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버스라는 설정

2023.05.17 09:31

Sonny 조회 수:620

어제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하는 유운성 평론가의 비평에 대한 강의를 듣고 왔습니다. 강의는 재미있었는데 제 육신이 노곤을 이기지 못하고 쓰러져버려서 잠이 깰 때는 겸연쩍더군요. 그래도 후반부에 영화평론가를 영화 작품이나 감독에게 종속된 직업군인 것처럼, 모더레이터로 활용하는 지금의 기조에 대해 비판조로 말씀하시는 게 꽤 와닿았습니다. 비평은 현재 여행지가 사라져버린 기행문처럼 영화가 없더라도 읽을 수 있는 종류의 글이 되어야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신선했습니다.


유운성 평론가의 강연 중 제일 흥미로웠던 것은 멀티버스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스필버그의 [파벨만스]를 이야기하면서, 이 영화는 최근의 멀티버스 서사에 당황하는 것처럼 느껴졌다는군요. 스필버그는 본인이 제작에 참여했던 [백 투 더 퓨처]의 타임머신이나, 직접 감독했던 [캐치 미 이프 유 캔]의 위조 개념으로 정작 본인이 지금의 멀티버스 세계관의 창시자 같은 사람입니다. 어딜 가도 자신과 같은 자신이 있고 과거를 가든 미래를 가든 계속 '지금, 여기'라는 현재성을 느끼게 된다는 그 설정이 지금은 독립영화에든 상업영화에든 너무 당연하게 자리잡고 있어서 그걸 낯설어한다는 것입니다. 멀티버스 설정에서는 "돌이킬 수 없는"의 설정이 크게 먹히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다른 세계의 현재로 슉 가버리면 되니까요.


듣고보니 저도 저런 감각을 [어벤져스: 엔드게임]을 볼 때 느꼈던 것 같습니다. 살아남은 어벤져스들이 머리를 맞대고 내놓은 해결책이 멀티버스였죠. 그걸 보면서 좀 얍삽하다고 느꼈습니다. 죽음이란 사건의 가장 강력한 점은 절대로 되돌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한 영화의 러닝타임 안에서 일어난 일도 아니고, 심지어 전편에서 벌어진 죽음이란 사건을 어쩔 수 없이 납득한 관객들에게 '다른 세계로 가면 되지!'라고 하는 게 이 세계의 불변의 법칙을 함부로 건드리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픽션이라는 것이 종종 비현실적인 초월적 법칙을 제공해서 쾌감을 제공하는 것이긴 합니다만 모든 불행과 슬픔조차도 간단하게 무위로 돌릴 수 있는 이 세계관에 대해서는 뭔가 좀 의구심을 품게 됩니다. 글쎄요, 그게 그렇게 뚝딱 이뤄지는 일일까요.


멀티버스 안에서는 뭐든지 가능합니다. 모두가 바라는 성공과 행복은 물론이고 꿈도 꾸기 싫은 실패와 비참까지도 겪을 수 있습니다. 그야말로 체험의 전능함을 부여하는 이 세계관 안에서 우리가 깨닫는 것은 과연 현재, 이 곳의 나 자신일까요. 혹은 벌어지지 않은 세계를 근거로 들면서 무한한 가능성에 홀로 취하는 것일까요. 수천만의 세계 중에서 하나뿐인 세계라는 이 관념이 우리에게 어떤 감각을 부여할지 좀 의심스럽습니다. 유운성 평론가는 이 멀티버스를 오가는 느낌이 포르노 서칭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는데(유운성 평론가 본인이 제시한 개념이 아니라 이미 서구 평론가 쪽에서 나왔던 지적이라고 합니다) 그런 식의 유물론적 감각이 우리의 픽션세계설정도 바꾸는 것 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3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3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50
123510 호빗 캐릭터들의 키 비교.jpg [19] Bigcat 2014.12.29 6156
123509 책 스캔하기 [15] nyxity 2010.09.03 6156
123508 요리 아이돌 맹쉐프의 요리 [34] 사과식초 2015.05.28 6155
123507 성재기 부인 돌아왔군요 [8] 가끔영화 2013.07.20 6155
123506 저 이 분이 왜이렇게 좋죠? [10] isaactoast 2012.07.03 6154
123505 화장 전혀 못하는 30대 여자 사람. [20] 담쟁이 2011.04.14 6154
123504 미미시스터즈 "장기하와 합의이혼" [5] 달진 2011.03.11 6154
123503 크리스 에반스와 제레미 레너의 논란의 발언은 얼마나 문제가 있는가 [72] catgotmy 2015.04.24 6153
123502 어떤 카페를 탈퇴했어요. [16] 스위트블랙 2010.08.04 6152
123501 어느 유부녀의 바낭. [16] 물방울무늬 2014.03.06 6151
123500 버닝 (스포일러 있습니다) [7] 카페人 2018.05.18 6150
123499 그 많던 혼성그룹은 다 어디 갔을까요? - 90년대 혼성그룹 바낭.. [20] 보람이 2013.06.12 6150
123498 박근혜 5촌 조카들 살인사건. 한 편의 영화같은 일이네요. [16] 오맹달 2012.12.01 6150
123497 여름에 알면 좋은 생활팁 10가지 [25] 사과식초 2013.07.28 6149
123496 너..너무 귀여워서 버틸 수가 없따... [18] MAGNUM 2012.09.07 6148
123495 뮤직뱅크 박재범 순위가... [37] 로이배티 2011.05.06 6147
123494 스트레잇 나이트 문화 체험 후기. 얼마 전 동성애 논란에 대한 몇 가지 생각들 [49] 프레데릭 2010.11.15 6147
123493 M성형외과 괴담, 기사로 나왔어요 [5] 라곱순 2011.10.10 6146
123492 연가시.. 진짜 딱 CJ표 영화네요.. [20] mana 2012.07.06 6146
123491 허지웅과 듀게 아주마들 [23] 보이즈런 2010.10.19 614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