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잡담

2023.10.13 14:29

thoma 조회 수:425

1.  하루 중에 윗옷을 몇 번 바꾸어 입게 됩니다. 아침에 선득해서 입고 있던 옷이 움직이다 보면 더워져서 거추장스럽네요. 

저녁무렵에 나가면 이제 공기가 찹게 느껴져서 9월은 여름이더니 곧 겨울인가... 생각하게 되고 짧은 틈새 시기를 잘 누려야겠다 싶어요. 걷기에 넘 좋은 날씨입니다.

개가 식욕이 없어서 먹는 거 봐가며 하루 한두 번 주사기에 습식사료를 넣어 강제로 주고 있습니다. 심장이 안 좋은 개는 식욕이 오락가락하고 식욕을 잃기 일쑤라고 하네요. 원래 입이 짧은 편이라 안 먹던 건 안 먹고 좋아하던 닭육포는 주지 말라 해서 뭘 줘야 할지가 요즘의 고민입니다. 

 


2.  에이리언, 에이리언2까지 보고 에이리언3은 어제 밤에 앞 부분 조금 들어갔다가 시간이 늦어서 미루었습니다.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3은 분위기가 앞 두 영화와 많이 다르네요. 2는 그래도 3에 비하면 1과의 연속성이 꽤 느껴졌습니다. 2는 7년 후 1986년에, 3은 6년 후1992년에 나왔다네요.

1, 2는 둘 다 흥미롭게 좋게 보았습니다. 시고니 위버는 슬기로움과 기술자 능력을 기본으로 장착하고 점차 육체적 능력까지 진화하는 캐릭터로 존경스런 마음이 막 생기더군요. 참으로 멋집니다.

3의 앞 부분을 봤다고 했는데, 어떤 인물과 관련하여 새로운 전개를 위해 할 수 없는 선택이었겠지만 2의 내용을 생각하면 헛고생에 허무하기도 합니다. 



3.  제발트의 '기억의 유령'을 읽고 있습니다. 이 작가의 인터뷰를 읽고 있으면 기분이 이상합니다. 제목에도 '유령'이 들어가지만요. 이분의 글이 갖는 분위기와 이미 20여년 전에 돌아가신 분이라는 것과 인터뷰의 내용이 삼박자로 어우러져서 이상한 절실함을 갖게 합니다. 

[이민자들]에서 이 작가는 고인이 된 실제 인물의 흔적을 찾아다니는 과정과 그 인물의 사연을 자신의 주제 의식하에서 융합하여 옮기는 식으로, 기억에 집착한 글을 쓰셨는데 어딘가를 찾아가는 이동 중인 경우가 많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은둔자의 시선으로 쓰여진 문장 같고 신비함(앞서 책 소개에 나온 말을 변화시켜 다시 하면 '포착할 수 없는 것을 포착하는 글쓰기') 쓸쓸함이 행간에 가득한 글을 씁니다. 질문자의 짧은 언급에 비해 자기 글의 특성과 자신의 관심사에 대한 성의 있고 깊이 있는 답을 읽고 있자니 이미 저세상 사람이 되었다는 것이 이 읽기에 정의하기 힘든 감정을 드리우네요. 

k342834849_2.jpg

4.  제발트(에 대한) 새 책이 나와서 무척 기뻤는데 생존 작가 중 최애 순위에 드는 에마뉘엘 카레르의 소설이 나와서 따끈한 책을 바로 구매했습니다. 카레르는 제가 몇 년 전에 게시판에 [왕국]을 영업한 적이 있습니다. 제발트의 책은 기호를 탈 것 같으나 카레르의 책은 분량의 장벽만 넘으면 흥미로운 독서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한 번 추천드릴게요.(아 진짜 읽어 보셈!)

이번 책의 제목은 [요가]

제발트가 제가 이해한 바로 말하자면, 현실 속에서 시간이라는 초현실적 이미지를 갖고 그것이 작용하는 바에 대한 글을 쓴다면 카레르는 현실을 사는 사람의 구체적인 일상과 고민을 담습니다. 두 작가 모두 어떤 경계를 넘는 글을 쓴다는 생각을 합니다. 

