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근거로 이강인이 요르단전에서 손흥민에게 패스를 3차례만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러면서 이전 8강 호주전에선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12차례 패스를 건넸는데 저녁 충돌 이후엔 기분이 상해 일부러 패스를 안 줬다는 해석까지 달고 있다.

하지만 AFC(아시아축구연맹) 홈페이지를 통해 대회 패스 데이터를 살펴보면, 이같은 주장은 다소 설득력이 떨어진다.

일단 대회 기간 이강인과 손흥민이 주고 받은 패스 횟수는 경기마다 천차만별이었다. 공격 주도권을 어떤 팀이 쥐었는지에 따라 달라졌고, 원톱 혹은 투톱 등 한국이 내세운 포메이션과 손흥민이 뛰는 포지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요르단과 준결승전에서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3차례 패스를 한 건 맞다. 하지만 16강 사우디전에서도 이강인은 손흥민에게 4차례 패스를 했다. 연장을 제외한 전·후반만 따지면 2차례에 불과하다.

호주와 8강전과 비교하면 분명히 차이는 있다. 한국은 호주전에서 후반부터 연장까지 상대를 지속적으로 몰아붙였다.

조별리그 1차전 바레인 경기에선 이강인은 손흥민에게 8차례 패스를 건넸다. 2차전 요르단전에선 그 수치가 2회로 줄었다가 3차전 말레이시아 상대를 했을 땐 11회로 다시 폭증한다.

대체적으로 조규성이 최전방에 서고 손흥민이 투톱 파트너로 뒤를 받칠 때는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건넨 패스 횟수가 늘어났고, 손흥민이 원톱으로 나섰을 때는 이강인 발에서 손흥민으로 향하는 패스 횟수가 줄었다.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각각 4차례, 3차례 패스한 사우디와 16강전과 요르단과 4강전은 모두 손흥민이 원톱으로 나선 경기였다. 반면 호주전은 AFC 분석에 따르면, 조규성이 최전방에 서고 손흥민은 그 뒤에서 뛰었는데 이강인은 손흥민에게 12차례 패스를 했다.

손흥민은 전방 공격수라 상대적으로 이강인에게 준 패스가 적었다. 1차전 2회, 2차전 1회, 3차전 8회, 16강전 4회, 8강전 5회, 4강전 10회. 경기 상황과 전개 과정에 따라 들쭉날쭉한 결과다.

호주전 이후 몸싸움이 일어나고 요르단전에서 일부러 패스를 안 했다고 보기엔 다른 경기들 데이터에서 일관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0003817364_003_20240219090907118.png?typ



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023/0003817364


-보니까 개인 감정으로 패스 안 해 경기를 망쳐서 새벽에 응원한 거 헛되게 했다니,낭트 전 몸푸는 사진갖고도 얼굴에 독기가 가득하다니, 멘탈에 아무 지장없다니 하는 댓글이 4-50대 주부 커뮤에서까지 달리는데 오늘 마침 생일이라 벙어리 냉가슴앓듯 하는 팬들은 그래도 생일 축하해 주고 있네요.

엔리케가 선수 보호는 잘 하는 감독이고 낭트 전 이긴 후 스페인 어 통하는 루카스 에르난데스와 찍힌 사진 보니 스페인 어 통하는 코치진,선수들과 있으니 다행입니다.파리는 경기 후 한국 유튜버와 사진은 찍게 해도 대화같은 거 녹음 못 하게 했다니 선수 보호 철저히 하는 듯 합니다. 챔스 바이러스 감염으로 못 나온 게 이말고도 다른 선수도 있어요. 주부 커뮤에서는 음바페와 놀더니 지가 음바페 급인 줄 안다는 댓글도 달리더군요.


심지어 이런 글도 올라왔음


음바페가 이강인 보이콧 하는 거 사실인가요?

https://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3782822&page=1&searchType=search&search1=1&keys=%EC%9D%B4%EA%B0%95%EC%9D%B8+





http://www.djuna.kr/xe/index.php?mid=board&search_keyword=%EB%B2%A8%EA%B8%B0%EC%97%90&search_target=title_content&m=1&document_srl=14232897


ㅡ 벨기에 국대에서는 별 사소한 걸로도 다 싸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3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3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53
125712 드라마 "눈물의 여왕" 이 시작되었군요...(박지은 작가) 왜냐하면 2024.03.12 438
125711 '정의의 외계인' [2] 돌도끼 2024.03.12 199
125710 [왓챠바낭] 하찮게 허허실실 은근 재밌는 소품 호러, '클렌징 아워'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4.03.12 246
125709 축구를 아니까 프랑스 사람 만나서 [3] daviddain 2024.03.11 183
125708 아카데미 역시 "오펜하이머"의 예상된 수상이군요 [1] 산호초2010 2024.03.11 341
125707 프레임드 #731 [2] Lunagazer 2024.03.11 50
125706 아이유 월드투어 콘서트 HER 후기 [4] 칼리토 2024.03.11 406
125705 방금 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의 인종차별 논란 말이죠... [23] Sonny 2024.03.11 1560
125704 96th Academy Awards Winners [2] 조성용 2024.03.11 356
125703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 [83] DJUNA 2024.03.11 1432
125702 [왓챠바낭] 일부러 못 만든 척 하는 그냥 못 만든 영화, '토마토 공격대' 잡담입니다 [9] 로이배티 2024.03.11 340
125701 Honest Trailers | The Oscars 2024 (Best Picture Nominees) 조성용 2024.03.11 113
125700 [넷플릭스] 젠틀맨, 더 시리즈! [2] S.S.S. 2024.03.10 309
125699 케빈 코스트너 나오는(?) 영화 두편 [2] dora 2024.03.10 239
125698 [스크린 채널] 호텔 뭄바이 [3] underground 2024.03.10 136
125697 보고 싶은 영화 "바튼 아카데미" [3] 산호초2010 2024.03.10 288
125696 프레임드 #730 [4] Lunagazer 2024.03.10 66
125695 44회 골든 라즈베리 시상식 수상 결과 [3] 모르나가 2024.03.10 349
125694 이런저런 일상잡담 [2] 메피스토 2024.03.10 148
125693 눈물의 여왕 1화를 보고 라인하르트012 2024.03.10 32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