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의 여인, 처형 6일 전, 39계단'

2023.03.17 15:28

thoma 조회 수:432

[환상의 여인], [처형 6일 전]

e895461852_1.jpg   e002539702_1.jpg

저는 추리 소설을 별로 읽지 않은 독자라 장르에 대한 지식도 없고 특별한 애정은 없는 단순한 감상입니다. 

추리 소설 끝에 탐정이나 수사관이 길게 설명을 하며 이야기가 마무리되는 경우 뒤늦게 감탄하거나 재미가 배가되는 경우도 있지만 실망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환상의 여인]은 후자였어요.ㅠㅠ  

비상식적인 신비한 여인의 정체에 대한 궁금증을 안고 이야기에 몰입할수록, 그러니까 주인공을 구하기 위한 친구의 활약을 응원할수록 마지막에 찾아오는 충격은 커야 성공한 작품 아닌가요. 독자를 잘 속인다면 그런 충격이 가능할 텐데...그런데 저에게는 마지막 부분의 전개와 끝 부분 수사관의 설명을 읽으며 구멍들이 넘 크게 느껴지고 환상의 여인도 '그런 처지'라서 라니 이래저래 허무했습니다.(재조사 중에 죽는 이들은 다 버지스 형사 너 때문이다!)

매력적인 모자 하나로 여인의 이미지를 신비롭게 만드는 힘은 감탄스러웠고 주인공이 어제 본 인물을 기억 못하는 것도 있을 수 있는 일이라 그럴 듯했지만요.

엘릭시르에서 나온 책에 듀나 님 해설이 있었어요. 

저의 감상과 관련된 부분만 일부 옮기면 '이 소설에서 논리적인 추리 소설의 면모를 기대하지 말라, 울리치 소설 속 세계는 꿈이나 백일몽에 가까운 곳으로 오로지 책 안에서만 생생함이 있으며 서스펜스도 그런 불가해함에서 온다'고 적혀 있습니다. 추리 소설이라기 보다는 누아르로 봐야 한다는 말도 있었고요.

음, 분위기와 감성이 위주가 되는 누아르의 매력도 그럴듯한 상식적인 규칙들 위에 개인들의 선택과 결단으로 진행될 때 매력이 생기는 거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처형 6일 전]을 시작하며 [환상의 여인]과 너무 설정이 비슷해서 어느 작품이 먼저 발표되었나 확인을 했습니다. 

[처형 6일 전]이 몇 년 앞서네요. 앞 작품이 35년에, 뒤에 작품이 42년에 나왔다고 합니다. 세부는 다르지만 갈라서려고 마음먹고 있는 중에 아내가 죽는다는 것, 새로운 연인이 있다는 것, 사형 날짜가 정해진 후 뒤늦게 개인적인 재수사를 시작한다는 것 같은 큰 설정이 같습니다. 

저는 이 소설이 맞았습니다. 잘 짜여져 있는 듯했고 독자로서 머리를 같이 굴려 볼만 했달까요. 어쨌든 상식적으로 변호사와 탐정들을 고용해서 일을 진행시키잖아요.

탐정이 나름 능력이 있어요. 그 능력 중 가장 큰 무기는 무엇보다 끈기. 끈기 없는 저는 이런 인물들이 항상 존경스럽습니다. 

그리고 속물적인 탐정 콤비의 유머가 이 소설에 양념처럼 잔재미를 주기도 하고, 아마도 두루 좋아할 소설이 아닐까 싶습니다.

조너선 레티머의 다른 책은 번역되어 있지 않네요. 잘 모르지만 원래 작품 수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39계단]

13462010B2BA1A56D2

  


  뒤늦게 봤습니다. 여전히 뒷북 ㅎㅎ. 왓챠에서 봤습니다. 

  재미있게 봤어요. 뭔가 아기자기한 맛이 있었어요. 

