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이나 플레잉이 아니라 정말 돈 받고 진행하던 (architectural construction)프로젝트의 Conceptual design의 final 보고서에 이용해봤습니다.

영문으로 제출해야하는 보고서여서 질문은 파파고의 도움을 받아서 영문으로 요청을 하여 A4용지 다섯장 분량 정도의 텍스트를 얻었는데

전문적인 내용의 퀄러티가 거의 손 볼 것도 없이 그냥 써도 되는 수준이었고, 영어로 된 문장의 수준이야 뭐…. 당연히 오탈자 감수할 필요도 없는 보고서일 수 밖에 없고

그래서 그대로 편집하여 제출하였는데 그 보고서를 받는 클라이언트측 뿐만 아니라 후속작업을 맡아 진행할 전문가 그룹 어디에서도 아무런 어필이 없는 형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완벽에 가까운 보고서를 만들어 냈어요.  대략 하루정도 걸릴 일을 10분만에 끝냈습니다. 다만, 여기서 질문을 고민하고 정리하는데 걸린 시간은 뺐습니다. 


요즘 이 업계에서는 ‘질문’을 잘하는 엔지니어의 몸값이 높다던데, 이런 보고서 작업을 수도 없이 많이 해본 해당 분야 전문가가 이미 수개월간 진행해온 프로젝트였으니

아마도 나는 그 누구보다 좋은 질문을 할 수 있었었을거에요.  


미심쩍어 하면서도 짤막한 사전정보를 담은 간단한 질문을 던지자 마자 후두둑 화면을 가득 채우는 답변을 보면서 현재 AI 가 어떤 실용성과 한계를 갖고 있는지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간혹 영화에 나오는 대화형 AI의 모델은 이미 상용화 수준에 이르렀다는 걸 실감할 수 있었어요.

불특정 다수에게 오픈된 AI 의 수준이 이정도라면 지구상 어디즘에는 이미 상당한 수준의 AI를 꽤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있었겠구나 싶었고

이제 수익모델까지 구축하여 인류역사상 최고의 속도로 유저풀의 규모를 늘이고 있는 상황은 그 발전 속도를 더욱 가속화 시킬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한편, 이런 ai로 인하여 어떤 인력이 대체될 수 있는가? 혹은 어떤 일자리가 없어질 수 있는가?

적어도 5년 이하 경력의 보조업무 스텝들 설자리가 없어지겠더군요.

충분한 업력에서 나오는 인사이트가 필요 없는 정보와 레퍼런스의 수집과 정리 능력은 웬만한 초짜들보다 나아요. 그 초짜들이 일주일을 매달려 열심히 일해도 나오기 어려운 아웃풋이 나옵니다.

그만큼 시간과 에너지가 절약이 된다는것이고 크리에이티브 업계에서는 아주 빠른 속도로 실무에 응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만큼 이 분야에서 신규채용 규모가 더욱 더 축소 되겠죠? 


업무에 먼저 사용해보고 오 이거 봐라? 싶어서

잡담도 나누어 봤습니다.  

그런데…. 웬만한 사람보다 대화상대로 좋더군요.  무식해서 아무소리나 지껄이는 대부분의 인간 멍청이들보다는 나아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17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72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674
123127 [바낭] 집들이가 부담스러운가 봅니다. [23] 가라 2011.06.17 5989
123126 <바낭 궁금> 어른이랑 얘기할 때 주머니에 손 넣고 있는 건 왜 예의에 어긋나나요? [34] cnc 2012.11.14 5988
123125 스노비즘이 뭔가 순간 헷갈려서 사전을 봤습니다. [21] catgotmy 2010.08.01 5988
123124 유아인의 트윗에 대한 어느 여고생의 생각 [21] 작은가방 2012.12.21 5985
123123 절호의 찬스! [1] 얏호 2010.06.02 5985
123122 유니클로에 사람 미어터지네여 [11] 런래빗런 2012.10.20 5984
123121 정성일에 대해서 [43] raven 2010.09.06 5984
123120 남자의 자격 합창대회 참가 동영상 (일종의 스포죠? ^^) [9] @이선 2010.09.04 5984
123119 시골의사 박경철의 과거 인터뷰 논란 [30] nomppi 2011.09.06 5983
123118 SBS 동물농장 황구 조작방송 그리고 구조대원의 고충 [23] 사과식초 2011.07.31 5983
123117 정가은 같은 타입이 제일 무서워요.. [10] art 2011.06.03 5983
123116 러브호텔 단상(19금 일지도..) [25] 오늘은 익명 2011.05.17 5983
123115 스미스를 아시나요? [20] 툴루즈로트렉 2013.05.08 5981
123114 [펌] 마재윤 아프리카 방송 금칙어 [10] eltee 2012.06.28 5981
123113 [바낭] 평생 동안 배우자를 기만하지 않고 사는 사람은 몇%나 될까요? [33] 침엽수 2013.09.20 5980
123112 아이돌의 성공 스토리는 좀 식상하고 불편하네요. [26] 푸른새벽 2011.06.09 5980
123111 피카츄 봉제 인형을 보고 생각난 아버지. [24] 말린해삼 2011.01.07 5980
123110 메피스토의 누드사진 공개, 잡담들 [9] 메피스토 2010.08.11 5980
123109 한국에서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나만의 생각이 있나요? [73] Arete 2014.02.18 5979
123108 들을수록 야한 노래 [12] 칼리토 2013.02.05 597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