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니셰린의 밴시'를 보고 잡담.

2023.03.20 13:34

thoma 조회 수:739

The Banshees of Inisherin, 2022

a062354c24f248250024861cae424cbf779c7ed7

스포일러가 될까요. 세부 내용은 없고 감상 위주지만 감상 자체가 스포일러일 수도 있습니다.

아일랜드라고 하지만 가상의 공간입니다. 

저는 보면서 상하수 처리는 어떻게 하고 사나 생각했는데 그런 생각은 불필요한 듯. 지금으로부터 백 년전인 1923년이라고 딱 시간대가 명시되나 생활비 조달(특히 콜름은 뭐해서 먹고 사나 모르겠어요) 비롯하여 상하수 처리나 가재도구에서 사극의 구체적인 사실성(더러움 기타 등등)을 기대해선 안 되는 거 같습니다. 

아일랜드의 저 시기 풍광과 펍 문화, 시골의 폐쇄성 등은 그대로지만 역사적 고증에 신경을 쓴 거 같진 않습니다.

강 건너처럼 가깝게 자리잡은 바다 너머의 본토에서 내전을 치루는 것이 빤히 보입니다. 이 이야기에서 내전은 아마도 파우릭과 콜름 두 사람의 다툼과 연결된 무엇이 있겠지만 저는 아일랜드 역사에 무지하고 이 영화를 그쪽의 상징으로 감상하고 싶진...감상하지 않으려고 결정했습니다(?) 

중심 인물들이 다 결혼하지 않았어요. 다른 가족이 이 이야기에는 필요없으니까요. 그런데 다 큰 남매가 아니 컸다라기 보다 콜린 파렐을 보면 늙어가는 남매라고 해야할 판인데 좁은 침실에 침대를 나란히 놓고, 잠자리만 보면 마치 유년의 남매같이 생활합니다. 파우릭이 어디가 모자란 사람이라면 몰라도(그러면 돌봐야 하니까요) 이건 좀 이상했습니다.


이 영화의 이니셰린이란 작은 섬은 일종의 상징적 장소, 관념적 사고 실험을 위한 장소라는 생각이 듭니다.

외딴 섬이자 산간 벽지이지만 인간 관계로만 보면 있을 건 다 갖추었습니다. 구성원이 얼마 안 되는 곳은 이런 게 훨씬 두드러지잖습니까. 소박함(순진함, 무지함)과 추악함과 비겁함과 경박함. 이런 것들이 굳은살이 된 지루함! 

콜름은 이런 것이 싫다고 하는데, 하지만 이런 것이 싫어 죽을 지경이면 어떤 인물의 선택대로 정말 죽는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어요. 인간의 조건으로 태어난 다음엔 살아가려면 어쩔 수 없지 않을까요. 자신의 내부에도 이런 것이 골고루 있지 않습니까. 어느 정도 참을 수 있는가의 문제이긴 한데 콜름의 경우엔 하루아침에 견딜 수 없이, 죽을만큼 싫어졌나 봅니다. 그 대상이 특정인에게 집중되니 너무 폭력적이 됩니다. 파우릭은 단순히 한 친구와 더 이상 교제하지 않게 된 것이 아니고 존재를 부정당하는 것이 됩니다. 

콜름처럼 몸담고 있는 현실에서 비틀고 나가려면 어떤 식이든 뜯겨나가는 부분의 고통은 따르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자면 폭력의 사용 이외엔 방법이 없는 것인지. 인간이 어떻게 폭력에 의지하게 되는지 생각하게 합니다.


