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가 사랑한 나무들을 읽고

2023.04.15 18:09

Sonny 조회 수:230

이 책은 저에게 두가지 질문을 던집니다. "나무"라는 것은 어떤 존재인가. 그 나무를 각기 다르게 표현하는 미술은 어떤 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는가. 이 책을 읽은 뒤 저는 버스를 타고 가면서 차창 너머로 여러 나무들을 조금 다르게 보고 있습니다. 미술에 문외한인 저조차도 여러 그루의 나무에서 미술적 가능성을 탐색하면서 보게 됩니다. 저 나무의 나뭇잎들은 어떻게 점점이 찍을 수 있을까. 저 정도로 잎이 무성한 나무들이라면 보다 추상적으로 뭉갤 수 있지 않을까.

어쩌면 나무들이 자라는 이 세계는 이미 신의 화풍 아래 완성된 한 폭의 캔버스일 것입니다. 그러나 어떤 화가들은 '아름답다', 혹은 '푸르다'는 단순하고 일차원적인 해석을 맹렬히 거부합니다. 인기가 높은 화가인 클림트와 고흐의 나무들이 이 책의 앞장에 배치된 이유는 보다 유명한 재해석들로 나무를 새로 보라는 초대장인 것 같습니다. 이들의 그림 속 나무들은 신이 그려놓은 나무들을 대범하게 뒤틀어놓았습니다.

클림트의 <배나무>는 나무가 빛을 머금은 존재처럼 보이게 그려놓았습니다. 중간중간 노랗게 칠해진 배들은 과실이 아니라 보석처럼 보입니다. 그것이 나뭇잎의 짙은 원색과 어우러지면서 명멸하는 것처럼도 보입니다. 나뭇잎들과 배 그리고 수많은 색들은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거의 모든 공간을 점령해놓았습니다. 클림트는 자신의 다른 작품에서도 보이는 극도의 화려함과 번쩍거림을 나무에도 적용했습니다. 그가 그린 나무는 무한에 가까울 정도로 가득한 재물의 이미지를 풍깁니다.

고흐의 <사이프러스>는 빛을 배제한 것처럼 사이프러스 나무를 구현해놓았습니다. 누가 봐도 첫눈에 아지랑이 혹은 불꽃을 연상시키는 고흐의 나무는 나무 자체의 내부적 에너지가 전체공간을 왜곡시킨다는 느끼마저 듭니다. 그 나무는 하늘로 상승하려고 꿈틀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고흐의 눈에 사이프러스 나무는 고정되어있고 반응이 미약한 존재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솟아올라가는 에너지의 결집체였던 것 같습니다.

보통 사람이 나무를 볼 때 그 자체로 보고 멈췄을 해석을 두 화가는 훨씬 더 밀고 나아갔습니다. 한명은 빛이 반사되며 규모가 과장된 모습으로, 다른 한 명은 빛을 배제한 채 연속으로 일그러지는 형태가 과장된 모습으로 나무를 표현했습니다. 화가의 자기 세계를 만났을 때 나무는 완전히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피사체로 돌변합니다. 이 책의 재미있는 점은 계속해서 각기 다른 화가들의 나무를 만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이 책을 읽는 것은 한편으로 각기 다른 화가의 나무들이 모여있는 숲을 산책하는 기분도 들었습니다. 열대기후의 숲에서 갑자기 메마른 숲으로 건너뛰는 것처럼 화가들이 재창조해놓은 완전히 다른 숲들을 탐험한다고나 할까요. 하나의 소재로 다른 표현들이 묶여있는 이런 책은 오히려 소재 자체에 대해 깊은 생각을 유도하더군요. 특히 그 표현의 추상성이 전혀 다른 나무그림들 혹은 나무라고 하기엔 심하게 짓뭉개진 어떤 그림들을 보면서도 왜 나무인 걸 알 수 있는지, 나무의 어떤 시각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추적하는 것도 즐거웠습니다.

제가 제일 흥미롭게 봤던 화가의 나무는 클레어 켄식과 르네 마그리트입니다. 클레어 켄식은 일반적으로 '녹음'을 먼저 떠올리게 하는 나무들의 배경에 노을을 덧입히면서 불길하고 비밀스러운 기둥들처럼 나무들을 그려놓았습니다. 그의 그림 속에서 나무들은 위험을 알아차리지 못하게 하는 뻔뻔한 연막같습니다. 르네 마그리트의 나무는 살아있는 존재가 아니라 해독불가의 프랙탈 기호처럼 그려진 게 신비롭더군요. 가지들의 끝이 하나의 점을 이루면서 완벽한 형태의 도형을 이룬다는 점에서 나무가 사실 얼마나 이상한 자연인지를 다시 곱씹게 됩니다. 그 두 화가의 나무들을 보면서 저는 일상 속의 나무들이 어떤 불안과 암호를 숨기고 있는지 혼자만의 미스테리에 빠져들게 됩니다.

@ 그림 파일 첨부가 어려운 관계로 책이 있으신 분들은 책을 참조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1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21
123217 김연아 프리 의상 떴네요 [15] zaru 2012.12.09 6011
123216 축구 이겼습니다!!! 으하하하하 [18] 꼼데 2012.08.11 6011
123215 배가 뜨거워요. [1] 닥호 2013.03.10 6010
123214 [나 가수 뒷담화] 5 옥타브라니? 너무 한 거 아닌가요? [7] 빨간먼지 2011.06.22 6010
123213 었다 와 였다의 차이.. 그밖에 띄어쓰기.. [12] 칭칭 2010.12.08 6010
123212 그리스 로마 신화를 잘 알려면 무슨 책을 읽어야 할까요? [15] 피로곰 2010.09.01 6010
123211 캡틴아메리카-윈터 솔져는 쿠키가 두개 있습니다.(스포는 댓글에) [6] 빠삐용 2014.03.26 6009
123210 회사에서 회식, 인간관계, 야근.. 다 세뇌인것 같아요, [27] bender90 2013.08.30 6009
123209 가사에 나이가 들어가는 노래는? [70] 애덤스 2013.05.09 6009
123208 어머님이 세 준 분의 집을 치우고 왔는데요.. [30] mana 2012.11.08 6009
123207 앤더슨 쿠퍼 커밍아웃 [20] Eames 2012.07.03 6009
123206 요즘 유행패션.jpg [21] 자본주의의돼지 2011.12.14 6009
123205 오늘 미친듯이 웃었네요 ㅋㅋㅋㅋㅋㅋ [7] 유은실 2012.08.18 6009
123204 나는 꼼수다 후드티 발매 + 착용 사진 [8] 라곱순 2011.10.25 6009
123203 남이 하면 로맨스 내가 하면 일상 [28] 씁쓸익명 2013.08.10 6008
123202 (19금 설문) 사랑을 나눌 땐 이 음악을 틀어놓고 싶다, 혹은 튼다 [32] 마농 2012.11.13 6008
123201 "현명하고 차분한 모습의 한국 남자는 상상도 할 수 없다." "한국아저씨는 찌질해지는 건 필수" [32] NDim 2012.03.04 6008
123200 남격 박칼린 티쳐 완전 박카리스마네요, 진짜 멋있어요ㅠ.ㅠ [13] Paul_ 2010.08.29 6008
123199 이태원, 타르틴 - 사과파이와 버터타르트의 위엄 [21] 01410 2010.08.14 6008
123198 [유튜브] 낸시랭, 변 모 님보다 한 수 위네요 [16] espiritu 2013.03.05 600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