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읽은 책과 읽을 책

2023.12.31 18:36

thoma 조회 수:308

[노변의 피크닉]을 읽었습니다. 아르카디 스트루가츠키, 보리스 스트루가츠키 형제가 함께 쓴 작품들 중 대표작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우연히 알게 되어 이분들 작품을 처음 접해 봤네요. 두 사람은 어떤 식으로 작업했을까요. 마르틴 베크 시리즈를 공동으로 쓴 셰발과 발뢰는 장을 번갈아 가며 썼다고 했는데, 그런데도 이야기에서 튀는 부분을 못 느끼겠고 자연스럽게 흐른다는 것이 신통했습니다.


SF 소설 문외한이지만 어렵지 않고 재미있다니 어디 한번...라는 마음으로 읽었는데 예상과 달리 상당히 진지하였습니다. 

진지하다는 것은 글이 사실주의적이라는 뜻입니다. 얼렁뚱땅 활극 종류는 아니었습니다. 중간에 물리학자의 어려운 설명도 잠시 나오지만 그런 부분은 길지 않고 문제가 되진 않아요. 외계의 방문이 끼친 영향으로 인해 존재에 대한 진지한 질문들을 더는 뒤로 미룰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되니까 생기는 긴장 같은 것이 있었고, 발생한 일을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현실을 살아야 하는 인간들의 조건을 바탕으로 해서 현실적인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거든요.

 

외계에서 어떤 존재들이 왔다가 이상한 흔적들을 잔뜩 남기고 갔다, 인간이여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우리와 차원이 다른 문명을 소유한 우주의 어떤 존재들이 무심하게(하지만 인간에겐 엄청 위험한 흔적을 남겨놓고) 다녀간 뒤 인류는 그 흔적들을 가지고 뭘 해 볼 수 있으며 향후 어떤 대책이 가능할 것인가. 

대부분의 인류는 그러거나 말거나 외계의 방문이 파생시킨 돈이 되는 일, 하루치 안락을 위한 돈벌이가 될 일 주변에 몰리고 주인공 레드릭 역시 그런 인물 중 한 명이었고 방문과 깊이 엮인 모든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안 좋은 일을 겪습니다.

외계가 방문한 구역에는 여러 희한한 물건들이 남아 있고 여러 희한한 방법으로 인간 목숨을 위협하는 물질로 가득한데 이 묘사가 아주 생생하고 맵습니다. 외계와의 점잖은 접촉인 드니 빌뢰브 감독의 '컨텍트'는 이 소설에 비하면 낭만적인 느낌마저 들었고, 제가 본 영화 중에서 찾자면 아름답게 순화되어 표현되었긴 하지만 '서던리치:소멸의 땅'이 제한 구역이란 점에서 떠오르더군요.

 

결국 범죄자가 주인공이라 사실주의적인 범죄 소설의 성격이 느껴지고요, 외계 방문이 실제로 일어났을 때 정부와 과학계가 어떻게 대응하는지, 얼마나 수공업적이며 무력한지를 예상한 바 그대로 보여 줍니다. 1972년 소련에서 이 소설을 출판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던가 본데 이런 이유도 있었겠죠. 전능한 정부를 존재감 없이 그렸다거나. 

흥미롭게 읽었고요, 인간 종으로서 절망감도 품고 있는 소설이었는데 이래저래 작품의 무게감에 걸맞는 소감을 적기엔 지식이 부족해 이만 줄여야겠어요. 2023년 마지막 소설이었네요.

8972758388_1.jpg

한병철 저작 중 세 번째입니다. 

[시간의 향기]입니다. 저녁에 시작해서 두 해에 걸쳐 읽어 보렵니다.ㅎ

저자가 몇 해 전 한국 방문을 해서 독자와 만남 장소에서 불미스런 일이 있었다는 걸 읽었어요. 책의 저자도 그렇고 영화 감독도 그렇고 작품은 작가를 앞선다는 생각을 합니다. 인간은 불안정하고 부실한 정신과 육체의 소유자라 남모르는 약(악)함을 지니고 있다가 불시에 관리자를 벗어나기도 하네요. 관리자와 관리되는 자가 동일인이라도 똑같다고 할 수 없기도 하니까요. 인간의 최선의 형태로 작품이 나오니, 작품은 언제나 창작자 보다 나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며, 이 저자 개인에 대해 더 자세히 알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8932023964_1.jpg

듀게 분들 모두 건강하십시오. 

날선 말이나 무딘 말로 알게 모르게 기분 상하게 한 일은 다 뒤로 날려 주시길 바랍니다. 슝슝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9
125239 끌로드 샤브롤의 [의식]을 다시 봤습니다 [6] Sonny 2024.01.15 198
125238 컴퓨터가 반고장나면 좋은 점 [3] catgotmy 2024.01.15 167
125237 오바마 전 대통령의 2023 추천작 리스트 [3] 상수 2024.01.15 379
125236 2024 Critics’ Choice Award Winners [1] 조성용 2024.01.15 146
125235 류츠신 원작 넷플릭스 시리즈 삼체 공식 예고편 [5] 상수 2024.01.15 363
125234 [왓챠바낭] 추억으로 즐겁게 봅니다. '종횡사해' 잡담 [6] 로이배티 2024.01.14 320
125233 프레임드 #674 [4] Lunagazer 2024.01.14 77
125232 컴퓨터가 망가지고 [2] catgotmy 2024.01.14 190
125231 홍콩느와르에 대해 생각해봤어요 [4] 돌도끼 2024.01.14 334
125230 라면 선전하는 아놀드 [2] 돌도끼 2024.01.14 320
125229 [왓챠바낭] 참 잘 했어요 왓챠. '이것이 스파이널 탭이다' 잡담입니다 [20] 로이배티 2024.01.14 384
125228 이런저런 본 것 들(카지노 스포일러) 메피스토 2024.01.13 159
125227 Children of Dune/린치의 듄 메시아 각본 [1] daviddain 2024.01.13 189
125226 누구일까요? 엄친아를 가볍게 뛰어넘는 사기캐 [4] 왜냐하면 2024.01.13 530
125225 이선균과 휴 그랜트 한국문화 [4] catgotmy 2024.01.13 600
125224 2023년 기준 세계 영화감독 흥행순위 [3] 상수 2024.01.13 450
125223 홍콩의 겨울은 참 좋군요 [2] soboo 2024.01.13 360
125222 프레임드 #673 [4] Lunagazer 2024.01.13 61
125221 [ott 간단 후기] 베니스 살인사건, 굿 닥터 시즌 6, 경성크리쳐 0.5 [14] 쏘맥 2024.01.13 355
125220 [핵바낭] 그냥 잡히는대로 일상 잡담 [17] 로이배티 2024.01.13 49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