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사교댄스란..)

2023.04.19 14:58

thoma 조회 수:537

이 집은 감나무 집이라고 불렸던 한옥이었습니다.

경주나 전주 같은 곳에 가면 있는 진짜 기와와 전체를 통나무들로 서까래를 인 그런 집은 아니고 방, 마루, 방, 부엌의 일자 구조에 방 양면에 미다지 문, 중간의 마루 천장은 나무 서까래를 하고 있어 한옥 느낌을 풍부하게 내는 약식 한옥이었습니다. 이쯤 쓰다 보니 저의 보호자들은 이사를 다니는 김에 다양한 주거 양식을 맛보려는 의도가 있었나 새삼 궁금해지네요. 더울 땐 마루를 뒹구는 것도 좋고 평상에서 점심을 먹기도 좋아서 괜찮았지만(감나무에서 송충이 떨어지는 것만 조심) 겨울엔 너무 추웠던 기억이 납니다. 사면의 벽 중에 두 벽이 문이니까요. 그것도 틈틈이 바람이 스며드는 미다지 문. 

이 집은 대문을 열면 정면에 한 채, 좌우로 한 채 씩 해서 비슷한 구조로 된 세 채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마당 이쪽저쪽 구석 큰 감나무가 두 그루 있었어요. 그래서 동네에선 감나무 집이라고 가리켰는데 시골도 아닌 지역에서 굳이 그런 이름을 붙여 부를 일이 뭐가 있겠습니까만 누군가 이 집을 물어가며 찾아오기도 했거든요. '근처에 오면 감나무 집이 어디냐고 물어'라고 일러 두지 않았을까 싶네요.


이 집은 집 주인이 따로 있고 세 가구가 다 세입자였습니다. 세 채 중 대문에서 정면의 집에 우리가 살고 오른 쪽엔 마흔 중반의 여성이, 왼 쪽엔 부부가 살았습니다. 오른 쪽에 사는 마흔 중반 여성의 직업이 사교춤 선생이었어요. 교습소는 자신의 방이었고요. 간판 같은 건 당연히 없었는데 알음알음으로 연결되어 찾아오는 것이었죠. 이분의 집은 방 사이의 벽(문짝)을 다 쳐내고 마루까지 포함한 길쭉한 형태로 마당 쪽으로만 미다지 문들이 세 개 있었습니다. 

오후부터 시작되면 저녁 늦게까지 댄스연습이 계속되었습니다. 전축에서 나오는 음악소리와 전등을 색깔 조명으로 빙글빙글 도는 걸로 달아서 사람들의 그림자가 문짝에 어른거리곤 했습니다. 커튼을 쳐서인지 그다지 시끄럽지는 않았어요. 춤 교습인지 모임인지가 매일 있는 것도 아니었고요. 방문을 닫고 tv를 보고 있으면 다른 채에서 벌어지는 춤판이 의식되진 않았습니다. 저는 그랬습니다.....만 나머지 집 사람들은(어른들) 점점 불안에 싸이고 불만이 치솟았습니다. 

모임이 있는 날이다 싶어지면 저의 보호자들은 저녁 먹고부터 방에서 나가지 마라고 했지만 그래도 화장실은 가야 했어요. 애(나)한테 좋지 않다 비슷한 말도 오가고요. 저도 알긴 했습니다. 잡지에서 무슨 춤바람 어쩌구라며 머리에 옷을 뒤집어 쓴 채 찍힌 여자들 사진을 봤거든요.(흥, 그저 여자들을 집에 붙잡아 두려고 말이죠) 

댄스 모임이 있는 날엔 여자 몇 명과 양복 입은 남자들이 몇 명 오고 아마도 춤 사이에 갈증을 달랠 맥주도 마시게 되고 그러다 보면 화장실 출입이 잦아지잖아요. 다른 집 사람들의 확실한 불편이 여기에 있었습니다. 외간 남자들의 화장실 출입으로인한 불편, 불쾌감. 다음날 선생이 물청소를 하곤 했으나 알코올로 생긴 냄새까지 씻어내진 못했으니까요.

이집 저집 사이에 다툼이 생기기 시작했고 날은 점점 따뜻해졌습니다. 춤을 추면 안그래도 더운데 봄이 되니 문을 꽉 닫고 출 수는 없었고 문을 여니 다른 집에서 드디어 집 주인에게 연락을 하게 되었나 봅니다. 이하 생략. 짐작하실 수 있는 전개가 되겠습니다. 


우리는 한을 들먹이는 만큼이나 신명의 민족이라는, 춤과 노래를 사랑하는 민족이라는 얘길하는데 남녀대중이 짝을 이루어 추는 사교댄스는 오랫동안 미풍양속을 해친다며 백안시되었었죠. 발레도 남녀가 짝을 이루어 추는데, 게다가 다리는 다 내놓고! 어째서 사교댄스의 짝지은 춤은 그렇게 싫어하고 혼자서 몸부림 치는(?) 막춤만 춰야 하는 걸까요. 요즘은 사정이 조금 괜찮아진 것 같기도 하지만... 저만 모르고 있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사교댄스 배울 의향 있으신가요.ㅎㅎ)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59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5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19
123179 검사와 피의자 [1] 왜냐하면 2023.05.12 239
123178 [웨이브바낭] 그래서 HBO 시리즈 버전 '이마 베프'도 봤습니다 [10] 로이배티 2023.05.11 471
123177 '면도날', 애플티비+'유진 레비 여행 혐오자 -' [2] thoma 2023.05.11 304
123176 외로움에 대해 [3] catgotmy 2023.05.11 303
123175 재미로 해보는 여러분의 플래이 리스트는? [7] Kaffesaurus 2023.05.11 394
123174 프레임드 #426 [4] Lunagazer 2023.05.11 107
123173 넷플릭스 신작 비프 추천(온전히 이해받는 것에 대해) [6] 가봄 2023.05.11 534
123172 술 한잔 안마시고도 필름이 끊기는 신기한(아님) 무서운 경험말고 하늘 사진들 [12] soboo 2023.05.11 564
123171 바티칸 엑소시스트를 보고 [2] 라인하르트012 2023.05.10 309
123170 [영화바낭] 장만옥이 짱입니다. '이마 베프' 영화판 잡담 [4] 로이배티 2023.05.10 485
123169 짬짜면은 누가 처음 생각해냈을까요. [9] Lunagazer 2023.05.10 508
123168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을 읽었습니다 [9] Sonny 2023.05.10 354
123167 프레임드 #425 [2] Lunagazer 2023.05.10 97
123166 축구 이적설 나오는 것 보다가 [2] daviddain 2023.05.10 187
123165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7] 조성용 2023.05.10 680
123164 메시 아버지가 이적설 일축 daviddain 2023.05.09 167
123163 이번 주의 책 짧은 잡담. [8] thoma 2023.05.09 364
123162 프레임드 #424 [4] Lunagazer 2023.05.09 117
123161 퀘이크 리마스터 (2021) catgotmy 2023.05.09 154
123160 [웨이브바낭] 돌프 룬드그렌의 호러!!! '돈 킬 잇: 악마 사냥꾼'을 봤습니다 [8] 로이배티 2023.05.09 3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