. 이 영화의 가장 큰 특징은 폭력이 없습니다. 노출도 없고 피 한 방울, 비명도 없어요. 범행 장면을 사실적으로 보여 준다는 명목 하에 길게 끌고 가지도 않습니다. 그렇지만 오싹합니다. 그래서 스탠리 큐브릭같은 사람이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영화라고 한 거 같네요. <아이즈 와이드 셧>의 오싹했던 면을 생각하면요. 감독이 미국판 리메이크도 만드는데 결말을 바꾸면서 싱거워진 듯 합니다.


산드라 블록은 이 영화말고 그 이후에 개봉된 <스피드>로 세계적인 스타가 됐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95
121750 세계영화사의 거인, 장 뤽 고다르 추모전이 롯데시네마에서 열리네요. (12.7~20, 서울 홍대, 대구 동성로, 부산 광복) [4] crumley 2022.12.07 406
121749 [왓챠바낭] 좀 위험한 메시지의 교훈극, '악플러 죽이기'를 봤습니다 [6] 로이배티 2022.12.07 412
121748 [티빙바낭] 내친 김에 연달아 '이블' 시즌 2까지 달렸어요 [2] 로이배티 2022.12.06 467
121747 프레임드 #270 [4] Lunagazer 2022.12.06 123
121746 더 퍼스트 슬램덩크 포스터 [2] 예상수 2022.12.06 391
121745 브라질전 두번째 패널티 득점은 심판 잘못인 듯 [3] 가끔영화 2022.12.06 467
121744 이럴 때는 무기력한 기분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나요? [8] 산호초2010 2022.12.06 666
121743 크리스마스에 어울리는(?) 스탠리 큐브릭의 명작 두 편 [5] LadyBird 2022.12.06 529
121742 성추행 사건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습니다. [18] 산호초2010 2022.12.06 1257
121741 크라잉넛 - 좋지 아니한가 [2] catgotmy 2022.12.06 236
121740 다음 벨기에 감독은 [1] daviddain 2022.12.05 325
121739 프레임드 #269 [2] Lunagazer 2022.12.05 134
121738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2] 예상수 2022.12.05 577
121737 한국이 브라질 이길 확률 영 같아요 [2] 가끔영화 2022.12.05 569
121736 [티빙바낭] 아니 이게 왜 이렇게 재밌습니다. '이블' 시즌 1 잡담 [6] 로이배티 2022.12.05 742
121735 독일 팀 탈락에 대한 아르센 벵거의 말 [6] daviddain 2022.12.05 764
121734 재벌집 막내아들 [2] 라인하르트012 2022.12.05 777
121733 슈룹 소감 [1] 라인하르트012 2022.12.05 487
121732 Metallica - Enter Sandman [1] catgotmy 2022.12.04 176
121731 동네마트의 역사 [1] 메피스토 2022.12.04 41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