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겨우 400만 찍었구나 ㅠ


왜 내가 다 뿌듯하냐 12번 봐서 표값 보태 줘서?

제가 여러 번 보면서 화장실이나 엘베에서 사람들 반응 접하는데 재밌다는 게 대부분이었습니다.




기념으로 13회 차를 어제 일요일 저녁에 했습니다. 그래서 지금 월요병으로 오전 내내 해롱해롱거립니다.


그레이스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엔티티 계획의 일부로 작동하는 것 같습니다. 로마 편 탑승할 때 자동문이 닫혀서 이산이 못 들어가게 막은 것도 엔티티가 한 것 같고 - 그레이스 로마로 보내려는 계획 - 가브리엘은 열쇠가 자기 발 밑에 알아서 놓일 거라고 하잖아요. 일사와 그레이스 사이에서 일사가 죽은 것도 그레이스의 소매치기 기술이 결국 열쇠가 가브리엘에게 걸어 들어간다는 시나리오를 완성시켜 줄 수 있어서 그레이스를 살려둔 것 같습니다. 그레이스가 팀원이 되어 활약하는 것도 엔티티의 그림이라면? 저는 엔티티가 가브리엘에게 모든 미래를 보여 줬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열쇠를 저절로 얻게 되는 것까지만 보여 줬지.


13회 쯤 보니 조연들의 활약이 잘 들어 오더군요.


파리와 가브리엘이 cia 국무장관 만날 때 이미 제거계획을 짜고 만난 듯 합니다. 저는 파리도 흥미로운 인물이라 생각하는데, 파리 역을 한 폼 클레멘티예프가 좋고, 파리 나름도 서사가 있는 인물인 것 같아서요.파리는 사람을 죽이고 육체적으로 위협합니다. 엔티티는 몸이 없지만 어두운 비밀이나 디지털을 이용해 위협할 수 있죠.  2편에서는 가브리엘과 엔티티에 대한 배신감과 복수심으로 불타는 파리를 기대해 봅니다.



벤지야 늘 벤지이긴 한데 자율주행 맡겨 놓고 차에서 소리가 나오니 움찔하는 게 귀엽더군요. 엔티티한테 호되게 당해 보니 몸이 저절로 반응하는 거죠.


딜레마에 처한 인물을 가져 잘 보여 주던 게 화이트 위도우였더군요. 이래도 죽고 저래도 죽는 상황, 이산한테 infernal machine 지옥같은 기계라고 말할 때 눈에 얼핏 눈물이 보였습니다. 당당하고 도도한 외관과는 달리 이 사람도 고민을 꽤나 했겠다 싶더군요. 역시 연극 무대에서 차근차근 공력을 쌓아 온 바네사 커비는 다르군요. 



어쨌든 파트2 기다리고 그냥 이대로 묻히기에는 아까운 영화라서 흥행 성적에 꽤 신경이 쓰였습니다. 애초에 오락 추구하는 영화고 보고 나면 기분이 산뜻해지는, 그 목적에 130프로 충실한 영화는 드물어서 흥행이 되기를 바랐네요. 


아, 그러고 메가박스 상암월드컵 경기장 처음 가 봤는데 그 냄새 어쩔 것인지. 청소,관리 전혀 안 하는 듯. 15000원이나 휴일이라 내고 일반관에서 내내 퀴퀴한 냄새에 신경쓰였네요. 극장에서 이래 본 거 처음입니다. 극장은 요금 올릴 생각만 하지 말고 청소나 제대로 했으면.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103207


