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니셰린의 밴시'를 보고 잡담.

2023.03.20 13:34

thoma 조회 수:739

The Banshees of Inisherin, 2022

a062354c24f248250024861cae424cbf779c7ed7

스포일러가 될까요. 세부 내용은 없고 감상 위주지만 감상 자체가 스포일러일 수도 있습니다.

아일랜드라고 하지만 가상의 공간입니다. 

저는 보면서 상하수 처리는 어떻게 하고 사나 생각했는데 그런 생각은 불필요한 듯. 지금으로부터 백 년전인 1923년이라고 딱 시간대가 명시되나 생활비 조달(특히 콜름은 뭐해서 먹고 사나 모르겠어요) 비롯하여 상하수 처리나 가재도구에서 사극의 구체적인 사실성(더러움 기타 등등)을 기대해선 안 되는 거 같습니다. 

아일랜드의 저 시기 풍광과 펍 문화, 시골의 폐쇄성 등은 그대로지만 역사적 고증에 신경을 쓴 거 같진 않습니다.

강 건너처럼 가깝게 자리잡은 바다 너머의 본토에서 내전을 치루는 것이 빤히 보입니다. 이 이야기에서 내전은 아마도 파우릭과 콜름 두 사람의 다툼과 연결된 무엇이 있겠지만 저는 아일랜드 역사에 무지하고 이 영화를 그쪽의 상징으로 감상하고 싶진...감상하지 않으려고 결정했습니다(?) 

중심 인물들이 다 결혼하지 않았어요. 다른 가족이 이 이야기에는 필요없으니까요. 그런데 다 큰 남매가 아니 컸다라기 보다 콜린 파렐을 보면 늙어가는 남매라고 해야할 판인데 좁은 침실에 침대를 나란히 놓고, 잠자리만 보면 마치 유년의 남매같이 생활합니다. 파우릭이 어디가 모자란 사람이라면 몰라도(그러면 돌봐야 하니까요) 이건 좀 이상했습니다.


이 영화의 이니셰린이란 작은 섬은 일종의 상징적 장소, 관념적 사고 실험을 위한 장소라는 생각이 듭니다.

외딴 섬이자 산간 벽지이지만 인간 관계로만 보면 있을 건 다 갖추었습니다. 구성원이 얼마 안 되는 곳은 이런 게 훨씬 두드러지잖습니까. 소박함(순진함, 무지함)과 추악함과 비겁함과 경박함. 이런 것들이 굳은살이 된 지루함! 

콜름은 이런 것이 싫다고 하는데, 하지만 이런 것이 싫어 죽을 지경이면 어떤 인물의 선택대로 정말 죽는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어요. 인간의 조건으로 태어난 다음엔 살아가려면 어쩔 수 없지 않을까요. 자신의 내부에도 이런 것이 골고루 있지 않습니까. 어느 정도 참을 수 있는가의 문제이긴 한데 콜름의 경우엔 하루아침에 견딜 수 없이, 죽을만큼 싫어졌나 봅니다. 그 대상이 특정인에게 집중되니 너무 폭력적이 됩니다. 파우릭은 단순히 한 친구와 더 이상 교제하지 않게 된 것이 아니고 존재를 부정당하는 것이 됩니다. 

콜름처럼 몸담고 있는 현실에서 비틀고 나가려면 어떤 식이든 뜯겨나가는 부분의 고통은 따르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자면 폭력의 사용 이외엔 방법이 없는 것인지. 인간이 어떻게 폭력에 의지하게 되는지 생각하게 합니다.


좀 다른 얘기인데, 절교 해 보시거나 당해 보셨나요? 그냥 서서히 소원해진 것이 아니고 직간접으로 '절교'가 언급이 되는 상황을 겪어 보셨는지요. 청소년기에 저는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런 생각도 해 봤습니다. 저 정도는 아니지만 우정이든 사랑이든 인간이 남과 갖는 깊은 관계에서 알게 모르게 나의 이익을 따져 보고 경계를 만든다는 거요. 나보다 지성이나 유복함에서 오는 경험이 호기심과 매력을 유발하지 못하고 그런 면들이 나보다 못하다는 것을 안 이후에 내 시간을 투자할 이유가 있는지 의식이든 무의식이든 계산하게 된다는 거요. 깊은 관계만 그런 것도 아니고 생판 얼굴도 실제 인격도 모르는 게시판에서조차 우리는 누구와 더 말을 나누고 싶어지는가 그런 것이 있지 않습니까. 

모든 것은 '어느 정도인가'의 문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우리는 이런 불편부당함을 다 안고 감수하고 살고 있습니다. 이것이 대놓고 당연하다는 말은 당연히 아니지만요.

기억이 생생할 때 몇 자 써 보려고 시작했는데 두서가 없고 너무 설익은 생각들뿐이라 나중에 다시 볼 일이 있으면 다시 생각해 보고 싶네요.  


배우들 연기가 넘 좋아요. 특히 콜린 파렐은 본 중 최고였어요. 케리 콘돈, 브랜든 글리슨, 배리 캐오간 모두 좋습니다. 또 보고 싶네요.

콜린 파렐의 인상적인 눈썹이 이 영화에서 특히 활약을 잘 하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들을 통찰없는 글 대신 마구 올려 보아요. 파우릭과 그의 세계를 이루고 있는 주요인물들입니다.

cd8a2c01af54c6871918cb966f50d54d4f9976aa

c86940f2674d2f40c05abe20cba836d4eb1c1a47

e8e356b86e2bc6163eecb4945d53b87a7992894b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4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19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73
122956 여행 얘기지만 여행 얘기는 별로 없는 바낭 [15] 2023.04.18 398
122955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4] 조성용 2023.04.18 525
122954 [애플tv+] 샤말란의 스릴러 시리즈 '서번트'를 다 봤습니다 [17] 로이배티 2023.04.18 691
122953 Murray Melvin 1932-2023 R.I.P. [2] 조성용 2023.04.17 146
122952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그림들을 쪄 봤습니다. [5] Lunagazer 2023.04.17 440
122951 프레임드 #402 [4] Lunagazer 2023.04.17 114
122950 '집구석들' 읽고 잡담 [6] thoma 2023.04.17 240
122949 나스리가 축구 평론하는군요/에스프레소/메시 daviddain 2023.04.17 148
122948 여자와 남자의 나쁜점 [7] catgotmy 2023.04.17 579
122947 이별과 상실에 대해 [2] 칼리토 2023.04.17 299
122946 빛도 없는 땅속, 500일 산 여성 "동굴에 파리 들어와 힘들었다" [12] 왜냐하면 2023.04.17 621
122945 [넷플릭스바낭] 시작이 창대하면 끝은 미미한 것이 세상의 이치, '할로윈 엔드' 잡담입니다 [8] 로이배티 2023.04.16 357
122944 사네가 마네한테 했던 말은 daviddain 2023.04.16 204
122943 코인은 더러운 돈이 아닌가 catgotmy 2023.04.16 254
122942 고급지려는 노력 [4] 예상수 2023.04.16 439
122941 블랙핑크@코첼라2023를 보고 [1] 라인하르트012 2023.04.16 638
122940 프레임드 #401 [2] Lunagazer 2023.04.16 115
122939 토트넘 졌군요 [3] daviddain 2023.04.16 206
122938 2014.04.16 [4] 예상수 2023.04.16 196
122937 HBO Max를 Max 리브랜딩 [6] theforce 2023.04.15 40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