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인 존재론

2023.12.13 16:40

daviddain 조회 수:220


지금 나는 이강인 이야기를 하고 있다. 명함이 근사하다. 회사명은 ‘파리 생제르맹’이다. 직함은 주전 미드필더. 뒷면에 ‘대한민국 국가대표 에이스’라고 썼다. 현존 에이스 손흥민이나 ‘해버지’ 박지성의 명함도 훌륭하다. 차이가 있다면 이강인은 회사명과 직함, 그리고 본인 이름이 한꺼번에 빛날 가능성을 품고 있다. 세계 무대에서 팀과 개인의 성취가 모두 정점에 달하는 최초의 한국인 선수인 것이다.


(중락)


희미한 불안감이 고개를 들 때, 우리 앞에 이강인이 등장했다. 슈퍼스타로서의 ‘스펙’은 거의 완벽하다. 스페인 명문 클럽의 기대주에서 U20 월드컵 MVP, 화려한 챔피언스리그 클럽 소속자란 이력이 이어진다. 축구 팬들은 이강인의 스킬에 열광하고, 일반 대중은 ‘슛돌이’의 올바른 성장에 가족애에 가까운 지지를 보낸다.

이강인의 소속팀 파리 생제르맹은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한 팀이다. 대한민국은 2024년 1월 AFC 아시안컵에서 63년 무관의 한을 풀려고 한다. 2019년 U20 월드컵에서 이강인은 “우승이 목표”라고 말해 취재진을 놀래켰다. 결승 진출로 인해 그의 목표는 거의 실현될 뻔했다. 선수 측근은 “무슨 대회든 일단 출전하면 무조건 우승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아이”라고 전한다. ‘무슨 대회’는 UEFA 챔피언스리그, AFC 아시안컵, FIFA 월드컵 등 말 그대로 모든 대회를 포함한다. 어느 팀이든 이강인의 기량과 역할이 중심일 것이다. 그렇다면 혹시? 이강인의 명함이 어디까지 완벽해질지, 축구 팬들의 즐거운 상상은 이제 시작됐다.


https://www.gqkorea.co.kr/2023/12/12/%EC%9D%B4%EA%B0%95%EC%9D%B8%EC%9D%98-%EC%A1%B4%EC%9E%AC%EB%A1%A0/






bf9c7cbb0ae79a7a686477a424521cfa.jpeg

L.Hernandez a LP: « Je pense à Kang-in Lee qui a une très grosse personnalité, toujours en train de parler, souriant et avec l’envie de s’améliorer. Il fait toujours des blagues en espagnol. » 강인이가 그릇이 크고 항상 말하고 발전하려하고 한다고 생각함. 늘 스페인 어로 농담함


셋이 스페인 어로 떠들 듯. 뤼카보다는 루카스가 맞는 발음일 텐데 성장기와 축구 경력을 상당 부분 스페인에서 보냈음. 아버지가 스페인 혈통에 아틀레티코에도 있었고 루카스 테오 형제 아틀레티코 유스. 테오는 레알 마드리드 거쳐 밀란에.


뎀벨레는 바르셀로나에 몇 년 있어도 스페인 어 못 한다는 말이 있네요. 집 엉망으로 써서 집 주인이 도대체 뭔지 모를 음식이 몇 개월째 썩고 있더라고 잡지에다 불평하고 일본 가서 호텔 직원 인종차별 비하했다 코나미 스폰서 해지된 거만 봐도 멍청해서 그러할 듯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9
125118 2024년 새해 복많이 받으시기를(건강, 정신건강이 최고입니다) [4] 상수 2024.01.01 175
125117 고 이선균 배우의 목소리 [1] soboo 2023.12.31 515
125116 프레임드 #660 [4] Lunagazer 2023.12.31 59
125115 최근 읽은 책과 읽을 책 [6] thoma 2023.12.31 308
125114 [영화바낭] 올해의 마지막 영화는 쌩뚱맞게 뤽 베송, '니키타'입니다 [4] 로이배티 2023.12.31 308
125113 [넷플릭스] 인비저블 게스트 [2] S.S.S. 2023.12.31 212
125112 디즈니 100주년: ‘마우스 하우스’가 실패한 이유(Feat.워너) - BBC 코리아 상수 2023.12.31 202
125111 [디플] 이니셰린의 밴시 [6] S.S.S. 2023.12.31 249
125110 어제의 대설주의보와 누가 걸어간다(한국소설의 기억을 되살리다) [2] 상수 2023.12.31 161
125109 레트로튠 - through the years [1] theforce 2023.12.31 64
125108 Tom Wilkinson 1948-2023 R.I.P. [5] 조성용 2023.12.31 187
125107 Mike Nussbaum 1923-2023 R.I.P. [1] 조성용 2023.12.31 120
125106 아마존프라임 시리즈 - 미스터 미세스 스미스 예고편 [4] 상수 2023.12.31 234
125105 [관리] 23년도 하반기 보고 및 신고 관련 정보. [10] 엔시블 2023.12.31 339
125104 [왓챠바낭] 추억 파괴인가 강화인가, 호기심에 본 '시네마 천국' 잡담입니다 [18] 로이배티 2023.12.30 400
125103 2024 영화 기대작 리스트 [2] theforce 2023.12.30 314
125102 프레임드 #659 [4] Lunagazer 2023.12.30 53
125101 지난 정권에서 그렇게 조국욕을 하며 정권과 각을 세웠던 모 기자 도야지 2023.12.30 453
125100 올해 끝나가는 동안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10] 조성용 2023.12.30 482
125099 범죄도시3 vs 독전2 ( 2023년 실망을 크게 줬던 영화) 왜냐하면 2023.12.30 17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