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태어날 때부터 우량아였으며 어렸을 때는 아프다는 게 뭔지 몰랐던 건강한 아이였습니다. 얼마나 튼튼했느냐 하면 아동 시절에는 두통이 뭔지도 몰랐고, 청소년기에는 감기로 39도 고열인데 제발로 동네 가정의학과에 가서 ‘열이 있는 것 같아요라고 해서 선생님을 기겁하게 한 적도 있습니다. 운이 좋아서 사고로 팔다리를 다친 적도 없고요. 운동은 질색을 했지만 잘 먹고 잘 자는 체질상 문제없이 성인으로 자라났습니다.

성인이 되어도 이런 건강 체질은 유지가 되었고요. 대학원 시절부터 습관을 붙인 하루 30분짜리 유산소 운동도 도움이 되었지요. 제가 얼마나 건강했냐 하면 직장생활 초기에 연말정산을 위해서 그해 의료비를 확인하는데, 건강보험 공단에서 확인해 준 한해 동안 의료비가 0원이 적이 있습니다. 1년 동안 병원을 간 적이 한번도 없었다고요.

 

물론 제아무리 건강해도 나이를 이기는 장사는 없습니다. 그리고 40대에는 건강검진 중 큰 병(산정특례대상)을 발견해서 치료를 받은 적도 있고요. 실제 느끼는 증세는 없었지만 희귀중증질환인 만큼 조심해서 운동도 더 열심히 하고, 음식도 가려 먹기 시작했습니다. 40대에는 팔다리가 쑤시고 기력이 없고, 기름지고 짠 음식은 소화가 잘 안되거나, 잠을 예전만큼 잘 자지 못하는 등등 노화가 피부로 느껴지기 시작했고요

나이 50에 폐경을 하자 말로만 듣던 무서운 갱년기 증상을 겪기 시작합니다. 열감과 함께 온 편두통으로 밤새 토하는가 하면, 건망증으로 직장에서 엉뚱한 실수를 반복하고, 관절 통증과 피로감에 시달리는 등 전반적으로 삶의 에너지가 60%대로 떨어진 느낌입니다.


물론 이 와중에도 해외 여행 가서는 멀쩡하게 잘 놀러다니는 걸 보니 이게 몸 상태뿐 아니라 기분에 영향을 받는 부분도 있다는 걸 알았지만, 그걸 안다고 수시로 찾아오는 통증과 불편이 가시는 건 아니더라고요.

이제는 건강이 최고라는 기치 아래 조심조심 몸을 사리며 살아가려고 하지만, 이렇게 몸이 예전같지 않다는데 섭섭함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원래부터 몸이 부실했으면 나이들어서 이런 불편을 새삼 느끼지 않았을까요? 한때나마 건강했었다는데 위안을 얻어야 할지, 아니면 다 소용없고 누구에게나 나이가 깡패가 되는 순간이 온다는데 서러워해야 할지 모르겠네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94
124890 알라딘은 중국 사람 [2] 김전일 2023.12.02 260
124889 [넷플릭스] 코미디 로얄. [4] S.S.S. 2023.12.02 315
124888 타임지의 2023게임 베스트 10, 그대들은 OST해외 서비스 시작, D-29 [2] 상수 2023.12.02 171
124887 저도 봤습니다. 넷플 - 이두나! - 약간 스포 [5] theforce 2023.12.02 353
124886 하루키 신작 거리와 그 불확실한 벽 - 이동진 해설영상 상수 2023.12.02 211
124885 서울독립영화제 2일차 - 그 여름날의 거짓말(스포있음, 스포는 결말까지 하얀색처리) 상수 2023.12.01 149
124884 프레임드 #630 [5] Lunagazer 2023.12.01 73
124883 손꾸락 사태 관련해서 남초 커뮤니티에서도 내홍이 벌어짐 [8] ND 2023.12.01 821
124882 도시남녀의 사랑법 (2020) catgotmy 2023.12.01 168
124881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1] 조성용 2023.12.01 442
124880 MT 32 잡담 [4] 돌도끼 2023.12.01 146
124879 자승 스님 관련 뉴스를 보다, 스트레스 내성이 강한 [2] 가끔영화 2023.12.01 372
124878 ENFJ에 대해 catgotmy 2023.12.01 149
124877 조지 밀러, 안야 테일러 조이 주연 -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1차 예고편 [5] 상수 2023.12.01 393
124876 2023 New York Film Critics Circle Awards 조성용 2023.12.01 159
124875 Frances Sternhagen 1930-2023 R.I.P. 조성용 2023.12.01 82
124874 [바낭] 요즘 OTT들 잡담 [17] 로이배티 2023.11.30 675
124873 벽력십걸 돌도끼 2023.11.30 123
124872 프레임드 #629 [2] Lunagazer 2023.11.30 68
124871 손가락 관련 [2] DAIN 2023.11.30 4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