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를 쓰려고 했는데, 시간은 속절 없이 흘러가서 짤막하게 궁금한 점들을 써보려고 합니다.


뒷 이야기를 조금 찾아보니, 이 영화 만들 때는 시간도 자원도 넉넉하게 하야오 하고 싶은 거 다 해, 식으로 만들었다고 하더군요. 기한도 한정없이 늘어나서 7년이 걸렸고, 모든 콘티를 하야오가 직접 손으로 다 그렸다고 합니다. 즉 이 영화는 시간이 없어서 덜 만들어졌거나, 어떤 압박으로 인해 수정되거나 틀어진 부분이 다른 작품들에 비해 아주 작다고 생각하면 되나 싶었습니다.


먼저는 이 영화를 미야자키 하야오의 자전적 일화로 보고 그 상상 속 세계는 자신이 만들어온 창작물들, 펠리컨과 앵무새는 마음대로 하고픈 투자자들, 직접 말했듯 황새는 프로듀서라고 생각하면 꽤 풀리는 부분들이 있어서 처음에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하야오도 직접 시사회에선가 '여러분들 이해 안 가죠? 저도 그렇습니다.' 같은 말을 했다고 하니 그렇게까지 앞뒤가 맞는 이야기는 아니라고 편하게 생각해도 될 수도 있겠지만...


단순하게 상상 속 이세계를 외부의 힘을 통해 구성한 큰 할아버지가 자신의 후계를 선정하기 위한 과정을 치르다 실패한다 정도로 축약해볼 수 있겠지만 이 과정에서 몇몇 궁금한 부분들이 있더군요.


1. 영화 초반 오래된 저택으로 인도하는 황새의 의도는 무엇이었는가?


황새는 중반부터 유리 장미를 떨어트려 주목시킨 할아버지의 지시를 받아 미지의 세계를 인도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그러나 초반에는 주인공의 죽은 어머니를 다시 볼 수 있다면서 주인공을 유혹하는데요. 불의 이미지를 가진 엄마를 정반대인 물의 이미지로 가짜로 만들어 놓기도 합니다. 그 장면에서도 다시 가짜를 더 잘 만들어 줄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 때까지의 주인공을 향한 황새의 의도는 무엇이었는지. 


2. 새엄마는 어떤 위치에 있는가?


몇몇 영화 해석들을 봤지만 새엄마의 위치가 모호하게 해석되더군요. 아예 배제된 경우도 있고. 영화 묘사상 새엄마는 아이를 낳기 위한 산실에 들어가기 위해 자발적으로 미지의 세계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그 산실은 누구도 들어갈 수 없는 금기의 영역이었고요. 하얀 종이 봉인을 깨어버리고 주인공은 새엄마를 거기서 꺼냅니다. 그 과정에서 새엄마 뒤에 '무덤의 주인'에서 봤던 고인돌 모양의 공간이 잠시 보이기도 합니다. 새엄마는 황새를 쫓기 위한 활도 가지고 있었죠.


전쟁이 시작한지 4년 후, 엄마는 병원에서 죽습니다. 그 후 1년 후 아빠는 엄마의 여동생인 새엄마와 함께 살게되죠. 이미 새엄마의 뱃 속에는 아이가 있고요. 얼마나 빠른 호감이 있었길래 그렇게 순식간에 애까지 가질 수 있었을지. 상황상 원 가족은 시골에서 나와 도시로 이사해서 살고, 새엄마는 시골의 그 공간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주인공은 그 시골에서 태어났던걸로 보이며 그 과정은 현재의 새엄마가 겪는 입덧과 비슷해 보이죠. 새엄마의 산실로 인도하는 것은 그의 언니인 엄마입니다. 다만 돌이 기대하고 있고, 자신이라면 그 안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하죠. 혹시나 자신도 출산 이전의 시기에 그 공간에 갔을지도 모릅니다.


