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과의 이별

2023.06.21 11:00

ally 조회 수:339

건강 문제로 술을 끊는다고 하니, 술 때문에 건강 문제가 있었던 것 같이 들리네요.

하지만 제가 술을 끊은 이유는 알코홀과 카페인 같은 자극제들이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 결과 심각한 두통이 생겨서 그럽니다.


젊고 건강하던 시절에는 술이나 커피를 한 두잔 마신다고 잠을 설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회사 회식 같은 자리에서는 술 권하는 사회 분위기상 과음씩이나 했던 적도 있는데요. 저랑 알코홀은 원래 그리 돈독한 사이는 아닙니다. 

막상 술을 끊으려고 보니 아쉬운 것은 술의 맛이나 술김에 사람들과 어울리는 즐거운 분위기가 아니라 뭔가 인생에 낭만이 사라진 것 같은 아쉬움입니다.


어려서부터 소설을 좋아했던 저는 성인이 되어 술을 마실 수 있기 전에 술에 대한 묘사들을 많이 읽었는데요. 어린이에게 책들에 등장하는 술은 흥미진진하고 신기한 무엇이었어요. 이전에 게시판에서 <보물섬>에 나온 럼주 묘사를 읽고 뭔지 궁금했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요. 제가 어렸을 때도 있던 맥주나 포도주, 막걸리, 소주 말고 양주나 칵테일들-럼주, 위스키, 보드카, 마티니, 진토닉, 맨하튼, 토디, 민트 줄렙 같은 이름은 다 책에서 먼저 보았거든요.

 

<보물섬> 해적들이 들이키는 럼주나 도프토예프스키 등장인물들 손에서 떨어지지 않는 보드카, 터프한 남자주인공이 탐정사무소를 운영하면서 서랍에 숨겨두고 마시는 위스키 같은 글을 읽으며 얼마나 궁금했는지 몰라요.

그러나 문학과 현실은 다른 법, 실제로 술을 마실 수 있는 나이가 되어 입에 댄 맥주는 보리 맛 음료일 뿐이고, 포도주는 정말 무슨 맛인지 정말 모르겠고, 소주는….무슨 화학 약품을 물에 타서 먹는 것처럼 끔찍한 맛이었습니다

보드카는 소주와 비슷한 이상한 맛이고 위스키는역시 무슨 맛인지 모르겠어요.

 

하지만 술에 대한 예찬이 다 거짓말은 아니라서, 가족과 와이너리 여행을 가서 그나마 내 입맛에 맞는 포도주를 찾을 수 있었고요. (저는 백포도주파, 백포도주는 리즐링!)

맥주맛을 모르기는 해도 기네스 흑맥주가 개중 입맛에 맞는 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양주는 너무 독해서 별루지만 칵테일은 재미있고 다양했고요.

 

그래서 제가 점차 깨닫게 된 것은 달달한 칵테일이 제 취향이라는 거였고요. 특히 사탕수수가 원재료인 럼과 달콤한 커피 리큐르인 칼루아 칵테일을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칵테일이라고 하면 바텐더가 만드는 어려운 음료를 생각하기 쉽지만, 콜라에 럼을 타거나 우유에 칼루아를 넣는 수준으로 집에서도 만들어 먹을 수 있었고요

여러가지 실험을 하면서 아이스크림에 럼을 뿌려먹으면 풍미가 더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예전 패밀리 레스토랑의 아이스크림 디저트에 럼이 들어 있었구나!)

 

애초에 그렇게 술과 가까운 사이도 아니니 떠나보내는 것이 아쉽지 않을 줄 알았는데 이렇게 인생의 즐거움 중 하나와 이별한다니 아쉽습니다.

 

아직 현재 진행형인 카페인과 이별(디카페인;;;;)과 달리 알코홀은 이제 영영 안녕이네요.


얼마전 유럽 여행을 갔을 때 메뉴에 무알콜 샴페인이 있기에 이게 대안이 될까 시켜보았는데 맛을 그럴듯한데 마시고 나니 머리가 좀 무겁습니다. 알코홀이 없어도 뭔가 인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있나봐요.

요즘 많이 보이는 무알콜 맥주는 애초에 맥주를 안좋아해서 관심이 없고요.

 

적포도주는 별로지만 전혜린 수필에서 처음 접했던 글뤼바인을 좋아하는데 겨울이 되면 무알콜 뱅쇼를 시도해봐야 하나 싶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01
123912 프레임드 #510 [4] Lunagazer 2023.08.03 105
123911 어제 시작한 예능 프로 '채령 K대 가다' [1] 왜냐하면 2023.08.03 442
123910 미임파 7 9회 차 할 것 같은데 daviddain 2023.08.03 229
123909 브로커 (2022) catgotmy 2023.08.03 192
123908 [게임바낭] 근래에 엔딩 본 게임들 몇 가지 잡담 [8] 로이배티 2023.08.03 423
123907 잡담 - 지구 열대화, 2023 새만금 잼버리, 멀티버스라는 다른 선택지와 해피엔딩의 불가능성(후회, 그때는 그게 최선이었어요) [3] 상수 2023.08.02 434
123906 출소 기다리는 '괴물들'…가석방 없는 종신형, 공론화 ND 2023.08.02 366
123905 프레임드 #509 [2] Lunagazer 2023.08.02 96
123904 어느 기독교 용품 판매 회사의 직원이 해고당한 이야기 [10] Sonny 2023.08.02 909
123903 미임파 7 수수께끼 중에 ㅡ 스포 함유 [1] daviddain 2023.08.02 191
123902 올해 최고의 영화 중의 한 편인 후카다 코지의 <러브 라이프> 초강추해드려요! ^^ (현재 상영 중이에요.) [6] crumley 2023.08.02 540
123901 8월 16일 개봉 지옥만세 메인 예고편 상수 2023.08.02 229
123900 [왓챠바낭] 할 말은 별로 없지만 인상적인 독일산 호러, '비하인드 디 아이즈'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08.01 274
123899 수영이 완전 배우가 되네요 가끔영화 2023.08.01 403
123898 미임파 8회차 [4] daviddain 2023.08.01 228
123897 이정재 헌트 중간에 껐습니다 catgotmy 2023.08.01 505
123896 에피소드 #48 [4] Lunagazer 2023.08.01 105
123895 프레임드 #508 [6] Lunagazer 2023.08.01 115
123894 코스모폴리탄 8월호 그레타 거윅 서울 인터뷰 [1] 상수 2023.08.01 350
123893 미임파 7 볼 때마다 드는 억지스런 생각 [5] daviddain 2023.08.01 43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