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부'를 읽고.

2023.06.15 23:04

thoma 조회 수:273

현암사의 나쓰메 소세키 전집 중 6권 '갱부'를 읽었어요. 

'갱부'에 대한 사전 정보는 없었기 때문에 이 작가가 광산을 배경으로 갱부 얘기를? 이런 소설도 썼다니 뜻밖이네, 라고 여겼고 어떤 이야기인지 궁금했습니다. 이전까지 읽었던 소세키의 주인공들은 도시에 사는 고학력자였거든요.  

이 소설은 광산의 작업 환경이나 그로 인한 갱부들의 고통을 문제삼거나 고발하는 작품이 아니었어요. 심지어 어떤 갱부의 개인적인 얘기도 아닙니다. 주인공이 '갱부'가 될 뻔하다가 만 이야기였습니다. 이 소설에서 실제로 채굴 현장 체험은 하룻동안의 오리엔테이션이 전부입니다.

 

300페이지 정도의 분량이며 내용은 단순합니다. 열아홉 살 주인공은 삼각 관계로 창피를 당하게 될 상황이 되자 죽어버리거나 자멸 상태가 되고 싶어 가출하는데 길을 걷는 중 어쩌다 만난 알선업자를 따라 광산까지 가게 됩니다. 갱부가 되면 여차하면 죽을 수도 있겠고 어두운 땅 속에서 사람들과 멀리하며 살 수 있으니 '자멸'의 상태에 가깝다는 생각으로 따라갑니다. 돈도 없고 뭐 될대로 되라는 마음이었으니까요. 처음에는요. 소설은 브로커를 따라 광산까지 가는 과정, 광산에서 다른 갱부들 틈에서 숙식하며 열악한 상황을 겪는 장면, 그 다음 날 탄광 속에서 하루를 보내며 고생 중에 어떤 사람과 만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물의 마음이 차츰 침착해지며 정리되는 마무리 부분이 있고요. 


죽고 싶어하던 사람이 유사 죽음 체험을 통해 살아가기로 생각을 바꾸는 이야기라 할 수 있어요. 생각을 바꾸게 되는 데는 갱 속의 지옥같은 열악함 때문만이 아니고 그 괴로운 경험으로 인하여 조성된 마음 상태에서 만난 특별한 갱부의 역할이 매우 큽니다. 문학이나 영화에서 상징적으로 꽤 쓰이는 '굴'이라는, 삶도 죽음도 아닌 장소를 통과하는 중에 은인인지 현인인지를 만나며 삶에 대한 마음가짐을 바꾸는 것입니다. 일종의 성장 소설입니다. 읽다가 보면 푹 빠지게 되고 몇몇 장면은 작가의 역량을 확인하며 기껍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다만 갱 내부를 헤메던 중에 그 특별한 갱부를 만난다는 설정은 작위적으로 느껴졌습니다. 소세키 소설적이지 않다는 생각을 했어요. 

소설 마지막 문장이 이러합니다. '내가 갱부에 대해 경험한 것은 이것뿐이다. 그리고 모든 게 사실이다. 소설이 되지도 못했다는 것이 그 증거다.' 소설이 되지도 못했다고 합니다. 왜 이런 말을? 당연히 겸양에서 하는 소리가 아니겠죠. 소설 속에 자살 명소로 유명했다는 게곤 폭포가 몇 번 언급됩니다. 소설 초반부터 언급되더니 갱 내에서 사다리에 매달려 힘이 빠지자 주인공은 여기서 죽는 건 개죽음이니 밝은 세상에 나가서, 게곤 폭포로 가서 죽어야 한다고 힘을 내기도 합니다. 소세키의 제자였던 고등학생 후지무라 미사오가 게곤 폭포에서 글을 남기고 자살한 후로 모방자살이 많았다고 하네요. 해설을 쓴 장정일 작가에 의하면 이 작품 '갱부'는 후지무라 미사오가 자살로 외친 인생의 허무에 대한 일종의 대답이라고 합니다. 

절망 끝에 다다른 탄광의 갱 속에서 만난 갱부로부터 예사롭지 않은 가르침을 듣는다는 설정은 '현실'이라면 가능할 수도 있지만 '소설'이라면 무리라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럼에도 작가는 포기할 수 없는 이야기를 제자 비롯 젊은이들에게 전하고 싶었나 봅니다. 쓸 당시에는 작가에게 절실했는지 모르겠지만 세월이 흐른 다음 읽는 독자의 눈에는 작가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 어색했습니다.

8932317038_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77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35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488
123827 괜찮은 남자가 씨가 마른 이유... [16] PeterCat 2011.11.28 6302
123826 박스웹 [3] hwih 2010.06.04 6301
123825 그것이 알고 싶다 스튜어디스 충격적이에요 [25] 흐흐흐 2015.01.11 6299
123824 외국, 특히 영미권 배우도 발연기가 있을까요? [39] 해삼너구리 2012.07.03 6299
123823 건강을 생각한다면 과일주스 드시지 마세요. [16] 닌스트롬 2014.03.06 6298
123822 현재 한국 커피집의 상황 [9] 황재균균 2012.07.17 6298
123821 슈스케3 '초강력' 스포사진 (탑10? 12?와 관련된거니...감당 할 수 있는 분만 클릭하세요.) [16] 자본주의의돼지 2011.09.10 6298
123820 듀나in) 고속버스 타는데 일반좌석과 우등좌석 차이가 크나요? [19] 꼼데가르송 2010.10.31 6298
123819 썰전 5분 감상 후 소감 - 김구라는 손석희를 넘었군요. [19] 생선까스 2013.03.03 6294
123818 [커피머신] 가정용 커피 머신 - Ⅰ. 캡슐머신에 관해서.. [13] 서리* 2011.01.02 6294
123817 박원순의 구두 [34] 푸른새벽 2011.09.08 6293
123816 오늘의 스티브 유, 망했어요. [23] chobo 2015.05.27 6291
123815 안젤리나 졸리 은퇴, 신정환 네팔 체류 [16] soboo 2010.09.29 6291
123814 오늘 임용고시 2차 발표나는 날 맞나요? [23] 으으으 2012.01.06 6290
123813 [뻥 아님] 태풍에 냥이랑 강쥐 날아가는 거 봤음;;;;;;;;;;;;;;;;;;;;; [16] 1분에 14타 2010.09.02 6288
123812 우리집을 공개합니다. [28] 자본주의의돼지 2012.05.01 6287
123811 [사진] 모 대학 막장 신입생 환영회가 이런거였군요 [25] wonderyears 2011.03.01 6286
123810 영화 촬영 현장의 그들.. (스압주의) [4] 보람이 2013.02.13 6285
123809 [올림픽] 대단한 박태환 / 협회가 버린 여자배구 [13] 레사 2012.07.29 6285
123808 친목과 친목질. [54] 잔인한오후 2013.01.30 628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