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로맨스 영화

2023.06.27 15:24

Sonny 조회 수:641

요새 명동 씨네 라이브러리에서 하는 씨네페미니즘이라는 무료 강의를 듣고 있는데요. 그 중 2강의 내용이 한국 로맨스영화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강연자로는 무려 [성덕]의 오세연 감독님이 와주셨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정말 학업에 치여서 바쁘셨는지 강의 내용을 살짝 헐겁게 준비해주셨더군요 ㅎㅎ 강의 내용은 한국 로맨스 영화들이 연애를 표현할 때 남자주인공들의 남성중심적인 표현들이나 폭력들이 로맨스에 이입하지 못하게 만드는 부분들이나 새로 떠오르는 정가영 감독 같은 분을 조명해주셨습니다. (정가영 감독의 영화는 과연 로맨스이긴한지 좀 의문이 ㅋ) 


강연을 듣다가 제가 본 한국 로맨스 영화를 곱씹어봤습니다. 그런데... 작품들이 아예 생각이 안나더라구요. 근 3년 내에 본 한국 로맨스 영화는 [헤어질 결심] 딱 하나 뿐인 것 같습니다. 궁금해서 CGV 앱을 뒤져봤더니 한국 로맨스 영화는 커녕 한국 영화도 본 게 거의 없습니다. 로맨스라는 장르 자체도 잘 안보는데, 한국 로맨스 영화는 거의 안본 것 같습니다. 오세연 감독님도 짚어주시길 한국 로맨스 영화가 제작도 많이 안되고 연별 흥행순위에서 별로 높지도 않다고 하더군요. 한 때는 "로코퀸"이라는 장르배우의 성공을 일컫는 용어도 있었는데 말이죠. 그런데 그것도 다 옛말이 된 것 같습니다. 


오죽하면 오세연 감독님이 강연을 하면서 한국 로맨스 영화를 살펴보려고 하니까 오래된 작품들이 너무 많아서 옛날 작품을 보는 기분으로 봤지 동세대로서의 시대적 공유를 하면서 보지는 않았다고 하시더군요. 하기사... 회자되는 한국 로맨스 영화들은 한 10여년은 다 된 것 같습니다. "라면 먹고 갈래요"를 남긴 [봄날은 간다]라거나, 조승우씨가 열연을 펼친 [클래식]이라든가... 하기사 요즘 시대에 이성애 로맨스는 쉽게 성립하기가 어렵죠. 로맨틱한 남자를 기대하기에는 평균 이하의 남자들에 대한 고발이 너무 많이 이어지고 있으니까요. 픽션의 상상력이 먹히지 않을만큼 성평등의 정치적 투쟁이 심화되어있으니 꽃밭로맨스는 아예 상업적으로 안먹힐 것 같습니다.


common-23.jpg


그럼에도, 제가 봤고 또 기억하고 있는 한국의 로맨스 영화들을 기억 속에서 뒤져뒤져보니 몇개가 나오긴 하더군요. 그 중에서도 제가 정말 좋아하는 작품을 하나 뽑으라면 정지우 감독의 [사랑니]입니다. 이 영화가 개봉했었을 때 저는 한참 연상의 여성과 연하의 남성이 위태로운 사랑을 하는 스토리에 한참 꽂혀있었는데 (에쿠니 가오리...ㅎㅎ) 이 영화가 그런 제 페티쉬를 딱 건드려서 포스터만 보고도 너무 보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메인 테마도 너무 좋고, 배우들의 연기도 굉장히 좋더군요. 이 당시 김정은씨는 로맨틱 코메디 퀸으로 군림하고 있었는데 잘 알려진 그 코믹한 이미지를 벗고 여기서는 보다 진중하고 차분한 30대 여성을 연기해서 그게 굉장히 신선했습니다. 김정은씨가 정말 좋은 배우라고 느꼈던 작품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지금 대세가 된 정유미 배우의 앳된 모습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의 연기로 메이저 영화계에서 많은 호평을 받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무엇보다도 쉽지 않은 스토리라인이 좋습니다. 주인공의 기억 속 사람과 꼭 닮은 어린 시절의 첫사랑이 그대로 등장하는데, 그 기억의 시간선이 현재와 얽히면서 이야기는 한층 더 어지러워집니다. 주인공의 첫사랑이 닮은 모습으로 나타난 것인지, 기억이 현재의 누군가에 투영되어 왜곡된 것인지, 현재와 과거를 오가면서 이야기가 매우 복잡해지죠. 이 영화가 개봉했을 때 괜히 복잡한 설정 자체에 끌려서 좋아했던건가 싶었는데 후에 재개봉을 했을 때도 다시 보니 너무 좋더군요. 이 영화는 언젠가 꼭 제대로 뜯어볼 예정입니다. 


듀게 분들은 어떤 한국 로맨스 영화를 좋아하는지 궁금합니다. 지금 제 기억만으로는 괜찮은 로맨스 영화를 떠올릴 수가 없네요. 기껏 떠오르는 게 [최악의 하루] 정도...?? 이게 로맨스인지도 아리까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1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35
124007 (스포) [콘크리트 유토피아] 이것저것 떠들어봅니다 [6] Sonny 2023.08.15 508
124006 아침먹고 해리 케인 바이언 첫 날 영상 보다가 daviddain 2023.08.15 152
124005 오펜하이머를 보고(스포 어느정도 있음) [6] 상수 2023.08.15 612
124004 [OCN Movies2] 성적표의 김민영 [2] underground 2023.08.15 262
124003 [게임바낭] 근래에 엔딩 본 게임 셋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08.15 233
124002 듀게인을 찾습니다 [12] 쑤우 2023.08.14 626
124001 아마도 미임파 13회로 끝날 거 같은데 [4] daviddain 2023.08.14 208
124000 넷플 - 하트 오브 스톤 초간단평 [3] theforce 2023.08.14 365
123999 프레임드 #521 [4] Lunagazer 2023.08.14 76
123998 SSI의 골드박스 게임들 [4] 돌도끼 2023.08.14 189
123997 디플 무빙이 상당히 괜찮은 모양이네요? [9] LadyBird 2023.08.14 729
123996 서유기 선리기연 월광보합 [4] catgotmy 2023.08.14 248
123995 지혜의 땅 돌도끼 2023.08.14 122
123994 위스키에 대한 기나긴 잡설 [12] 칼리토 2023.08.14 531
123993 은밀한 미팅과 막판까지의 긴장 - 해리 케인의 바이언 이적 뒷이야기 [2] daviddain 2023.08.14 191
123992 아이묭 catgotmy 2023.08.14 166
123991 이런저런 잡담, 생일파티 [1] 여은성 2023.08.14 276
123990 [티빙바낭] 영국산 시골 스릴러, '사체의 증언' 잡담 [5] 로이배티 2023.08.14 418
123989 [넷플릭스] 리키시. [2] S.S.S. 2023.08.13 379
123988 프레임드 #520 [2] Lunagazer 2023.08.13 9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