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런트레이 귀공자' 잡담

2023.07.03 16:56

thoma 조회 수:185

k622830369_1.jpg

얼마 전에 산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밸런트레이 귀공자'(1889)를 읽었어요. 

기질이 매우 달라 애초에 사이가 좋지 않았던 형제가 원수가 되는 이야기입니다. 

1745년 스코틀랜드에서 자코바이트 봉기가 곳곳에서 일어납니다. 듀리 집안은 형제 중 한 명은 봉기에 가담하여 싸우고 한 명은 집안에 남아 영국 편을 드는 중도 노선으로 가문을 유지하려는 술수를 씁니다. 이것이 중도 노선일까요. 양다리 걸치기라고 해야할 것 같은데 암튼 책에는 그렇게 표현되어 있고요, 앞일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 당시 많은 스코틀랜드 가문들이 그렇게 했다고 하네요. 이후로 형제는 처지가 갈리며 봉기에 참가한 형 밸런트레이 귀공자는 해적선에 나포되어 목숨을 유지하기 위해 적극 해적질도 하고 신대륙까지 가게 되어 머리가죽을 벗기는 인디언들을 피해가며 황무지를 통과하는 등 외지를 다니며 온갖 험한 모험을 하고 죽을 고생을 합니다. 그러면서 동생에 대한 증오를 쌓아가요. 본인 말에 의하면 원래 양배추만큼도 -_- 생각하지 않던 동생인데, 이 모든 곤경에 대한 책임이 그 동생에게 있는 것처럼 생각하게 됩니다. 형제가 서로 출정하려 해서 동전 던지기로 정했음에도 고생이 극에 달하자 자신이 죽었으리라 여겨 그의 것이 되어야 할 칭호와 정혼녀까지 차지하고 있을 동생,(맞습니다만, 아버지의 압력으로 그렇게 됩니다) 자신에 비해 턱없이 모자란 놈이면서 그런 것을 차지한 동생을 이 모든 고생의 원인제공자로 생각하고, 탓할 대상으로 삼아 악의를 키우는 것입니다. 

자신에 비해 턱없이 모자란 동생이라지만 동생 헨리는 그냥 평범한 사람입니다. 아니 평범보다 높은 수준의 인내심과 도덕적인 균형감이 있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형은 인내심과 도덕적 균형감 같은 것은 가치로 치지 않는 것같습니다. 형의 행동 양식을 보면 인내는 필요하면 얼마든지 갖출 수 있는 기본이고, 도덕 같은 건 상황에 따른 것이지 매사 우선하는 것은 지루하며, 우월한 자의 인생에 방해라고 생각하는 인물입니다. 그러므로 그 테두리 안에 머물고 있는 동생을 평범하게 취급하면서 그 평범함과 지루함을 못 견디게 혐오하며 자기 대신 가문과 지위를 잇게 된 것에 미움을 품는 것입니다. 

이러한 형과, 죽은 줄 알았던 그 형과 동생이 대면하여 서로를 파괴하려 애쓰게 되는데....

모든 악한 것과의 대결은 악한 것들의 대결이 되고 마는 것 같습니다. 이 이야기도 그렇게 흘러갑니다. 결국 악한 것들의 대결이 됩니다.   


스티븐슨은 이 작품보다 몇 년 앞서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1886)를 냈었지요. 이 작가는 선악이 그렇게 확고하게 분리되지 않음, 선한 것의 허약함과 악한 것의 강력한 힘과 전염성 같은 것에 관심이 많았나 봅니다.

선악을 떠나서 형이 카드놀이하다가 느리게 진행하는 동생을 비아냥거리는 대목을 보면 동생과에 가까운 저는 마음에 뭔가 빡치는 게(빡치다, 말고 다르게 적절한 표현이 뭐 있을까요) 있었습니다. '카드 들고 자느냐. 따분하고 평범하고 둔하고 째째하다.... 우아함, 민첩함, 영리함도 없고 남을 즐겁게 해주는 재능이나 재치가 전혀 없는 작자를 보고 싶으면 거울을 봐라' ......

이 소설은 이야기 속에 이야기가 있고 그 안에 작은 이야기가 또 안겨 있는 식입니다. 두 형제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집사가 남긴 기록으로 후대에 전해집니다. 그 집사는 자신이 못 본 장소는 다른 전달자의 기록을 활용해 끼워넣고요. 다만 좀 이상했던 점은 이야기 시작 부분에 집사의 기록을 발견하고 읽는 두 등장 인물이 이야기 끝에 마무리로 등장하지 않는 점이었어요. 그 인물들 어디갔나, 라는 생각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7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0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59
123938 제가 살고 있는 도시의 인구가 머지않아 2000만명을 넘을거래요....휴.... [4] soboo 2010.07.08 2695
123937 80년대에 명화극장에서 했던 옴니버스 물인데요.. Apfel 2010.07.08 2081
123936 차범근, "아들중에 두리만 축구를 시킨 이유는..." [3] 빠삐용 2010.07.08 5446
123935 전주번개공지 늦달 2010.07.08 1883
123934 홍대 앞 걷고 싶은거리가 원래 철길이었다는 거 아시는 분 계신가요? [18] 마르세리안 2010.07.08 4451
123933 여러 가지... [12] DJUNA 2010.07.08 3517
123932 [뻘] 닭살이라는 게...그게 그렇게 녹록치가 않아 [3] 부끄러워서 익명 2010.07.08 2594
123931 압구정역, 강남면옥의 회냉면 [10] 01410 2010.07.08 4384
123930 흡연과 관련된 망상(?) [6] setzung 2010.07.08 2313
123929 버스 정류장에서 만난, 이상하게 생긴 여자 [10] 차가운 달 2010.07.08 4203
123928 내 안의 변태성을 발견할 때 [11] Luna 2010.07.08 4166
123927 한국인 100명 중 3명 자살시도 [3] wadi 2010.07.08 3034
123926 잡담 [17] 세상에서가장못생긴아이 2010.07.08 4249
123925 다양한 시신 처리법. 수분해장 외 [3] philtrum 2010.07.08 3492
123924 세계 각국의 평소 식당이나 가정에서 때우는 한끼 식사 [42] 데메킨 2010.07.09 5778
123923 한강 크루즈, 중국 신흥 부자들 노린 카지노 사업 검토 [6] 옥수수가 모르잖아 2010.07.09 2821
123922 도박 신고가 들어왔다며 방금 경찰이 방문했어요. 떨리는 심장 진정 안됨 [17] 페르세폴리스 2010.07.09 5464
123921 일상적인 섹스에 관하여 [13] 질문맨 2010.07.09 10842
123920 부동산 거품 심상치않아 보이네요 [7] 프루비던스 2010.07.09 3773
123919 2010 Emmy nominations [1] 날다람쥐 2010.07.09 192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