[비평] 몸으로 저항하고 규모로 버티는 스펙터클의 고향,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에단 헌트의 행보는 엉망진창 편의적인 상황 투성이다. 하지만 그게 <데드 레코닝>에서 걸림돌이 된 적은 거의 없다. 사실 관객은 이 영화가 말이 되는지 안되는지를 크게 따지지 않는다. 애초에 이 세계의 인과관계는 시작값과 결과값만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에단 헌트, 아니 톰 크루즈는 하기로 한 이상 ‘어떻게든’ 성공한다. 계획의 실패는 있어도 미션의 실패는 없다. 과정을 즐기도록 디자인된 할리우드식 해피엔딩. 하지만 톰 크루즈가 이른바 아날로그 액션에 집착하면서 상황이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아마도 시작은 두바이 빌딩에 오른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부터였던 것 같다. CG를 최대한 배제하고 실제 촬영을 통해 포착된 생생하고 육감적인 장면들은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시그니처가 됐다. 어느덧 아날로그로 포착(혹은 포장)된 그 장면들은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본질이자 주체로 자리 잡았다. 절벽 낙하는 에단 헌트에겐 작전 실패 끝에 나온 끔찍한 우연의 총합이다. 하지만 톰 크루즈에게 절벽 낙하와 스피드 플라잉은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필연이다. 에단 헌트와 오퍼레이터 밴지의 헛발질은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그 한 장면을 세팅하기 위한 일종의 상황극이자 변명인 셈이다.

‘진짜’ 액션이라는 거대한 환상을 활용하는 방식


<데드 레코닝>은 아날로그이기에 담길 수 있는 무게와 속도를 카메라에 포착하기 위해 온갖 수단을 동원하는 것을 전제로 이야기를 짠다. 절벽 위에 세트를 짓고 실제 기차를 제작한 뒤 벼랑에서 떨어뜨려 부수는 게 기본값이고, 그걸 최대한 잘 보여주기 위해 이야기를 구성한 게 아닌지에 대한 의심. 목적과 수단의 역전. 때문에 기차에 돌입하는 과정을 생략할 순 있어도 절벽에서 떨어지는 장면을 포기할 순 없다. 완성된 장면에서 카메라는 뛰어내리는 데 성공한 톰 크루즈를 자랑스럽게 전시한 뒤 갑자기 기차에 난입하는 에단 헌트로 점프한다. 중간 과정이 왜 생략되었는지 상상 가능한 시나리오 중 제일 의심되는 건 그 과정을 아날로그로 재현하기 힘들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낙하 장면까지는 헬기와 드론, 카메라를 동원해 보여주는 게 가능했지만 실제 스피드 플라잉을 마친 에단 헌트가 달리는 기차로 정확히 돌입하는 순간을 아날로그 촬영으로 담아내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CG로 그려내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하지만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는 할리우드를 점령한 디지털과 CG의 그림자로부터 필사적으로 달아나고자 발버둥 쳐왔다. 여기서 냉정히 응시해보자. 우리가 목격한 건 소위 말하는 ‘진짜’를 담은 액션인가. 필름과 아날로그는 진짜이고 CG와 디지털은 가짜인가. 그럴 리 없다. 애초에 여기 진짜는 없다. 그저 환상을 포장할 방식에 대한 선택이 있을 뿐이다.

<데드 레코닝>은 CG의 가벼운 이미지를 걷어내고 아날로그의 질량, 질감으로부터 비롯된 향수를 자극한다. 향수란 본질적으로 돌아가고 싶으나 돌아갈 수 없는 상태다. 영화의 육체성을 이제는 존재하지 않는 필름카메라의 방식으로 되새기는 톰 크루즈의 모험은 그 도전이 거대하고 웅장할수록 역설적으로 캐릭터 에단 헌트를 허상처럼 분리시킨다. 그렇게 에단 헌트가 유령이 되어 스크린 위에 실체를 얻지 못하는 사이 우리는 톰 크루즈라는 불멸의 흔적을 목격한다. 여기 거대한 환상이 있다. 다만 환상의 실체가 아날로그의 미덕인지, 자본의 규모인지가 헷갈린다. 사람들이 열광하는 건 톰 크루즈의 육체에 투영된 아날로그 영화의 그림자일까. 아니면 거대한 규모와 자본의 스펙터클일까. <데드 레코닝>이 제공하는 아날로그의 그림자가 소중한 건 그게 절대적인 가치를 지녀서가 아니라 지금 시대에 귀하고 희귀한 무언가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단언하면 지나친 폄하일까. 사라져가는 걸 복원(혹은 유지)하는데는 돈이 든다. <데드 레코닝>은 의도가 무엇이었건 저렴한 CG로 점철된 지금 시대를 거슬러, 제대로 된 아날로그를 추구하려면 이 정도의 자본과 규모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새삼 증명한 셈이다.