카레르의 경우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이유는 글을 쓰는 작가 자신의 현실과 당시에 쓰는 책에서 대상으로 하는 소재가 경계없이 서로 침범하고 엮이는 식의 글을 쓰기 때문입니다. 사실 모든 작가가 글을 쓸 때 다루는 대상이 작가 자신의 고민과 관심과 투쟁의 결과물이고 그러니 자기를 쏟아붓거나 통과하거나 할 겁니다. 그런데 보통은 작가의 모습을 감추지 않습니까? 카레르는 감추지 않고 드러내고 드러내며 연속 드러내어 뭐 감춰진 거 없나 찾아서 파내고 그럽니다. 본인의 사생활을 소재를 통해서 탈탈 털어서 분석해 본달까요. 프랑스의 지식인은 어떻게 사는가, 같은 엿보는 재미와 더불어 그 지식인 작가의 자기 반성적인 탐구 정신이 최대한의 훌륭한 읽을거리로 결과물을 낼 때 감탄과 감사가 따랐습니다. 이를 저는 카레르의 [왕국]에서 맛보았어요. 

책 표지를 열자 이런 말이 서언으로 적혀 있습니다.

'만일 네가 네 속에 있는 것을 오게 하면, 네가 오게 하는 그것이 너를 구할 것이다. 만일 네가 네 속에 있는 것을 오게 하지 못하면, 네가 오게 하지 못하는 그것이 너를 죽일 것이다.'   - 외경 '토마의 복음서'

작가가 자신의 작품 경향과 너무나 똑 맞아떨어지는 구절을 찾아내어 적어 놨네요.ㅎ

8932923507_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5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1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08
124598 프레임드 #596 [4] Lunagazer 2023.10.28 76
124597 10. 30 월요일에 롯데월드를 갈까 하는데... [1] 스위트블랙 2023.10.28 227
124596 트라이셉스 푸쉬업 catgotmy 2023.10.28 164
124595 드라큐라가 중국 가서 강시의 왕이 되는 영화 [2] 돌도끼 2023.10.28 283
124594 애플워치 신기능 광고(SF적 세계) [1] 상수 2023.10.28 267
124593 [jtbc] 싱어게인3 1회 [6] 쏘맥 2023.10.28 417
124592 [왓챠바낭] 다시 숙제를 합니다. '개목걸이' 잡담 [2] 로이배티 2023.10.28 275
124591 곧 이태원 참사 1주기, 타큐멘터리 [CRUSH] 예고편을 봤어요. soboo 2023.10.27 287
124590 아주 오랜만에 순대를 사봤는데 [1] 가끔영화 2023.10.27 218
124589 (금요일 바낭)요즘 호사가들 사이의 핫한 단어 '파라다이스' 왜냐하면 2023.10.27 401
124588 프레임드 #595 [5] Lunagazer 2023.10.27 65
124587 투혼 또는 죽음의 승부 [2] 돌도끼 2023.10.27 245
124586 파친코 (2022) [2] catgotmy 2023.10.27 246
124585 [뉴스]허우 샤오시엔 투병으로 은퇴 [5] staedtler 2023.10.27 468
124584 국정원, 선광위 시스템에 정체불명 파일 15개 남겨... [2] 왜냐하면 2023.10.27 296
124583 [왓챠바낭] 뭔 소린지 몰라도 재밌게 볼 순 있죠. '광란의 사랑' 잡담 [16] 로이배티 2023.10.27 431
124582 '더 프랙티스' 보고 있어요. [10] thoma 2023.10.26 327
124581 프레임드 #594 [5] Lunagazer 2023.10.26 76
124580 내일 저녁 꿈이룸 명동 (명동역 4번 출구)에서 < 하이미스터메모리 >미니콘서트&파티에 초대(무료)합니다. 젤리야 2023.10.26 155
124579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안내서 [1] 먼산 2023.10.26 21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