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의 비극' 읽고 잡담

2023.08.01 00:34

thoma 조회 수:426

시어도어 드라이저(1871-1945)가 1925년에 발표한 소설입니다.

아래에 소설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요. 


주인공 클라이드 그리피스는 가난한 전도사 부부의 맏아들입니다. 클라이드는 십 대에 접어들어서까지 부모를 따라나가야 하는 길거리 전도를 창피해 합니다. 왜 안 그렇겠나요. 그리고 딴 애들이 흔히 갖는 괜찮은 물건 하나 가질 수 없는 가난에 대한 내면의 반발이 큽니다. 잦은 이사로 제대로 교육도 직업 훈련도 못 받은 채로 우연히 호텔 벨보이로 취직합니다. 도심지의 호텔이란 어떤 곳인가. 자본주의의 (부패한)꽃? 자본주의의 거품? 십 대의 주인공에겐 별세계입니다. 부모가 늘 입에 담는 성경 말씀은 극빈한 가정 형편에 반사되며 클라이드에게는 공허할 뿐입니다. 그런데 호텔이라는 곳은 그 정반대의 모든 것을 펼쳐 보입니다. 효율적인 체계로 돌아가고 반짝거리는 물건들과 세련된 사람들로 넘치고 게다가 별일도 아닌 수고에 팁이 따릅니다. 이 첫 직업은 주인공 인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성실하게 일군 작은 행복은 지루하며 자신과는 거리가 먼 계층의 화려한 물질 세계의 아름다움에 끌립니다.

이십 대가 된 주인공은 그동안 호텔 동료들과 저지른 고향에서의 작은 사건 여파로 이곳저곳 떠돌다 사업하는 큰아버지와 연이 닿아 그 공장에 취직하고 본인은 재산 한 푼 없지만 그 도시의 유명인사인 큰아버지 이름 덕에 사교계에 발을 담그게 됩니다.

아시다시피 이 소설은 이런 기질의 주인공이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기와 비슷한 계층인 로버타, 상류 계층인 손드라라는 두 여자와 관계를 갖고 암담한 결말을 향해 가는 이야기입니다. 


오래 전에 본 영화 '젊은이의 양지'의 기억이 흐릿하게 남아 있었으므로 삼각 관계의 막장 멜로물임을 알고는 있었지만 소설이 갖는 고유의 특징이 있으니 다르게 접근할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소설은 제가 좋아하지 않는 삼각 관계 멜로물의 심화 확장판이라고 할까, '청춘의 덫' 류 드라마의 원조와 같은 위엄으로 예측가능한 일들을 세밀하게도 전개시켜 저를 압박해 왔습니다.(하마터면 읽기를 포기할 뻔) 단, 이런 감상은 두 권으로 나온 을유문화사판을 기준으로 상 권에 해당됩니다. 상에서 이미 클라이드의 마음은 로버타로부터 완전히 돌아서고 하 권의 초반에 문제의 '호수'로 갈 생각에 사로잡히는데 하부터는 이 작품의, 모든 것을 짚고 가는 식의 세밀한 전개를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보게 되었습니다. 그냥 넘어가는 장면이 없어요. 호수에서 클라이드와 로버타가 보트 위에서 어떤 상황이었는지 읽을 때를 기점으로 상 권을 읽을 때는 헛웃음이 났던 책의 표지에 적힌 문구 - '미국판 <죄와 벌>로 평가받는' 다는 그 문구를 순순히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보트 사건 이후 후반부로 가며 훨씬 재미있었어요. 재판 과정에서 클라이드의 인생과 로버타와 있었던 일들이 모두 복기가 되는데 다 알고 있음에도 흥미롭고요, 이건 같은 내용이라도 클라이드를 타자화하여 일반적인, 외부인의 언어로 표현하며 생기는 효과가 있었으니까요. 수감되고 마지막에 이르는 뒤의 100페이지는 이전까지 주인공의 환경과 대비되는 충격 효과와 더불어, 위에서도 썼듯이 작가가 비켜가지 않습니다...정면대결이로구나 싶습니다.


이 소설은 손드라를 향한 갈망으로 인해 자신들을(자기들끼리) 죽이는 이야기였어요. 로버타는 클라이드 자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드가 호수의 보트 위에서 극한 갈등에 빠진 자신을 혐오하는 부분을 조금 옮깁니다. 클라이드의 표정이 너무 이상하여 로버타가 기어서 다가옵니다. '그러자 클라이드는 순간 자신의 실패, 자신의 비겁함, 자신의 무능력을 뼈저리게 깨닫는 동시에, 또 순간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로버타에 대해, 그녀의 힘 또는 이런 식으로 그를 구속하는 인생의 힘에 대해 잠재되어 있던 증오심의 파도에 굴복했다.' 클라이드는 로버타를 자신의 인생으로 생각해요. 그렇게나 벗어나고 싶었던 누추하고 옹색하고 빈곤한 인생입니다. 

이 작품은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를 떠오르게 했습니다. 해설을 보니 다른 몇 소설과 함께 역시나 언급되어 있습니다. 발표 연도도 1925년으로 같네요.

엇, 이틀에 걸쳐 썼네요. 자정 너머까지...마무리가 부실하지만 이만 자야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6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09
124018 프레임드 #523 [4] Lunagazer 2023.08.16 90
124017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4] 조성용 2023.08.16 542
124016 에드워드호퍼 전시회 후기 [7] 산호초2010 2023.08.16 447
124015 [내용있음] 콘크리트 유토피아 [11] 잔인한오후 2023.08.16 678
124014 테구자 [5] 돌도끼 2023.08.16 215
124013 오펜하이머 저는 별로였어요 [12] daviddain 2023.08.15 1167
124012 [티빙바낭] 아직 좀비물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워킹 데드 나잇' 잡담 [4] 로이배티 2023.08.15 283
124011 20년전, 30년전..... [3] 왜냐하면 2023.08.15 294
124010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 4장 요약 [10] LadyBird 2023.08.15 718
124009 에피소드 #50 [2] Lunagazer 2023.08.15 91
124008 프레임드 #522 [2] Lunagazer 2023.08.15 96
124007 (스포) [콘크리트 유토피아] 이것저것 떠들어봅니다 [6] Sonny 2023.08.15 507
124006 아침먹고 해리 케인 바이언 첫 날 영상 보다가 daviddain 2023.08.15 152
124005 오펜하이머를 보고(스포 어느정도 있음) [6] 상수 2023.08.15 612
124004 [OCN Movies2] 성적표의 김민영 [2] underground 2023.08.15 262
124003 [게임바낭] 근래에 엔딩 본 게임 셋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08.15 232
124002 듀게인을 찾습니다 [12] 쑤우 2023.08.14 626
124001 아마도 미임파 13회로 끝날 거 같은데 [4] daviddain 2023.08.14 208
124000 넷플 - 하트 오브 스톤 초간단평 [3] theforce 2023.08.14 365
123999 프레임드 #521 [4] Lunagazer 2023.08.14 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