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encountered after an event can influence subsequent remembering. External information can easily integrate into a witness’s memory, especially if the event was poorly encoded or the memory is from a distant event, in which case time and forgetting have degraded the original memory. 

(With reduced information available in memory )with which to confirm the validity of post-event misinformation, it is less likely that this new information will be rejected. Instead, especially when it fits the witness’s current thinking and can be used to create a story that makes sense to him or her, it may be integrated as part of the original experience. This process can be explicit (i.e., the witness knows it is happening), but it is often unconscious. That is, the witness might find himself or herself thinking about the event differently without awareness. Over time, the witness may not even know the source of information that led to the (new) memory. Sources of misinformation in forensic contexts can be encountered anywhere, from discussions with other witnesses to social media searches to multiple interviews with investigators or other legal professionals, and even in court.

해석: 

사건 후에 마주친 정보는 이후의 기억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사건이 불충분하게 부호화되었거나, 그 기억이 시간과 망각이 원래의 기억을 저하시켜 온 먼 사건으로부터 온 것이라면, 외부 정보는 목격자의 기억에 쉽게 통합될 수 있다. 사건 후의 잘못된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줄어든 정보를 가지면, 이 새로운 정보가 덜 거부될 듯하다. 대신에, 특히 그것이 목격자의 현재 생각과 맞고 그 또는 그녀에게 이해되는 하나의 이야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때, 그것은 원래 경험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사건 후에 마주친 정보는 이후의 기억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사건이 불충분하게 부호화되었거나, 그 기억이 시간과 망각이 원래의 기억을 저하시켜 온 먼 사건으로부터 온 것이라면, 외부 정보는 목격자의 기억에 쉽게 통합될 수 있다. 사건 후의 잘못된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줄어든 정보를 가지면, 이 새로운 정보가 덜 거부될 듯하다. 대신에, 특히 그것이 목격자의 현재 생각과 맞고 그 또는 그녀에게 이해되는 하나의 이야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때, 그것은 원래 경험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 이 과정은 명시적일 수 있지만(, 목격자는 그것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것은 흔히 무의식적이다. , 목격자는 의식하지 못한 채 그 사건에 대해 다르게 생각하는 그 자신 또는 그녀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격자는 (새로운) 기억으로 이끄는 정보의 출처조차 모를지도 모른다. 법정의 상황에서의 잘못된 정보의 출처는 다른 목격자들과의 토론에서부터 소셜 미디어 조사들, 수사관 또는 기타 법률 전문가들과의 다중 인터뷰들, 심지어 법정에서까지 어디에서나 마주쳐질 수 있다.

이 난해한 글을 논리적으로 요약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 가장 이해가 안되는 것은 굵은 글씨 부분입니다. "기억속의 이용가능한 줄어든 정보"란 도무지 무엇일까요? 사건 후의 잘못된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사건 후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있는 기억속의 줄어든 정보라는게 뭔 말인가요?

3. 유효성이 확인 될 때 이 새로운 정보(사건 후의 정보)는 왜 기억에서 거부될 가능성이 적은 것인가요?

   이제는 사건 후의 정보가 유효하다고 믿기 때문에?

4. instead는 거절되는 대신에라는 것이고, 유효성이 확인된 정보가 기억에 통합되는 상황을 instead이하가 설명하는 것일까요?


결론은 사실의 유효성을 검증하더라도 사건 후 정보에 의해서 기억이 왜곡된다는 것인데요.

유효성을 검증해도 사람들은 착각을 한다는 이야기인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4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4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99
126057 범도4 불호 후기 유스포 라인하르트012 2024.04.24 248
126056 오펜하이머 (2023) catgotmy 2024.04.24 115
126055 프레임드 #775 [2] Lunagazer 2024.04.24 52
126054 커피를 열흘 정도 먹어본 결과 [1] catgotmy 2024.04.24 245
126053 [넷플릭스바낭] 몸이 배배 꼬이는 3시간 30분. '베이비 레인디어' 잡담입니다 [7] 로이배티 2024.04.24 561
126052 프렝키 더 용 오퍼를 받을 바르셀로나 daviddain 2024.04.24 63
126051 넷플릭스 [미시즈 해리스 파리에 가다] 감상 [6] 영화처럼 2024.04.24 274
126050 "韓, 성인 문화에 보수적"…외신도 주목한 성인페스티벌 사태 [7] ND 2024.04.24 492
126049 오펜하이머를 보다가 catgotmy 2024.04.24 147
126048 프레임드 #774 [4] Lunagazer 2024.04.23 86
126047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5] 조성용 2024.04.23 1456
126046 잡담) 특별한 날이었는데 어느 사이 흐릿해져 버린 날 김전일 2024.04.23 179
126045 구로사와 기요시 신작 클라우드, 김태용 원더랜드 예고편 [2] 상수 2024.04.23 337
126044 혜리 kFC 광고 catgotmy 2024.04.23 272
126043 부끄러운 이야기 [2] DAIN 2024.04.23 423
126042 [티빙바낭] 뻔한데 의외로 알차고 괜찮습니다. '신체모음.zip' 잡담 [2] 로이배티 2024.04.23 359
126041 원래 안 보려다가 급속도로.. 라인하르트012 2024.04.22 276
126040 프레임드 #773 [4] Lunagazer 2024.04.22 72
126039 민희진 대표님... 왜그랬어요 ㅠㅠ [8] Sonny 2024.04.22 1560
126038 미니언즈 (2015) catgotmy 2024.04.22 9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