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게에 하도 혹평이 많아서 걱정했는데 전 3시간 동안 재밌게 봤습니다.

'테넷'도 그렇고 이 작품도 그렇고 '남들은 모르지만 난 인류를 위해 엄청 중요한 일을 하고 있어' 그런 비장한 느낌이 의외로 제 취향이었나 봅니다.


스토리 전개 방식도 제 예상을 빗나가서 흥미로웠어요.

오펜하이머 혼자 주인공 인줄 알았는데 루이스 스트로스와의 대결구도가 중후반에 툭 튀어나오자 '어! 이거 뭐지?' 싶더군요.

오펜하이머의 어린 시절 배경, 왜 뉴멕시코를 그리워하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생략된 건 좀 아쉽지만 놀란은 그냥 과학자의 고뇌를 묘사하는 것에 더 집중하고 싶었나봐요. 


한 컷 한 컷, 매우 공들인 티가 많이 났고 조각난 스토리와 대사를 이어 붙이는 능숙한 솜씨가 정말 천재적이네요.

소리와 화면으로 심리를 묘사하는 아이디어도 감탄스러웠습니다. 편집을 정말 잘 하는 것 같아요. 


연기가 아니라 사람들이 주고 받는 실제 대사처럼 아주 자연스러운 배우들의 케미도 재밌었습니다.

그루브 장군과 오펜하이머의 첫만남이 뭐랄까....생전 첨 보지만 서로 맘에 드는 남자들끼리 통하는 어떤 정서가 은근하게 느껴져 유머러스하달까요.

로져 롭과 키티 오펜하이머가 논쟁적으로 주고 받는 짧은 씬도 아주 인상적이었고요.


그리고 이런 시대극을 볼 때마다 느끼는 건, 정말 고증 참 잘한다는 건데요,

한국전쟁이나 일제강점기 시대를 다룬 우리나라 영화나 TV드라마를 보면 아무래도 그 시절 같다는 생각은 안드는데 이 동네 영화들은 정말 세세하게 잘 살리는구나...감탄스럽습니다.


좀 과도한 것 같은 음악도 전 맘에 들었습니다.

전체적인 분위기가 올리버 스톤이 '테넷'을 만든 것 같은 모양새 같은데 전 좋았어요.


배우들만 열거해도,

머피와 로다쥬의 오스카상깜 놀라운 연기, 조쉬 하트넷의 잘생긴 얼굴, 제겐 처음으로 인형 아닌 사람같이 보였던 에밀리 블런트의 연기,  

젊었을 땐 비호감이었는데 나이 들수록 괜찮아 보이는 맷 데이먼에 케네스 브래너....그리고 또 기타 등등..

저에겐 축제와 같은 영화였습니다.



주차비 7천원 나오기 전까진.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