  매우 적절하게 조화된 여러 가지 재료가 알차게 들어 있는 음식같은 느낌입니다. 잘 짜여진 이야기이며 에피소드들이 재미도 있고 특히 극장 출연자는 기발했어요.

  개인적으로는 위기 속에서도 주인공 두 사람의 기가 꺾이지 않는 캐릭터 설정이 가장 재미있고 마음에 들었어요. 그리고 등장하는 여성 캐릭터들이 유쾌하면서 자기 생각 뚜렷해서 조역들도 흐릿한 인물이 없었다는 점도 좋았고요. 짧게 등장하는 조역들에게도 성격부여해서 생생함을 살리는 게 참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1935년 작입니다. 히치콕 감독이 아직 영국에 있을 때 발표한 영화랍니다. 

  감독이 본인 작품 중 좋아했다고 하네요. 

  존 버컨이라는 사람의 원작 소설도 유명했던가 봅니다. 1차대전시 병사들에게 인기 소설이었다고. 

  주인공은 어째서 캐나다인으로 설정했을까 궁금하네요. 당시에 캐나다인에 대한 특정한 이미지가 있었을까요. 유연함? 유쾌함? 자유로움?

  이 영화에 등장하는 중요한 지역인 하이랜드. 실제로 현지에 가서 찍은 부분이 있었을까요. 여기서는 흑백 영화라 경관을 즐길 여지는 별로 없었지만 스코틀랜드 하이랜드는 이런저런 영화에서 접한 장소들 중에서 가봤음 싶은 곳 중 한 곳입니다. 

  덧붙일 지식이 없어서 혹시 저처럼 여태 제대로 보시지 않았다면 추천드리며, 이만 총총.ㅎㅎ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31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5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008
122980 인셉션 토탈리콜 하고 어떤가요 [2] 가끔영화 2010.07.23 2267
122979 토종닭은 얼마나 질긴 걸까요. [13] snowpea 2010.07.23 4737
122978 Pifan 폐막식 -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3관왕 했네요. [5] fan 2010.07.23 2997
122977 오늘 청춘불패... [41] DJUNA 2010.07.23 2390
122976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에 KAL 007기 격추사건이 나오네요. [8] 푸른새벽 2010.07.23 2631
122975 인셉션을 빨랑 보고 싶은 이유 [7] 푸네스 2010.07.23 2649
122974 저도 인셉션이 보고 싶습니다. [2] 제주감귤 2010.07.23 1731
122973 슈퍼스타K 2.. 은근 기대하고 있었는데 첫방 좀 맛이 간듯 합니다? [4] no way 2010.07.23 3072
122972 유나킴의 새로운 갈라 [15] morcheeba 2010.07.23 4332
122971 올레 광고 비틀기. [5] 01410 2010.07.23 2246
122970 인셉션 한번 더 봐야겠어요 setzung 2010.07.23 1911
122969 <오마이뉴스>에서 뽑은 21세기 첫 10년을 대표하는 우리 시대의 책. [20] iammilktea 2010.07.23 5026
122968 소방관.jpg [10] setzung 2010.07.24 3642
122967 폭풍속으로(Point Break)를 다시 봤어요. [6] 푸네스 2010.07.24 2367
122966 코어콘텐츠미디어 가수들 잡담 [1] 메피스토 2010.07.24 2393
122965 놀란 인셉션 잡담 [3] aerts 2010.07.24 2639
122964 강은비 "난 학창시절 3년 동안 왕따였다" 고백 [17] 그리스인죠스바 2010.07.24 5719
122963 인셉션 같은 영화 또 없을까요??? [12] 633 2010.07.24 7447
122962 [Red] 공식 트레일러 - 브루스 윌리스, 헬렌 미렌, 존 말코비치, 메리 루이즈 파커, 모건 프리먼, 칼 어번 [2] 프레데릭 2010.07.24 2099
122961 야간에 신호등 끄는거 너무 위험합니다 [18] setzung 2010.07.24 35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