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캔 카운트 온 미'

2023.09.20 12:52

thoma 조회 수:312

You Can Count on Me, 2000

1930B21749BF166B4E

케네스 로너건 감독작. 오래 전부터 궁금했는데 웨이브에 있어서 봤습니다. 

영화를 안 보신 분은 다가오는 부분이 없을 글입니다. 객관성 같은 건 없이, 의식의 흐름대로 그냥 씁니다.

새미(로라 리니)와 테리(마크 러팔로)는 어릴 때 교통사고로 부모를 잃은 남매입니다. 새미는 고향에 머물며 8세 아들 루디를 키우며 살고 있고 테리는 여기저기 가고 싶은 곳을 떠돌며 살고 있어요. 그러다 이런저런 이유로 테리가 고향집에서 새미 모자와 당분간 함께 지내게 됩니다. 정주민과 떠돌이를 대표하는 것처럼 보이는 남매가 함께 지내며 생기는 일들을 보여 줍니다. 저는 영화를 다 보고 나니 새미가 좀 싫었습니다. 아니 다르게 말하면 이렇게 새미를 표현한 감독에 대한 의심의 마음이 들었다고나 할까요. 

새미는 테리의 분방함이 못마땅한 것이겠죠... 하지만 어느 지점부터 자신과 다르다는 것인가, 어느 정도 선에서 견딜 수 없는 것인가...... 이런 것이 너무 새미의 자의적 판단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새미는 자신의 상관과 자고 난 다음 신부를 찾아갑니다. 저는 자기 죄 때문인지 알았는데 테리를 상담하게 합니다. 자신이 보기에 테리는 내일이 없는, 목표 없는 인생을 산다고 생각하고요. 저는 새미를 보며 고인물에서 썩는 줄은 모르고 자기 통제를 벗어나는 것에 대한 거부감만 예민한 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바흐의 음악이 흐르는 영화의 분위기와는 다른 과격한 감상이 되겠지만요. 솔직히 저는 새미가 이기적이고 편협하고 자기편의적으로 느껴졌습니다. 직장에서도 그렇습니다. 일과 중에 아이를 태우러 가기 위해 정기적으로 자리를 비우는 것이 당연히 양해되는 일은 아닙니다. 상관과의 관계도 그렇게 쉽게 맺었다 끝내고 신부에게 고백하면 해결되는 일일까요. 이런 대목들이 새미라는 캐릭터에 대한 호감은 말할 것도 없고 인물간의 균형을 상당히 해치더군요. 물론 테리는 가정을 이루고 사는 일반인이 보기에 감당하기 벅찬 불안함과 야성이 있고 사회성, 책임감 이런 것도 부족한 인물입니다. 그런데 영화의 끝으로 가면  테리가 떠나는데 보내는 새미에 비해 떠나는 테리가 성숙해 보이는 것입니다. 영화는 테리를 옹호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뭐 그렇습니다. 테리는 매우 인상적인 사람이고 영감을 줄 수 있는 사람이겠죠. 자기가 사는 곳에 불어온 신선한 한 줄기의 바람처럼. 하지만 법의 테두리 안에서 때로는 종교의 도움을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사는 사람들이라면 일탈도 어느 정도는 허용이 되지만 그런 것에 끌려다니지 않고 살려는 사람들에겐 일탈이란 강력한 제재가 가해져야 하는 것이기도 함?

동생을 배웅한 후 자기 일상으로 돌아가면서 새미는 만족스러운 미소를 짓습니다. 동생으로부터 받은 신선한 바람이 뭔가 에너지가 된 것일까요. 테리를 자기 삶에 들여놓으면 생길 훼손과 위험 부담을 피하면서 잘 이별한 것 같아서일까요. 좋은 영화로 기억하실 분들께 죄송하게도 자꾸 심술궂게 표현이 됩니다. 저역시 테리를 감당할 자신이 없으면서도 자꾸 그렇게 되네요. 

1930B21749BF166841

삼촌 테리를 겪은 루디는 앞으로 어떤 청소년이 될까, 궁금하기도 했어요. 삼촌 하나로 족하니 엄마를 너무 괴롭히지는 말기를. 

1d32bba1034763314636bbecc0008f5e7f15c16a

신부가 두 번 등장하는데 꽤 인상적이었어요. 감독님이었다는 것을 영화 보고 나서 사진 검색하며 알았습니다. 어느 자리에서나 약간은 우울해 보이시는군요. 


@ 이로부터 20여년 후 새미는 결국 동생을 죽이기로 결심하는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1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4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27
124635 [질문]훈제닭가슴살 먹어 보신 분? [24] 전기린 2010.07.01 4154
124634 듀나 인) 경제 관련하여 관심이 생겼습니다.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이미존재하는익명 2010.07.01 3868
124633 [질문] 정신병원이 주제인 영화 [18] 7월9일 2010.07.01 2910
124632 [고민] 기분 참 그렇네요. [2] 익명익명익명 2010.07.01 3863
124631 업무일지 쓸 만한 아이폰 어플 있을까요? [3] 어라라 2010.07.01 3733
124630 순대 [9] 가끔영화 2010.07.01 4664
124629 [비키니인증샷] 이라고 쓰면 대박나려나.. [47] 러브귤 2010.07.01 8469
124628 “천안함 스모킹 건 '1번' 글씨, 국내 문구업체 매직 성분과 동일” [9] 바오밥나무 2010.07.01 3893
124627 (질문)왜 회원정보에 연도가 다 똑같나요? [6] 전기린 2010.07.01 3056
124626 손으로 쓴; 일기장을 완벽하게 없앨만한 방법 좀.. [22] hicStans 2010.07.01 3728
124625 스플라이스: 혹은 일일연속극 "드렌의 유혹" (결말 스포일러 있음.) [6] mithrandir 2010.07.01 4198
124624 Albums of (the first half of) The Year [2] kilroy 2010.07.01 9128
124623 실온에서 유통기한이 긴 가공식품들... [2] 29일 2010.07.01 3891
124622 여러 가지... [9] DJUNA 2010.07.01 3590
124621 당신의 traveling song 은 [2] 가끔영화 2010.07.01 2025
124620 [음악] Planet of ocean - 바다, 알려지지 않은 세계(NHK스페셜) 메인테마 [6] 01410 2010.07.01 2319
124619 이미지 비슷한 동서양 배우들. [7] 아.도.나이 2010.07.01 4289
124618 듀9] 이 영어문장의 정확한 의미좀 가르쳐 주세요. [4] 푸케코히 2010.07.01 2227
124617 트위터 라는 거 누가 간단명료하다고 했나요? -_- [22] 루이스 2010.07.01 4029
124616 오늘 찍은 개구리 사진들 (개구리 공포증 있으신 분들은 워어이, 워어이.) [12] DJUNA 2010.07.01 314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