에단 헌트는 우연에 우연이 겹쳐 내몰린 상황에서 자살하듯 점프한다. 정반대로 톰 크루즈는 노르웨이 절벽의 낙하 장면을 위해 세트를 짓고 수십 차례 연습하며 만전을 기한다. 하나로 겹친 존재가 갈라질 때, 에단 헌트와 톰 크루즈가 이중인화되었다는 사실이 스크린 위에 투명하게 드러날 때, 21세기 최고의 엔터테이닝이 아날로그의 끝자락에서 기어올라 쟁취한 거대한 환상의 실체가 슬쩍 얼굴을 내민다. 공교롭게도 이 간극은 AI와 맞대결을 벌이는 에단 헌트의 모습과도 닮았다. 모든 곳에 있지만 누구도 잡을 수 없는, 무섭도록 닮은 두 유령은 현실과 가상, 에테르와 디지털 세계에서 거울처럼 서로를 마주 본다. 어쩌면 에단 헌트가 모든 걸 운에 맡긴 채 그토록 무모하게 목숨을 내던지는 건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고 통제하는 AI(가 그린 미래의 이미지)의 대척점에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일지도 모르겠다. 극장 산업의 황혼에 톰 크루즈가 자신의 육체를 무기 삼아 끝까지 저항하는 것처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3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3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53
124252 프레임드 #552 [2] Lunagazer 2023.09.14 144
124251 스우파2의 감상, 춤보다 감정을 우선하는... [11] Sonny 2023.09.14 691
124250 무빙 16 17 [1] 라인하르트012 2023.09.13 400
124249 [왓챠바낭] 이탈리안 호러는 봐도 봐도 웃기고요... '데몬스'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09.13 316
124248 스트릿 우먼 파이터2, 메가크루미션 영상 왜냐하면 2023.09.13 265
124247 루터 (2003) catgotmy 2023.09.13 153
124246 여축 선수 기습키스해 논란 끝에 사임한 스페인 축협 회장 daviddain 2023.09.13 205
124245 좋아하는 갈래, 읽고 있는 책, 읽을 책 잡담 [13] thoma 2023.09.13 402
124244 프레임드 #551 [2] Lunagazer 2023.09.13 88
124243 “광화문광장 세종·이순신에 문제의식 못 느끼면 우파 아냐” [6] 왜냐하면 2023.09.13 701
124242 애플 신제품 발표(애플워치 9, 아이폰 15 외) [5] 상수 2023.09.13 407
124241 [게임바낭] 그 사이 엔딩 본 게임 둘 잡담. '헤일로: 인피니트'와 '전장의 푸가' [6] 로이배티 2023.09.12 249
124240 영화 잠..을 보고 [7] 라인하르트012 2023.09.12 754
124239 허클베리 핀의 모험 (1939) [2] catgotmy 2023.09.12 172
124238 예수와 교황 제도 catgotmy 2023.09.12 158
124237 프레임드 #550 [6] Lunagazer 2023.09.12 99
124236 이번 벨기에 주장이 루카쿠네요 [1] daviddain 2023.09.12 127
124235 철의 특공대 - 아이언 이글 2 [5] 돌도끼 2023.09.12 177
124234 [왓챠바낭] 추억의 탑고르 홍콩 무-비. '최가박당' 잡담입니다 [9] 로이배티 2023.09.11 442
124233 에피소드 #54 [2] Lunagazer 2023.09.11 9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