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것과 이해하는 것

2023.08.30 10:06

Sonny 조회 수:687

예전에 친구와 서태지 이야기를 하다가 다툰 적이 있습니다. (친구와의 갈등 이야기만 계속 하는 것 같군요 ㅋㅋ 저는 인간관계를 소중히 합니다) 저는 나름 서태지를 좋아하는데, 그 친구는 서태지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서태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그 친구가 서태지가 북공고 짱이었다는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너무 황당해서 그건 말도 안되는 소리다, 서태지를 조금이라도 알면 그 사람이 얼마나 그런 육체적인 다툼을 싫어하고 지배하는 거에 관심이 없는지 알 거다 라고 하면서 서태지가 데뷔초에 자기 일기 형식으로 칼럼을 썼던 것까지 말했는데 안믿더군요. 서태지 몸뚱아리만 봐도 이 사람이 짱이 될 수 없는 조건이라는 건 너무나 명확하지 않습니까? 그 친구의 논리가 저를 더 얼빠지게 했는데, 너는 서태지 친구나 지인이 아니고 우리 모두 그에 대해 정확한 사실은 모르니 자기 말이 맞을 수도 있다는 슈뢰딩거의 서태지 같은 논리였습니다. 이 탈진실 post-truth 스러운 소리에 정을 떼버렸죠. 앞으로도 이 친구는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이런 고집을 부리겠구나...


그 때 대화를 하면서 느꼈던 건 어떤 것을 이해하는데는 애정이나 호감이 필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이게 조금 편향된 단어라면, 호의가 섞인 호기심이라고 해야할까요. 뭔가를 알고 싶어하는 그 욕구 자체가 이미 무언가에 대한 강한 지적탐구심을 일으킵니다. 흔히들 차갑고 객관적인 진실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어떤 대상에 대해 냉정하고 감정이 섞이지 않은 상태에서의 성실한 관측이 제일 바람직한 자세라고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만... 애정없이는 도달하기 힘든 어떤 깊이가 있습니다. 그 안까지 깊숙히 파고들어갔을 때만 보이는 진실 같은 게 있죠. 그 진실은 때로 직관적으로 머릿속을 스치고 지나갑니다. 


그런 점에서 어떤 작품을 비평적으로 다가간다는 건 그 작품이 됐든 그 장르가 됐든 어떤 애착을 가지고 접근을 하는 것이 첫번째인 것 같습니다. 안좋아하는데 뭔가를 어떻게 깊이 파고 들어가고 디테일들에 매달릴 수 있겠습니까. 모든 탐구는 한편으로는 '덕질'의 최종단계이기도 하지 않을까요. 왜 이 부분이 이렇게 이뤄져있을까, 왜 이 부분은 이렇게 강렬한 감흥을 일으키는 것일까... 이렇게 그 탐구심들을 쓰고 보니 한편으로는 그 호기심과 지적 열망이 자신의 결여된 무엇이기도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좋아하는 것을 찾아다니고 좋아할 수 있게 된 무엇이 일으키는 그 감정적 화학작용의 원리를 기어이 분석하려는 걸 생각해보면 좋아하지 않는 채로 이해하는 것은 얼마나 진실을 많이 흘려보내는 일인지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6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9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301
124358 소림사십팔동인 [3] 돌도끼 2023.09.29 272
124357 사발면에 대한 두가지 [4] 가끔영화 2023.09.29 335
124356 읽은 책, 연휴 맞이 산 책 [4] thoma 2023.09.29 325
124355 BTS 정국 새 싱글 "3D" [2] 라인하르트012 2023.09.29 287
124354 프레임드 #567 [4] Lunagazer 2023.09.29 100
124353 천박사..를 봤어요..유스포 [1] 라인하르트012 2023.09.29 370
124352 시민 케인 (1941) catgotmy 2023.09.29 126
124351 [티빙바낭] 역시 추석엔 가족 영화! '송곳니'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3.09.29 350
124350 추석엔 역시 가족영화입니다. [6] thoma 2023.09.29 291
124349 Michael Gambon (1940-2023) R.I.P. [3] 조성용 2023.09.29 196
124348 [넷플릭스바낭] 칠레산 막장 풍자 코미디, '공작'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09.28 413
124347 실제로 봤던 레전드 락커 catgotmy 2023.09.28 218
124346 더넌2를 보고<유스포> 라인하르트012 2023.09.28 211
124345 프레임드 #566 [4] Lunagazer 2023.09.28 111
124344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아벨 페라라의 <킹 오브 뉴욕>(1990)을 보고왔어요. [4] jeremy 2023.09.28 262
124343 더 넌2...잘 만든 캐릭터에 그렇지 못한 스토리(약스포) 여은성 2023.09.28 274
124342 김지운 감독 신작 거미집 GV후기 [2] 상수 2023.09.28 675
124341 [핵바낭] 추석이 돌아왔습니다 + 아무 거나 일상 잡담 [10] 로이배티 2023.09.27 473
124340 프레임드 #565 [4] Lunagazer 2023.09.27 94
124339 거~ 나이도 묵을만큼 묵은 양반이 어디서 개아리를 틀고있어? [1] ND 2023.09.27 45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