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컷들' 읽고.

2023.07.11 13:59

thoma 조회 수:526

저는 과학의 'ㄱ'도 모르는 사람이라 일단 많이 배웠습니다.

그런데 저처럼 수준이하의 정도는 아니고 학교 때 과학 비교적 좋아하신 분, 심지어 과학의 '과' 정도의 관심은 지속하고 있으신 분이라도 많이 배우실 거라고 확신합니다. 이 책에 나오는 많은 내용들이 교과서에 실리기는커녕 지금까지의 교양 과학 도서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내용이 아니라고 하니까요. 이 점이 바로 이 책의 기획의 목적, 존재 목적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무시되어 왔고 논외로 취급되었던 생물학계의 여러 연구 결과가 제위치를 찾도록, 편견에 도전하는 의미를 지닌 책이었어요. 

그런 연구 결과들이 지은이의 주제 의식 아래 질서 있게 순서를 밟아서 정리, 통합되고 있습니다. 앞 문장처럼 쓰면 주제 의식이 앞서는 것 같지만 최근의 연구들이 가리키는 것이 잘 드러나도록 순서를 짜임새 있게 정리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그런데 어떤 과학적 사실도 완전히 객관적인 눈으로 선택된 '객관적 지식'은 없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이 지적하는 중요한 내용이기도 합니다. 지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여당 행태가 당장의 증거로 바로 떠오르네요. 


이 책 분량의 거의 대부분은 기존의 암컷과 수컷에 대한 편견을 깨는 동물들의 성별 특징, 행동 양식을 보여 주고 그것을 연구한 연구자들의 증언을 찾아가서 확인하고 듣는 과정으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암컷의 역할이라고 생각하던 것 - 새끼 돌보기 같은 것을 수컷이 담당하는 경우도 흔하고 수컷의 역할이라고 생각하던 것 - 적을 물리치는 일을 한다거나 무리의 우두머리 역할을 하는 것이 암컷임을 확인한 경우도 많았습니다. 

책의 후반부로 가면 앞서 본 성역할 뿐만이 아니라 성의 결정 자체도 개체의 평생에 고정된 것이 아니고 어느 성이라고 확정지을 수 없는 경우나 자웅이 한 몸인 개체도 나와요. 생물계가 암컷과 수컷으로 이분화된 세계가 아니었습니다. 사실 암수는 거의 대부분 신체상, 장기 기관상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잖아요. 성은 부분적인 것이며 그 결정은 자연적, 환경적, 사회적인 요인의 영향으로 유동적으로 결정된다는 증거들이 나옵니다. 처음 가지고 있던 성이 바뀌는 예는 신기하고 재미있더라고요.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로 익숙한 물고기인 흰동가리는 성전환을 한다고 합니다.(영화에는 물론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지만요) 영역을 사수하는 일은 암컷이 하고 알을 돌보는 것이 수컷인데 암컷이 사고사하면 수컷이 암컷으로 변신하여 근거지를 지키는 우두머리가 되고 이 암컷은 돌보던 어린 수컷이 성숙한 후에 짝을 이룬다고 해요. 상황에 따라 환경에 따라 뇌의 작용으로 성전환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생물학적 성은 하나의 스펙트럼상에 존재하며 모든 성은 기본적으로 같은 유전자, 같은 호르몬, 같은 뇌의 산물임을 발견' 하였다고 저자는 쓰고 있습니다. 이성애를 중심으로 두고 기존의 암수 두 틀에 모든 생물 특성을 우겨 넣는 관점에서 벗어났다는 것입니다.  


'객관적 지식'의 허울을 쓴 편견, 을 깨트리는 여러 동물들의 예를 접한 후 '편견 없는 자연계'라는 소제목을 달고 있는 마지막 장에 이르면 약간의 감동이 느껴졌습니다. 저는 성을 보는 관점이 어느정도 닫혀 있고 다양한 성적 정체성에 대해서 무지에 바탕한 막연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책은 '다양성'을 근거 있는 가치로 확인시켜 주네요. 저자는 이 책의 자료를 조사하는 과정이 희망의 경험이었다고 합니다. 눈으로 확인한 범고래, 보노보, 흰동가리들에서 영감과 힘을 얻기도 했지만 수십 년을 야외에서 연구하는 분을 비롯하여 편견에 도전하는 여러 여성 과학자들이 그 희망의 주 원인이라고 합니다. 마다가스카르, 호주, 하와이, 북태평양에 이르는 현지 답사와 팬데믹의 불안을 거쳐 완성된 이 책에는 저자의 엄청난 성의와 분투가 담겨 있었어요. 경이를 느끼게 합니다. 저는 워낙 이 책에서 다루는 분야에 아는 것이 없어서 풍부하게 읽지 못한 면도 있으리라 여깁니다. 다른 분들은 저보다 재미와 깊이를 더 찾으실 수도 있지 않을까, 아니 누구라도 재미있게 읽을 것 같습니다. 추천드립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6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09
124198 가을인지 알았는데, 다시 여름..(9월 더위) [2] 왜냐하면 2023.09.06 225
124197 프레임드 #544 [4] Lunagazer 2023.09.06 76
124196 이런저런 사운드카드들 잡담 [2] 돌도끼 2023.09.06 182
124195 스트릿개그우먼파이터2 [2] 왜냐하면 2023.09.06 350
124194 국민의 힘 싫어하지만 정권교체하려고 대통령 된 윤석열 녹취록 [2] 상수 2023.09.06 800
124193 아드만 스튜디오X넷플릭스 신작 치킨 런: 너겟의 탄생 공식 티저 예고편 상수 2023.09.06 177
124192 오늘 아침에 맨유 안토니 여친 폭행설 생각했었는데 daviddain 2023.09.05 136
124191 [영화바낭] 30년 묵은 구닥다리 스티븐 킹 영화, '욕망을 파는 집'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09.05 314
124190 제 28회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작 리스트 상수 2023.09.05 191
124189 프레임드 #543 [4] Lunagazer 2023.09.05 85
124188 크리스마스 캐롤과 오만과 편견 [2] catgotmy 2023.09.05 155
124187 [김규항의 교육·시장·인간](1)부모 자본가의 출현, (2)반공 노인과 반페미 소년 [1] ND 2023.09.05 314
124186 알기만 하던 용각산 생전 첨 먹어봤는데 [3] 가끔영화 2023.09.05 249
124185 점심에 햄버거 먹고 떠오른 잡상 ㅡ 축구 얘기 싫으신 분은 패스 [1] daviddain 2023.09.05 154
124184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3] 조성용 2023.09.05 504
124183 혹시 일본 음악 중 가사가 참 특이하고 좋다. 그런 음악 있으세요? [5] 한동안익명 2023.09.05 335
124182 [넷플릭스바낭] 순수한 마음으로 크리스마스를 기다려 보아요. '바이올런트 나잇' 잡담입니다 [14] 로이배티 2023.09.04 510
124181 맥도날드 새 광고 - 주문하시겠어요? (60초 버전) [3] 상수 2023.09.04 333
124180 일본영화 고지라-1.0 예고편(11월 3일 일본공개예정) 상수 2023.09.04 174
124179 에피소드 #53 [6] Lunagazer 2023.09.04 8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