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포) [파벨만스] 보고 왔습니다

2023.03.25 10:26

Sonny 조회 수:606

AKR20230317155700005-01-i-P4.jpg


확신을 가지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 영화는 걸작입니다. 정말로 걸작입니다. 저는 이 영화를 스필버그의 필모를 다 못깨고 봐서 아까울 정도입니다. 스필버그 특유의 그 부드러운 흐름으로 개인의 선명한 굴곡들을 훑으며 지나가는 그 능력이 이 영화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소개상으로만 봤을 때 상상할법한 클리셰들을 피해가고 있습니다. 일단 스필버그의 자전적 이야기니까, 보기 전에 다 그런 걸 상상하겠죠. 이 꼬마가 얼마나 영화에 미쳐있었고 또 얼마나 신동이었는지요. 그런 이야기도 있긴 합니다. 그런데 이 영화는 그것만 나열해가면서 "스필버그 더 비기닝" 같은 걸 보여주려고 하지 않습니다. 이 영화는 스필버그가 얼마나 천재였고 열정적이었는지를 주목하는 영화가 아닙니다. 


제목이 [파벨만스]니까 당연히 가족이야기죠. 이 지점에서 관객들은 또 익숙한 이분법적 세계를 떠올리게 됩니다. 영화와 가족을 두고 팽팽히 줄다리기를 하는, 그러면서 종국에는 영화가 가족을 하나로 합치거나 가족을 통해 영화를 완성하거나 하는 정반합의 어떤 세계 말이죠. 이 영화는 그렇게 안흘러갑니다. 가족과 영화는 스필버그에게 어떤 옵션이 아닙니다. 둘 중 하나를 택할 수 밖에 없다면서 예술에 대한 연설을 하는 장면도 있고, 이 영화에 또 그런 부분도 분명히 있습니다만 뻔한 가족드라마로 흘러가지 않습니다. 오히려 영화와 가족이 서로 트리거가 되는 갈등의 순차적 연쇄에 더 가깝습니다. 물론 영화도 하면서 가족의 소중함도 깨달아가는 그런 뻔한 드라마는 더더욱 아닙니다. 이 작품에서 가족과 영화(꿈)의 키워드는 훨씬 더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이 영화는 영화에 대한 영화입니다. 모두가 상상하는 것처럼 영화 제작현장의 비하인드도 나오고 영화에 미쳐있는 스필버그 본인도 나옵니다. [열차의 도착]을 연상케하는 장면도 당연히 나옵니다. 영화에 매혹된 사람으로서의 이야기도 나오죠. 그런데 생각보다 그런 영화 제작이나 영화 자체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 영화는 한 개인의 이야기이지 모든 씨네필들을 대변하려는 영화가 아니거든요. 영화에 대한 영화이지만 이 작품이 다루는 영화는 하나의 매체라기보다는 삶에 끼어있는 누군가의 목표입니다. 이 작품에서 영화는 그 자체로서의 마법같은 것이 아니라 어떤 사실을 알리거나 가린다는 점에서 당사자들이 삶에 영향을 받는 계기로서 훨씬 더 중요하게 작동합니다. 그런 점에서 스필버그가 이 작품에서 드러내는 영화에 대한 애정은 훨씬 더 땅에 붙어있으면서도 오묘한 것입니다.


저는 헐리우드 영화를 보면서 완성도를 기대하지 수수께끼를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스필버그의 이 작품은 저에게 너무 큰 수수께끼를 던지고 있습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는 분명히 납득하고 있는데, 보기 전에는 절대 믿지 못했을, 보고 나서도 왜 이게 납득이 되는지 다시 알 수 없게 되면서 의문의 소용돌이가 제 안에서 계속 휘돌고 있습니다. 저는 스필버그가 이 영화를 만들 수 밖에 없던 운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이야기를 여태 품고 있었던 게 너무 대단하게 느껴질 정도로... 


@ 저는 어떤 생각까지 하고 있냐면, 오스카 심사위원들이 젊은 척을 하기 위해서 에브리띵...을 고르고 이 영화를 일부러 외면했다는, 불공정한 심사를 했다는 생각마저 하고 있습니다. 오스카는 이 영화에 최소한 각본상, 감독상, 작품상을 줬어야 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2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2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49
123052 조희연씨가 아들 하나는 잘 키우셨군요. [7] soboo 2014.05.29 5892
123051 한편 러시아에서는.... [10] Regina Filange 2013.01.18 5892
123050 끊임없이 화가납니다 [26] 103호 2013.08.28 5891
123049 진중권 VS 변희재 사망유희 불판 깔아봅니다. [54] chobo 2012.11.11 5891
123048 개그맨 안영미의 외모 자신감 [10] 가끔영화 2013.08.30 5890
123047 아니 젠장 꼴보기 싫은 인간이 좋아하는 프로그램에 나와 미치겠네요. [5] chobo 2013.03.02 5890
123046 다이어트 까페에 올린 내 누드 사진이 남의 전시회에..... [17] One in a million 2011.07.01 5890
123045 [오랫만에바낭] 결혼생활에서 가장 민감하고 민망한 일 [24] 비네트 2010.08.25 5889
123044 여자가 좋아할 것 같지만 증오하는 32가지 [29] management 2011.05.26 5888
123043 이센스가 다듀의 개코를 디스했습니다.. [19] 루아™ 2013.08.23 5887
123042 김기덕 감독, 에스프레소.. 어울립니까?.. [28] 서리* 2011.09.12 5885
123041 [나가수] 앞으로 섭외할만한 가수들을 총망라해볼까요 [30] 미리 2011.03.28 5885
123040 아저씨들 옷 잘입네요. [15] 자본주의의돼지 2013.10.25 5884
123039 카라 무대의상이 몇년 전 구찌 컬렉션이랑 너무 비슷해요... [11] 둘세데레체 2012.08.26 5884
123038 회사에서 후배가 반말하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15] DH 2012.04.20 5884
123037 오레오 오즈 섭취;;후기 [10] 씁쓸익명 2013.04.26 5884
123036 제주도에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28] 멍멍 2010.08.27 5883
123035 에릭의 정리 [28] 눈의여왕남친 2011.08.13 5882
123034 (혐오)▼아래글 혐오사진 주의(냉무) [37] 쿠도 신이치 2013.01.25 5881
123033 sm은 소속가수들을 어떻게 포지셔닝 하고 싶은 걸까요? [23] 방문객21 2013.05.07 588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