좀 다른 얘기인데, 절교 해 보시거나 당해 보셨나요? 그냥 서서히 소원해진 것이 아니고 직간접으로 '절교'가 언급이 되는 상황을 겪어 보셨는지요. 청소년기에 저는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런 생각도 해 봤습니다. 저 정도는 아니지만 우정이든 사랑이든 인간이 남과 갖는 깊은 관계에서 알게 모르게 나의 이익을 따져 보고 경계를 만든다는 거요. 나보다 지성이나 유복함에서 오는 경험이 호기심과 매력을 유발하지 못하고 그런 면들이 나보다 못하다는 것을 안 이후에 내 시간을 투자할 이유가 있는지 의식이든 무의식이든 계산하게 된다는 거요. 깊은 관계만 그런 것도 아니고 생판 얼굴도 실제 인격도 모르는 게시판에서조차 우리는 누구와 더 말을 나누고 싶어지는가 그런 것이 있지 않습니까. 

모든 것은 '어느 정도인가'의 문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우리는 이런 불편부당함을 다 안고 감수하고 살고 있습니다. 이것이 대놓고 당연하다는 말은 당연히 아니지만요.

기억이 생생할 때 몇 자 써 보려고 시작했는데 두서가 없고 너무 설익은 생각들뿐이라 나중에 다시 볼 일이 있으면 다시 생각해 보고 싶네요.  


배우들 연기가 넘 좋아요. 특히 콜린 파렐은 본 중 최고였어요. 케리 콘돈, 브랜든 글리슨, 배리 캐오간 모두 좋습니다. 또 보고 싶네요.

콜린 파렐의 인상적인 눈썹이 이 영화에서 특히 활약을 잘 하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들을 통찰없는 글 대신 마구 올려 보아요. 파우릭과 그의 세계를 이루고 있는 주요인물들입니다.

cd8a2c01af54c6871918cb966f50d54d4f9976aa

c86940f2674d2f40c05abe20cba836d4eb1c1a47

e8e356b86e2bc6163eecb4945d53b87a7992894b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35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90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057
123049 [bap] 2010 진천 힐링뮤직 페스티벌 [1] bap 2010.07.23 1839
123048 많이들 보셨겠지만, 스타크래프트 2 예고편 [3] 에이왁스 2010.07.23 1914
123047 [천둥소리 들으면서 바낭] 휴대폰형사 제니가타 아이, 사투리, 익명게시판, USB 모니터 외.. [11] 가라 2010.07.23 2593
123046 1. 잔디 깎은 것도 뉴스 2. 야구장에서 축구하기 [3] Nemo 2010.07.23 2361
123045 아주 달달하고 설레이는 로맨틱 영화 추천 부탁요. [24] Assam 2010.07.23 5355
123044 장현성씨 좋아요 (여우누이뎐의 대감마님) [6] 베이글 2010.07.23 3195
123043 진중권의 반박 글이 올라왔습니다. [21] 크게 휘두르며 2010.07.23 4412
123042 [듀나인] 중장기적 환율 전망 [6] bunnylee 2010.07.23 2580
123041 [남자의 자격]에 서장원씨가 출연했군요 [4] Neverland 2010.07.23 3613
123040 반바지+슬리퍼로 출근하기 [5] 7번국도 2010.07.23 3524
123039 인셉션 관람가능 문의... [8] kinema1995 2010.07.23 4644
123038 군대에서의 성추행 및 성폭행 (-19 및 미필분들은 충격받을 수 있으니 안보시는게 좋음) [20] wadi 2010.07.23 33710
123037 그 유명한 일본의 '푸시 맨' [4] 01410 2010.07.23 3198
123036 인셉션 한 줄 감상평 (노 스포) [2] 자두맛사탕 2010.07.23 3465
123035 음방합니다 run 2010.07.23 4219
123034 연합뉴스의 중산층 몰락론? [28] 7번국도 2010.07.23 3905
123033 뭔가 이상해요..................................... [11] bap 2010.07.23 3426
123032 저 안젤리나 졸리 보러가욧! [7] khm220 2010.07.23 4141
123031 듀나인) 유투브 재생과 익스플로러 버전이 상관이 있나요? [5] DH 2010.07.23 4411
123030 와타나베 켄과 닮은 배우. [6] 메리~메 2010.07.23 353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