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틴 베크 9권 '경찰 살해자'

2023.04.05 20:26

thoma 조회 수:279

나온지 며칠밖에 안 된 따끈따끈한 마르틴 베크 시리즈 '경찰 살해자'를 막 읽었습니다. 스웨덴에서 출간된지는 50년이 다 되어 가네요.

지난 해 6월 말에 8권이 나왔으니 7개월 후에 나온 9권입니다. 이제 올 하반기에 나온다는 시리즈의 마지막 권만 남겨 두었어요. 아이고 아쉽습니다.

좋아하는 시리즈라서 작년 7월에 8권을 읽은 후에도 게시판에 소개했었죠. 

책 표지 사진 아래에는 내용이 조금 들어가 있습니다.

8954697275_1.jpg

이번 소설의 제목인 '경찰 살해자'는 중심 사건이 아닙니다. 주가 되는 사건 즉, 시작 부분에 소개되고 대부분 분량을 차지하면서 수사되고 마지막에 해결되는 사건과 결부되어 있는 다른 사건에서 온 제목입니다. 그래서 소설의 반이 지나도록 왜 이 작품의 제목이 '경찰 살해자'인가 의아하게 됩니다. 엘릭시르의 이 시리즈는 살짝 작은 판형으로 나왔는데 500페이지 분량의 소설 중에 290페이지 정도에 이르러서야 제목과 관련된 사건이 등장하거든요. 주사건을 마르틴 베크가 끈기 있게 수사하지만 두 사건에 다 관여했던 절친이자 소중한 동료인 콜베리의 '육감'이 사건 해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분량의 면에선 주가 아니지만 '경찰 살해자' 사건은 이번 작품의 주제면에서는 중심이 됩니다. 그래서 제목이 되었겠고요.


콜베리가 사직서를 씁니다. 경찰 고위층에 대한 불신, 관료적이고 전시행적적인 행태, 경찰 동료들의 전반적 수준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조직에 소속감을 잃어가다 결단을 냅니다. 마르틴 베크 비롯 시리즈의 중심 인물들이 다 나이들어 가면서 승진을 할 위치에 이르니 악화일로인 경찰 조직에서 고위직을 원치 않는 선택일 것입니다. 

이 시리즈를 시작하며 마이 셰발, 페르 발뢰 두 작가는 범죄수사 이야기로 스웨덴 사회의 부정적인 면과 위선을 드러내고 싶었을 겁니다. 자신들 사상이(마르크스주의자였다고 합니다) 작품에 녹아 들고, 역할하기를 바라는 면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현실 경찰이 나날이 시민과 적대적이 되며 믿을 수 없는 집단이 되어 가는데 경찰에 소속된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경찰 개인의 능력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끌어 가는 것에 한계를 느끼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냥 제 짐작입니다. 이번 소설은 경찰들을 데리고 경찰 조직 문제를 비판하는 내용의 정점인 듯합니다.  

50년 전의 스웨덴인데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경찰 조직이라든가 미래가 없다고 느끼는 젊은 세대라든가를 묘사한 것을 보면 지금 우리 사회가 배경이라 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겹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다른 나라 사람들은 복지국가인 그들 나라에 대한 부러움을 표하지만 소설 속에서 당사자들은 암담한 사회라고 욕하고요. 

 

늘 느끼지만 김명남 씨의 번역이 좋습니다. 인물들의 특성이 잘 살아나는 것도 번역의 공이 있을 거 같습니다. 

'그녀'라는 지칭을 쓰지 않습니다. 시리즈의 이전 책도 그랬는지 확인하진 않았는데 이번에 읽으며 눈에 확연히 띄네요. 삼인칭으로 여성을 지칭할 경우에 이름을 쓰거나 '그 여자'라고 부르거나 '그'라고 씁니다. '그'는 서술상황에 다른 남성과 혼동의 우려가 없을 때 쓰는 것 같았습니다.

이 소설에 이전 사건의 범인들이 형기를 마치고 재등장하고 있었는데 앞선 시리즈 중에 특히 좋았던 '연기처럼 사라진 남자'의 인물이 나와서 재독하고 싶어졌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4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4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99
123218 울나라 대학생활 스릴러물 <치즈 인더 트랩>..... [21] 환상 2011.03.28 6007
123217 고양이 교미하는걸 봤네요 [7] 사과식초 2011.03.02 6007
123216 얼린 바나나 맛있는거 다들 아셨나요? [25] 103호 2011.07.16 6006
123215 외국어 대충 한두달하면 PT정도는 하는거 아닌가요 [19] 킹기돌아 2012.09.10 6005
123214 30살 여자 결혼식 복장 ㅠㅠ [15] 블랙북스 2012.04.11 6005
123213 (바낭) 친구와 쇼핑하다 당황했어요... 원래들 그러시나요? [45] sweet-amnesia 2011.09.08 6005
123212 스미스를 아시나요? [20] 툴루즈로트렉 2013.05.08 6004
123211 현대카드 망하겠네요 [14] 닥터슬럼프 2012.04.26 6004
123210 [도와주세요]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한국에서의 이용에 관한 질문 [20] iggy 2019.11.27 6003
123209 친구가 사기 당한 얘기..듀게 분들도 이사람 조심하시길.. [8] 베레 2014.05.08 6003
123208 (기사) 사학재벌의 딸 나경원에게도 이런 아픔이 [21] chobo 2011.10.04 6003
123207 브래드피트&졸리의 아이들 [22] 모메 2010.08.27 6003
123206 루드비코씨가 듀나 광빠랍니다 [12] 자두맛사탕 2012.11.29 6002
123205 '임성한작가' ....스포츠조선이 유족말만 듣고 소설 쓰려던게 맞는듯 [26] soboo 2012.02.13 6002
123204 심플한 디자인의 가구를 파는 사이트나 매장을 아시나요?^^ [20] 멍구 2011.01.28 6002
123203 렛미인2 (케이블 성형 프로그램) 모음. [6] 자본주의의돼지 2012.11.09 6001
123202 산낙지 질식사 보험금 사건..... 아시나요 [16] gomorrah 2011.07.24 6001
123201 타블로는 고소하지 않으면 끝나지 않겠네요 [21] 사과식초 2010.06.15 6000
123200 깊게 파인옷을 입은 여성의 경계심에 대한 궁금증 [21] skyworker 2013.03.24 5999
123199 원빈이니까 그나마 [30] 닥터슬럼프 2012.10.09 599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