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키보드 잡담

2023.03.14 13:14

돌도끼 조회 수:295

키보드가 슬슬 맛이 가려고하는 것 같아서 나가서 좀 사오려고 알아봤더니 106키 짜리는 이제 거의 멸종상태인 것 같아요. 기본영어기판외에 한자키와 한글키가 있는 것들이요.
거의 모든 키보드에 한글/한자키가 있기는 해요. 하지만, 잘 살펴보면 오른쪽 alt와 ctrl에다가 한글/한자를 배정한 것들이예요. 오른쪽 alt와 ctrl을 쓸 수 없는거죠. 왜 양쪽에 두개가 있겠어요. 그만큼 자주 쓰고 양쪽에 있으면 편리하니까. 그런데 한국어로 컴퓨터를 쓰는 사람은 그런 편리함을 누릴 수가 없는거예요. 아니 오른쪽 shift키는 왜 남겨놨나 모르겠어요. 아예 그것도 못쓰게 만들어버리지...

이렇게 만든 원흉은 마이크로소프트일 거라고 전 생각해요.
윈도우가 처음 나왔을 때는 모든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잡아줘야했죠. 키보드도 마찬가지라서 영문 키보드는 꽃기만 하면 자동으로 인식하지만 한글 키보드는 수동으로 잡아주지 않으면 한글을 쓸 수 없었어요. 3.1때까지는 그랬죠.

그런데 PLUG & PLAY-사용자가 신경쓸 필요없이 무슨 장비든 꽂기만 하면 바로 쓸수 있다는 걸 캐치프레이즈로 달고 나온 윈도우95가 106키-한글키가 별도로 있는 키보드를 인식하지 못했어요. 한글/한자키를 사용하려면 복잡하고 귀찮은 과정을 거쳐서 수동으로 잡아줘야했죠. 안그러면 기존의 영문키보드에 한글/한자를 배정해서 써야했고 그 방법중 하나가 오른쪽 crtl과 alt를 사용하는 거였어요.


그리고 이 문제는 그후 수십년이 지나도 고쳐지질 않았어요. (11은 안써봐서 모르겠지만) 윈도우10에서도 한글키보드를 자동으로 감지하지 못해요. 그나마 요즘 윈도우는 맨처음 설치할 때 키보드를 선택할 수 있어서 106키를 골라 인스톨할 수 있어요. 하지만 직접 깔지 않고 윈도우가 깔려있는 컴퓨터를 산 사람이라면 키보드가 106키로 잡혀있을 확률은 거의 없어요.

컴퓨터 쓰다가 키보드 추가할 때도 106키를 자동으로 인식하지 못해서 귀찮은 과정을 거쳐서 키보드 세팅을 바꿔줘야해요. 안그러면 멀쩡히 있는 한글/한자키는 먹통이 되고 오른쪽 crtl/alt키가 한자/한글키가 되요.

윈도우 쓰는 사람들이 키보드 세팅을 수동으로 바꿔가며 쓰는 사람이 얼나마 되겠어요. 그냥 깔려있는대로 쓰지...

그렇게 오랜 세월 수많은 사람들이 멀쩡히 키보드에 한글/한자키가 따로 있어도 쓰지 못한채로 살아왔고 그러다보니 업체에서도 아예 한글/한자키가 따로있는 키보드를 만들어서 공급해야할 필요성을 못느끼게된 것 같아요.


다음에 또 나갔을때 106키를 발견하면 두개쯤 사서 집에다 소중히 모셔둬야겠다 생각중이예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30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5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002
122975 인셉션 토탈리콜 하고 어떤가요 [2] 가끔영화 2010.07.23 2267
122974 토종닭은 얼마나 질긴 걸까요. [13] snowpea 2010.07.23 4737
122973 Pifan 폐막식 -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3관왕 했네요. [5] fan 2010.07.23 2997
122972 오늘 청춘불패... [41] DJUNA 2010.07.23 2390
122971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에 KAL 007기 격추사건이 나오네요. [8] 푸른새벽 2010.07.23 2631
122970 인셉션을 빨랑 보고 싶은 이유 [7] 푸네스 2010.07.23 2649
122969 저도 인셉션이 보고 싶습니다. [2] 제주감귤 2010.07.23 1731
122968 슈퍼스타K 2.. 은근 기대하고 있었는데 첫방 좀 맛이 간듯 합니다? [4] no way 2010.07.23 3072
122967 유나킴의 새로운 갈라 [15] morcheeba 2010.07.23 4332
122966 올레 광고 비틀기. [5] 01410 2010.07.23 2246
122965 인셉션 한번 더 봐야겠어요 setzung 2010.07.23 1911
122964 <오마이뉴스>에서 뽑은 21세기 첫 10년을 대표하는 우리 시대의 책. [20] iammilktea 2010.07.23 5026
122963 소방관.jpg [10] setzung 2010.07.24 3642
122962 폭풍속으로(Point Break)를 다시 봤어요. [6] 푸네스 2010.07.24 2367
122961 코어콘텐츠미디어 가수들 잡담 [1] 메피스토 2010.07.24 2393
122960 놀란 인셉션 잡담 [3] aerts 2010.07.24 2639
122959 강은비 "난 학창시절 3년 동안 왕따였다" 고백 [17] 그리스인죠스바 2010.07.24 5719
122958 인셉션 같은 영화 또 없을까요??? [12] 633 2010.07.24 7447
122957 [Red] 공식 트레일러 - 브루스 윌리스, 헬렌 미렌, 존 말코비치, 메리 루이즈 파커, 모건 프리먼, 칼 어번 [2] 프레데릭 2010.07.24 2099
122956 야간에 신호등 끄는거 너무 위험합니다 [18] setzung 2010.07.24 35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