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책

2024.02.15 14:33

thoma 조회 수:686

1. 류드밀라 울리츠카야의 '소네치카'를 읽었습니다. 

러시아 작가의 소설을 모처럼 접했어요. 러시아 여성 작가의 책을 읽은 게 있었는지 생각해 보니 떠오르는 이름이 없습니다. 2015년 노벨상을 수상한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는 러시아어로 쓰지만 국적은 벨라루스라고 하네요. 예전에 제가 그나마 부지런히 세계문학을 읽은 시기에는 러시아의 여성 작가 책을 구경한 기억이 없습니다. 류드밀라 울리츠카야는 1943년 생이고 비슷한 연령대의 러시아 여성 작가 서너 분이 소개되기 시작한 것이 그리 오래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소네치카'는 소냐(소네치카)라는 여성의 일생이 전개되는 중편 소설입니다. 

소냐는 책읽기를 좋아하고 작가를 숭배하며 자라요. 사서로 일하다가 어느 날 불어로 된 책을 찾는 로베르트와 금방 서로 반해서 순식간에 결혼합니다. 소냐 보다 스무 살이 많은 남편은 예술가인데 프랑스에서 귀국 후 유배생활을 하여 경제적으로 궁핍합니다. 어쨌든 예술가! 소냐는 책읽기와 멀어지고 육아와 가사와 부업으로 바쁘면서도 매우 행복합니다. 이하 상세 내용은 생략하겠습니다.

평이 좋아서 읽었는데 저는 그런 평처럼 좋게 읽지 못했어요. 남편과의 17년 결혼 생활을 포함하여 시간 배경이 소련의 40년대부터 70년대 정도인 것 같습니다. 시대 반영도 있을 수 있겠으나 소냐의 자신감 없음과 남편(예술)에 대한 숭배가 이해하기 어려웠어요. 제가 놓친 부분이 있는지 생각하고 다른 후기를 봐도 별로 설득이 되진 않았고요. 듀게에서 읽으신 분이 있으실까...다른 의견들을 듣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8954694756_1.jpg


2. 오에 겐자부로의 신간 [새로운 문학을 위하여]를 읽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이와나미 신서 첫째 권으로 1988년에 나온 책입니다. 2015년에 나온 [읽는 인간]을 읽었었는데 [읽는 인간]은 작가에게 영향을 준 책을 중심으로 강연한 내용을 엮은 것이라 편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책은 작가의 소설 방법론으로서 마음먹고 쓴, 전체가 하나의 기획으로 꿰어져 있는 평론서 종류입니다. 당연히 작가의 인생책에 대한 이야기라든가 평소 지론들이 중복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장수하셨고 소설 뿐만 아니라 에세이도 많이 남기셔서 중복은 당연하겠죠. 무게감이 좀 있는 책이라 슬렁슬렁 읽기는 어려운 듯도 합니다. 그리고 여러 작가들과 평론가들 인용이 들어가는데 특히 일본인 경우엔 낯선 작가와 작품이 많다는 점. 늘 그렇지만 이런 턱을 잘 넘어가야겠어요.

k492937856_2.jpg


3. 새로 산 책도 몇 권 올립니다. 

[쇼펜하우어를 마주하며]

어떤 드라마에서 나왔다고 하던가, 갑자기 쇼펜하우어 책이 잘 나가서 웃픈 일이 생겼다고요. 저도 자주 눈에 띄어서 한 권 골랐습니다. 

이 책은 22년 3월에 나왔으니 유행하기 전에 출간이네요. 프랑스에서는 2017년 출간이라고. 애증의 미셸 우엘벡이 쓴 작고 얇은 책입니다. 짧은 분량이 선택하게 된 최우선 조건이었고 그 다음이 미셸 우엘벡이 썼다는 점.

k062836451_1.jpg


[페이드 포]

인터넷 서점에서 화제가 된 책입니다. 역시 추천과 호평을 자주 접하다 읽어 보려고 생각하게 되었네요. 스스로 찾아 읽는 책의 길목에선 잘 마주치지 않는 책인데 선택해 봤어요. 성매매의 본질을 알 수 있는, 당사자의 글쓰기라고 합니다. 7년 간의 경험을 10년에 걸쳐 썼다고 하네요. 성노동자라는 표현에서 느껴지는 찜찜함이 어디서 오는 것이었는지 알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k692636080_1.jpg


[오블로모프] 

평소 관심 책이어서 들였습니다. 1, 2권 합계 800페이지가 넘어 분량이 꽤 됩니다. 출판사 소개로 대신할게요.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 전세계적으로 알려진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소개되지 못했다. 이번이 첫 완역이다. 곤차로프는 몇 편의 작품만 발표한 러시아의 대문호. <오블로모프>가 출간되었을 때 톨스토이는 대작 중의 대작이라는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8932013195_2.jpg






























[통조림 공장 골목]

표지만 봐도 재미있겠죠. 길이도 짧네요. 270페이지. 존 스타인벡 고향 마을이 배경이고 1945년 발표했다네요.

2008년에 나와서 절판될까봐 이번에 샀어요.

8954605427_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9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3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75
125704 블로씨는 이제 좀 두고.. [12] therefore 2010.06.12 3746
125703 스밀라의雪에대한감각™ 님 보세요. [49] 오애 2010.06.12 4833
125702 토요일 점심은 뭐 드셔요? [10] 걍태공 2010.06.12 3316
125701 축구 안 좋아하시는 분들은 오늘 뭐하시나요? [13] wadi 2010.06.12 3858
125700 심리전은 북한이 한수 위인 듯 [4] 가끔영화 2010.06.12 3686
125699 수준떨어지게... [2] 늦달 2010.06.12 3275
125698 유령 작가와 방자전, 작가 이름 혼동하기. (스포일러 재중) [5] keira 2010.06.12 2968
125697 6월에 전시가 많기도 많군요. 전시 정보들 모음. [7] mithrandir 2010.06.12 4243
125696 한겨레가 왜 어려운지 알거 같아요. [47] soboo 2010.06.12 7696
125695 웹툰 하나 아주 강하게 추천합니다. [20] RoyBatty 2010.06.12 8553
125694 오늘 있었던 일.. [5] Apfel 2010.06.12 2657
125693 어떤 사람을 좋아하고 싫어하는 일이 노력한다고 될까요? [15] 비네트 2010.06.12 4039
125692 다음주 주말에 부모님 모시고 갈 만한 데 추천 부탁드려요 [2] pit_a_pat 2010.06.12 2869
125691 시베리아의 이발사를 봤어요. 요가. 핀란드식 케잌. [3] therefore 2010.06.12 3679
125690 클럽에 왜 가나요? [9] 주근깨 2010.06.12 4849
125689 이익에 따라 거짓말을 하거나 시치미를 떼는 사회. 고인돌 2010.06.12 2792
125688 축구 보면서 먹으려고 치킨을 시켰거든요. [6] 서리* 2010.06.12 5127
125687 대한민국 vs 그리스 B조예선 첫경기 불판 깝니다. [123] 01410 2010.06.12 6999
125686 드디어 시작입니다. [1] 푸른새벽 2010.06.12 2422
125685 월드컵에 관심없었는데.. [4] 진성 2010.06.12 42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