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스테르담'을 읽고 잡담.

2023.03.25 20:18

thoma 조회 수:302

소설이 200페이지가 안 되어서 금방 읽네요. 저는 책 읽는 속도가 느린데 이 작품은 페이지를 열어놓고 뭉그적거리게 만드는 소설은 아니었어요. 

한 여자의 장례식장에서 중심 인물 네 명이 소개되며 이야기가 시작돼요. 여자의 남편, 정부, 옛애인이었으며 친구로 남은 두 남자. 이 중에 죽은 여자 몰리의 애인이었다가 친구로 남았고, 서로가 또한 오랜 친구이기도 한 클라이브와 버넌이 주인공입니다. 클라이브는 유명 작곡가이고 버넌은 전국일간지의 편집국장입니다. 

68세대였고 이제는 다들 영국 사회의 상류 계층이 된 사람들입니다. 이 부분에서 소설의 목표가 짐작되실지도요. 

두 중심 인물의 직업 세계가 이야기 전개에 중요합니다. 그래서 소설의 짧은 분량에 비해 꽤 소개되는 편인데 저는 클라이브 부분에서 곡을 쓰는 과정을 읽을 때 소설 쓰기의 과정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어 인상적이었어요. 제가 써 본 건 아니고ㅎ 책에서 본 것이지만요. 소설가가 쓴 작곡가의 일이니 당연한 것 같기도 합니다.


'암스테르담'을 다 읽고 나자 생기는 감정에서 제가 이언 매큐언의 소설을 별로 챙겨 읽지 않았던 이유를 알 것 같았습니다.

이 소설의 형식은 잘 짜인 거 같고 역자의 후기에 나오는 말대로 '절묘한 솜씨'가 느껴집니다. 그런데 그 잘 짜인 구조 안에 담긴 후반의 결정적 사건이 설득력이 떨어진달까 급작스럽습니다. 등장하는 네 명의 장년 남자들이 다 비호감입니다. 그 중에 두 명은 대놓고 역겹게 그리고 있고 두 명은 내면을 따라가게 해서 변명을 듣게 하는데 마지막에 가면 클라이브가 내내 매달려 일하던 교향곡처럼 이 둘의 내면의 목소리가 용두사미의 느낌이 있습니다. 

'이러이러한 내면 풍경의 절실함이 어떤 행동을 가져오게 함'이어야 하는데 '이런 행동을 할 정도니 얼마나 내면이 파손된 상태였겠느냐'로 매듭지으려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저는 소설을 읽으면서 잘 짜여져 있는가, 기교적인가, 등을 의식하지 않아요. 인물의 매력에 많이 끌리는 편이고 사건의 재미, 이야기 자체의 설득력이 중요한 편입니다. 평범한 독자는 대부분 그럴 걸요. 읽고 나니 참 좋았네, 왜 그런가 생각해 보니 균형 있게 잘 짜여진 이야기란 점도 한 가지 이유야, 이러지 않을까요. 그런 좋은 소설을 뒷받침하는 '보이지 않는' 이유 부분은 전문가들이 분석하겠지요. 그런데 이 소설은 구조나 기교를 이야기하게 되네요... 아마 내용상 급작스러운 느낌이 있어도 제가 이입할 부분이 많거나 애정이 가는 인물이 있었다면 다르게 감상했을 것 같습니다. 작가가 소설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을 비판적으로 보면서 거리를 두고 전개시키는 작품은 독자에게 애정을 얻기가 힘들다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이입이니 동화 같은 것을 유도하지 않으면서도 마음을 쥐고 흔드는 훌륭한 소설들은...고전이 되겠지요. 그래서 고전이 달리 고전이겠습니까. 

번역은 좋았어요. 박경희라는 분인데 독일에서 번역학을 공부하셨네요. 독일 소설을 더 많이 번역한 거 같은데 영어도 잘 하시나 봅니다.


주말 계획을 달성했는데 주말이 아직 반 남았습니다! 그래서 계획은 널널하게 세워야 합니다. 하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8
122978 [듀나In] 한국 콜마 라는 화장품 회사에서, 대한민국 화장품 80% 이상을 만든다는데 [14] espiritu 2013.03.11 5915
122977 대접 받으려는 사람은 솔직히 가게 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51] art 2011.06.07 5914
122976 영화 감독의 연봉. [7] 자본주의의돼지 2013.03.14 5913
122975 남자 헐렁이 바지 유행 컴백 임박? [17] 킹기돌아 2013.01.31 5913
122974 섹스가 좋은 것이긴 하지만... [24] 메피스토 2013.04.19 5912
122973 실제론 친노는 안철수의 안티예요. [53] troispoint 2012.09.19 5912
122972 중학생과 성관계 교사 복직 [27] 메피스토 2011.08.06 5912
122971 [공지] 오키미키님이 강퇴되었습니다, [6] DJUNA 2012.10.16 5911
122970 느낌적인 느낌이 무슨 느낌인가요? [12] 103호 2012.08.29 5911
122969 상대방의 결혼 여부를 확인 할 방법이 없어지는 줄 알았는데 아니군요.. 도야지 2011.04.13 5911
122968 [바낭] 인간관계와 결혼식 [22] Planetes 2010.12.29 5911
122967 방금 스타골든벨, 나르샤가 김정민 루머에 대해 직접 밝혔네요 [4] mezq 2010.09.25 5911
122966 퇴직을 고려하는 30,40대에게 유망한 직업은 뭘까요? 자격증은요? [5] 살구 2010.09.03 5911
122965 [19금? SNL 코리아 호스트 포미닛] 순결한 재범씨, 응교, 입닥치자 [6] the end 2013.04.28 5910
122964 여의사 부끄럽다 치료거부, 환자사망... [12] clancy 2012.07.23 5910
122963 어제 무도에 나온 한의사 진짜로 저렇게 진료하나요? [11] zerokul 2013.07.21 5909
122962 [펌] 일본 관료주의... 뭐 이런 것들이 ㅡㅡ;; [16] 01410 2011.03.19 5909
122961 여초 사이트에서는.. [32] 수퍼소닉 2013.03.26 5909
122960 김정은의 초콜릿에서 연아 노래 불렀어요 [11] 사람 2010.08.02 5909
122959 김광진 의원 놀랍네요. [29] 푸른새벽 2016.02.23 59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