후손의 피만 그 공간을 물려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아이가 그 공간에서 태어났다면 이야기는 어떻게 변화하는 것이고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인지. 황새와의 접근을 막은 이유는 주인공을 그 공간에서 배제하고 싶었던 것인지. 이런 세계 창작 권력의 헤게모니는 어떤 뜻인지가 궁금하더군요. 어렸을 시절 엄마와 새엄마가 둘 다 아빠를 사랑했고, 먼저 엄마와 결혼한 후 가진 아이인 주인공이라 그렇게 미워한 것인지, 아니면 새엄마로서 원래의 아이를 미워한 것인지.


3. 무덤의 주인은 누구인가?


주인공이 아래로 가라앉아 맨 처음 가게 되는 곳은 어떤 무덤입니다. 같이 가게 된 할머니에 의해 '무덤의 주인'에게서 보호받고 그 자리를 떠나게 되는데요. 아마 '나를 배우면 죽게 된다' 같은 의미심장한 설명이 입구에 써져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고인돌 몇 개가 배치된 그 공간은 무엇인지.


----


대략적으로 평생 쌓아온 자신의 창작세계가 물려줄 바 없이 무너지고 잊혀지기 직전에 놓였지만, 그걸 호쾌하게 밀어버리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모습에서 비장미가 느껴저 눈물이 찔끔 났답니다. 그다지 아름답지 않지만 평생을 쌓아온 거대한 세계가 박살난다는건 참. 그런데 생각해보니 이런 의문증이 들어 그렇게 쉽게 풀이가 되는건가 싶었습니다. 단순하게 어머니의 죽음을 다른 해석으로 받아들인 어린이의 마음이라고 하기엔 찝찝한 부분이 많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32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6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014
124965 미니홈피에 자꾸 (곤란한) 댓글을 다는 친구는... [13] 보라색안경 2010.06.26 4371
124964 오늘 있었던 일... [2] Apfel 2010.06.26 1813
124963 내 이름은 남아공 [2] zivilrecht 2010.06.26 2393
124962 사이즈 폭 설문입니다. 의견 주세요. [18] DJUNA 2010.06.26 2024
124961 엮인글 연습 [7] 가끔영화 2010.06.26 2002
124960 소녀시대의 끝 [24] Robert Frost 2010.06.26 7593
124959 영퀴. [5] nishi 2010.06.26 1935
124958 박보영 [3] 폴라포 2010.06.26 4897
124957 '맨발의 꿈' 극장에서 일찍 내려가지 말았으면 하는 바램 [4] 산호초2010 2010.06.26 2233
124956 치킨과 함께 하는 월드컵 [8] 산호초2010 2010.06.26 2689
124955 무한도전 자리 재배치했어욬ㅋㅋ [8] zivilrecht 2010.06.26 4399
124954 안암역(고려대 정경대 후문), 육쌈냉면 [19] 01410 2010.06.26 6526
124953 월드컵 응원 방송은 KBS가 더 재미있네요. [3] 허기 2010.06.26 2337
124952 우루과이전 출전 선수 명단 [16] zivilrecht 2010.06.26 2827
124951 파라마운트가 샤말란의 신작인 [라스트 에어벤더]에 투자한 금액 [15] 보쿠리코 2010.06.26 3190
124950 불판 깝니다. 2010 남아공 월드컵 16강전 제1라운드 - 대한민국 vs 우루과이 (전반전) [67] 01410 2010.06.26 2766
124949 1시까지는 꼼작마라군요.. [4] 메피스토 2010.06.26 2385
124948 야마모토 후미오의 <플라나리아> [4] catgotmy 2010.06.26 2144
124947 불판 갑시다. 2010 남아공 월드컵 16강전 제1라운드 - 대한민국 vs 우루과이 (후반전) [69] 01410 2010.06.26 3889
124946 내일 토익은 대박이려나! [9] 29일 2010.06.27 327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