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을 잡아라'를 읽고

2023.10.08 22:03

thoma 조회 수:208

솔 벨로(1915-2005)의 [오늘을 잡아라]는 1956년 작가가 41세에 낸 소설입니다. 

장수하였고 그 시간 동안에 부단한 작품 활동을 했고 노벨상까지 수상하였으니 작가로서 현실에서 누릴 수 있는 최상을 누리신 것 같습니다. 전미도서상을 세 차례나 받은 기록은 이 작가가 유일하다고 하네요. 대표작들이 대부분 품절, 절판 상태입니다. [오늘을 잡아라]가 문동세계문학전집으로 나왔으니 아마 이 출판사에서 다른 작품들도 다시 나오지 않을까 예상을 해 봅니다.


이 소설의 주인공 윌헬름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집을 나오고 직장을 쫒겨난 마흔 중반의 남성입니다. 윌헬름은 중요한 국면마다 장고 끝에 악수를 두고 경고의 종이 울림에도 충동을 따르는 야무지지 못한 선택을 함으로써 인생의 기반을 자꾸 허물어 뜨렸고 지금은 추락 직전입니다. 그러함을 스스로도 잘 알고 있습니다. 아버지는 의사로 평생 일해 얻은 명예와 돈을 기반하여 홀로 주거용 호텔에서 은퇴자 생활을 누리고 있는데 윌헬름은 그 호텔에 방을 얻어 한 지붕 아래 지내고 있어요. 사면초가의 상황에서 아버지를 은연중에 의지하는 마음에서 그리로 들어간 것 같은데, 아버지는 지금까지 윌헬름의 시리즈로 이어진 잘못된 선택에 더이상 관여하지 않으려고 마음먹은 상태입니다. 윌헬름의 아내는 이혼해 주지 않고 돈 나올 곳은 없고, 두 자식 부양의 의무는 해야 하고 호텔 숙박비도 밀리기 시작합니다. 이런 상황은 소설이 시작되면 이미 주인공의 조건으로 주어져 있습니다. 소설은 윌헬름의 잔이 마침내 넘치게 되는 마지막 한 방울의 물이 떨어지는 전개입니다. 독자는 그 꽉 찬 잔의 위태로움, 안절부절함을 지켜 보며 과연 이 인물은 동정의 여지가 있는지, 여기에 이르는 동안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 주인공과 함께 생각하게 됩니다. 마지막 한 방울의 물은 떨어질 것이고 이 이야기가 행복하게 마무리될 거라고는 기대하기 어려워요. 그래서 읽는 동안 좀 답답했지만 다행히 분량이 짧은 소설입니다.


윌헬름을 제외한 인물들은 노년에 접어들거나 완연한 노년의 연령입니다. 그리고 절대적으로 '돈'이 필요한 것은 윌헬름이지만 돈은 늙은이들에게 있습니다. 중년의 주인공은 아직도 자신의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청소년 같습니다. 지푸라기를 잡으려 애쓰는 중에 과거와 현재의 문제, 아버지에 대한 소망과 원망과 이해의 사고 과정이 주인공의 머리 속에 끊임없이 펼쳐집니다. 방황하는 청소년의 느낌에다가 머리 속에 명멸하듯 이어지는 생각들의 전개는 샐린저 작가의 '호밀밭의 파수꾼'을 떠오르게 합니다. 

윌헬름의 자취를 보면 어리석기도 하고 현실성이 부족하기도 하지만 주어진 틀을 벗어나서 약간 다른 길을 가 보고자 시도하는 기질이 있었습니다. 그러한, 아버지와는 다른 '약간'의 분방함과 꿈꾸는 기질을 소유했다는 것이 이렇게나 궁지에 몰리게 되는 결과를 감당해야 하는 것인가 생각하게도 되네요. 얼마나 주어진 길을 벗어나지 않기 위해 발 밑을 살피며 앞만 보고 가야 하는지 말입니다.

재미나 흥미진진함을 가진 소설은 아닌데 큰 사건 없이 인물의 상황과 심리를 촘촘하게 엮어나가는 능력이 훌륭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8954643477_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5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5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003
124628 프레임드 #600 [4] Lunagazer 2023.11.01 77
124627 이 영상을 보시면 병이 낫습니다 [8] 칼리토 2023.11.01 539
124626 [질문]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11] 잔인한오후 2023.11.01 658
124625 박찬대, 최고위서 경기도 서울 통폐합 주장 천공 영상 재생 “설마하고 찾아봤는데” [5] 왜냐하면 2023.11.01 431
124624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2] 조성용 2023.11.01 473
124623 [왓챠바낭] 제목 한 번 난감한 '더 다크: 그날 이후 난 사람을 먹는다'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11.01 359
124622 이것저것 본 잡담 (그어살, PLUTO 등) [13] DAIN 2023.11.01 417
124621 만달로리안을 뒤늦게 보는데(대충 아무 소리입니다) [4] 해삼너구리 2023.10.31 311
124620 플옵 2차전 껐습니다 daviddain 2023.10.31 168
124619 에피소드 #61 [2] Lunagazer 2023.10.31 76
124618 요즘 드라마 출연 배우들의 ost(이두나, 무인도의 디바) [3] 왜냐하면 2023.10.31 292
124617 프레임드 #599 [2] Lunagazer 2023.10.31 74
124616 준PO 3연패 탈락' SSG, 김원형 감독과 계약 해지…"변화와 혁신 필요" [공식발표] daviddain 2023.10.31 141
124615 한동수 “윤석열, 검찰총장 때 ‘육사 갔으면 쿠데타’ ”검찰의 역사는 '빨갱이' 색출의 역사" 왜냐하면 2023.10.31 241
124614 법정 드라마를 보며 잡생각입니다. [4] thoma 2023.10.31 280
124613 [넷플릭스바낭] 점점 더 마음에 드는 아들 크로넨버그, '인피니티 풀'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10.30 490
124612 챗 GPT 음성대화 catgotmy 2023.10.30 178
124611 망가진 신세계의 후계자 [4] 상수 2023.10.30 583
124610 Nc 무섭네요 [6] daviddain 2023.10.30 284
124609 프레임드 #598 [2] Lunagazer 2023.10.30 8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