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년간 여러 영화 커뮤니티의 영화평이나 포털 영화 데이터베이스의 한줄평 등을 보며 느끼는 흥미로운 점이 있습니다.

과거의 작품들, 특히 정서적으로 가까운 한국영화나 지금과 시대상황의 비교가 그나마 쉬운 7~80년대 이후의 작품들이 조롱과 멸시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건데요.


신작이든 클래식이든 그 만듦새나 주제의식에 따라 찬사를 받거나 비판을 받는건 당연하지만 구시대의 정서와 그에따른 다소 촌스러운 모양새라는 이유로

조롱거리로 전락한 작품들이 많더군요. 물론 해당 시간대의 풍경과 정서를 반영하는 작품이 시간을 이겨내기가 쉽지만은 않겠지만

이런 조롱속에 해당 작품이 이룬 성취나 미덕 마저 쉽게 휘발되어버리는건 좀 안타깝지않나 뭐 그런 생각도 듭니다.


영화나 여타 저작물을 접하는 환경이 과거와는 달라졌고 그런 작품을 대하는 태도 또한 달라진게 사실이니 그 변화를 인정해야하는 것도 맞겠지만요.


다만 해당 시대를 모르는 세대나 영화에 대한 소양이 적은 사람들이 가볍게 평하는거야 그렇다 치겠지만 그 시대를 살아왔고 오랫동안 영화를 애호하며 보아온

영화광들도 일부는 이런 조소하며 까기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면 영화를 즐기는 목적이 바뀐건가 아니면 원래 그런 재미로 즐긴건가하는 의문이 들더군요.


영화를 접하는게 너무 쉬워진 환경이라 영화를 대하는 태도까지 바뀐건아닌가 생각도 듭니다만

한 영화감독이 영화제에 자신이 좋아하는 감독의 고전명작 회고전을 보러갔다가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젊은 관객들이 너무 신나게 깔깔웃어서 민망했다는 얘기가 생각나기도하네요.

뭐 해당 작품은 정말 오래된 작품이라 문법자체가 요즘의 영화와 비빌수없는 수준이었으니 연출이나 배우의 액팅에 웃음이 나오는것도 이해는 합니다만.

허나 그런 장벽에도 많은 관객들이 작품에 몰입하여 그 작품을 온전히 체험했고 영화제 후기에 많은 찬사가 쏟아졌다는 훈훈한 결말이 되었다네요. 

 






슬램덩크 신극장판 개봉이 이제 이틀남았군요.

사상 처음으로 원작의 클라이막스인 산왕전이 영상화가 되었다니 어찌 극장으로 가지않겠습니까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단순 원작의 영상화가 아닌 인물들에 대한 서사 또한 완성도있게 보충이 되었다니 더더욱 기대가 될수밖에요.

더구나 당시의 기준으로 봐도 솔직히 한숨나오던 (물론 그때는 꿀잼으로 봤지만) TVA에 비하면 뭐 3D화나 색감에 대한 이질감 따위가 뭐가 대수겠습니까

그런고로 만화책으로 복습을 하고 있습니다. 슬램덩크의 단점은 어느 시점에서 보든 끝까지 봐야하고 다시 그앞 에피소드 아니 첫권부터 다시 보게 만든다는거지요.


그러고 보니 슬램덩크는 그 당시의 여타 일본만화들과는 드물게 시간을 잘 이겨낸 작품이 아닐까합니다.

8~90년대 학원물, 스포츠물 보면 지금 기준으로는 가루가 되도록 까일 클리셰들의 덩어리들과 정말이지 뜨악한 구시대적 사고관을 가진 캐릭터들에 기겁을 하겠죠.

슬램덩크는 그런 의미에서 시대의 냄새가 엷은 작품이기도하죠. 애초에 곁다리없이 주제에만 한없이 집중을 해서 그렇겠지만. 


무은 이제 클래식의 반열에 들었다해도 과언이 아닐런지? 듣자하니 해당 작품이 연재가 끝난 후에 태어난 세대들도 슬램덩크를 읽고 있다는군요.

일본, 한국할거없이요. 대약 97년 이후 태생들. 뭐 그전 세대야 말할필요도 없구요.

슬램덩크를 90년대 초중반 실시간으로 즐긴 세대가 교사가 되었는데 지금 학생들 가방속에 슬램덩크 만화책이 들어있어서 놀랐다는 증언은 뭔가 찌릿한 느낌이.








처음한 얘기와 연결해보면 과연 슬램덩크는 과거의 작품으로서 조롱할 수 있을까? 그럴 건덕지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군요.

뭐 깔려면 얼마든지 깔수있겠죠. 작품 내외적으로 논쟁이 없었던 작품은 아니니도 하구요.


다만 '지금보니까 개구려'라는 말을 쉽게는 하지 못할 듯 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6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09
122259 경고먹은 기념...교양글.... [64] 빵요총맞아죽기직전 2011.04.15 5646
122258 순대에 콩팥이 들어가는 거 아셨나요 [16] fan 2010.12.14 5646
122257 성형 성공과 실패 [5] 자본주의의돼지 2013.05.22 5645
122256 가쉽이란거와 거의 담쌓던 김연아였는데.... [14] soboo 2014.08.06 5644
122255 미안해 솔직하지 못한 내가... [20] Aem 2012.05.11 5644
122254 SNS에서 논란이 되고있는 서울대생의 고딩 친구 비하 [51] catgotmy 2015.08.10 5643
122253 여러 가지... [11] DJUNA 2012.09.07 5643
122252 축구와 야구, 시사in과 한겨레21, 최다 재구매 미용용품 best 3.. [11] being 2010.06.10 5643
122251 베를린 표절 같네요. [5] 이글만익명 2013.02.05 5642
122250 [김연아 뉴스를 읽고] 요즘 '명예훼손'이란 단어가 너무 쉽게 쓰이는 것 같지 않나요? [73] 머루다래 2012.06.05 5642
122249 이 와중에 솔로대첩 2호 커플 탄생 [7] 작은가방 2012.12.24 5642
122248 데세랄로는 오토로 찍어도 사람은 선명 뒷배경은 흐리게 나와요? [9] 다랑 2010.09.02 5642
122247 2010 여름 휴가 광주-해남-완도-광주 놀고 먹은 이야기 [13] 아침엔 인간 2010.08.11 5642
122246 책에서 본 사람이 만일 거리를 돌아다닌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요? [16] Bigcat 2016.04.03 5640
122245 김아중이 부르는 '세월이 가면 + 마리아' [10] fan 2010.07.10 5640
122244 지금 조국 교수님 트위터에서... [20] 라곱순 2011.10.14 5639
122243 MBC <테마게임>에서 특별히 기억나는 에피소드들... [8] 한여름밤의 동화 2010.07.27 5639
122242 sbs 좀 보세요. 혈압 터지네요. [12] 꼼데 2013.10.08 5638
122241 이정재 쪽에서 보그 인터뷰 관련한 반박 언급을 했었네요. [2] kct100 2013.02.17 5638
122240 sbs 대참사 ㅠ.ㅠ [11] mii 2010.11.14 563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