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책 소개

2024.03.14 20:22

thoma 조회 수:325

스트루가츠키 형제 작가의 [죽은 등산가의 호텔]

이분들 소설 세 번째로 읽어보려고 합니다. 제목 잘 짓는 거 같아요. 이 시리즈의 다음 작품 제목은 '월요일은 토요일에 시작된다' 네요.(이 무슨...섬찟하시죠 ㅋ)

얼마 전 글에 썼듯이 뒤렌마트의 소설 [약속]의 부제가 '추리소설에 부치는 진혼곡'이었습니다. 사실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죽은 등산가의 호텔]을 살펴 보는 중에 연관성이 있다는 걸 어딘가에서 봐서 뒤렌마트 [약속]을 먼저 읽은 것이었어요. 아래 책 띠지에도 있는 '또 하나의 임종 기도'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소설에 대한 추천 내용을 보다가 매우 동의하게 되는 게 있어 아래에 옮깁니다. 

'스트루가츠키 형제는 자신들이 공상적인 것의 사실주의자임을 증명해 보인다. 공상소설에서의 사실주의가 논리적 귀결에 대한 존중, 오로지 가정된 전제에서 모든 결론을 추론할 때의 성실함이라는 것을 고려하건대.' 

- 스타니스와프 렘 

가정된 전제하에서의 사실주의적인 성실한 추구,라는 매력이 이분들 소설을 다시 한 번 읽게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k632734608_1.jpg

하스미 시게히코 [범용한 예술가의 초상]

[영화의 맨살], [감독 오즈 야스지로]라는 책으로 접한 적이 있습니다. 앞의 책은 보았던 영화 위주로 드문드문 읽어서 완독한 책은 아니지만요.(확인해 보니 뒤의 책도 -_-;;) 

우리나라엔 영화 비평으로 주로 알려졌으나 문학비평가이기도 하고 불문학자라 합니다.

이번 책은 당대엔 활발한 출판인이자 예술가였다는 그러나 지금은 아는 사람이 많지 않은 인물이 된 막심 뒤 캉이라는 사람에 대한 작가론, 평전 종류 책입니다. 왜 어떤 예술가는 사후에 잊혀지는가,에 초점을 맞춘 것 같아요. 이 작가는 플로베르의 친구이기도 했다는데 플로베르의 유명세에 얹혀져서 이름이 전해질 때가 많답니다.

저자가 7년간 월간지에 발표한 글을 단행본으로 낸 책입니다. 책 소개에는 1000페이지 넘는 분량을 강조하고 있었는데 막상 도착한 책을 보니 그렇게 부담스럽지는 않은 벽돌책입니다. 말 그대로 의미에서 벽돌책인데, 아래 보시듯 책표지도 벽돌색이고 가로 세로 사이즈가 벽돌 크기이며 두께도 무게감도 손에 들면 손아귀에 묵직한 느낌으로 잡히는 책입니다.  요즘도 나오는지 모르겠으나 어릴 때 사용하던 에센스 영한사전 느낌이 나네요. 

저자가 자신의 많은 책 중 특별히 애정이 가는 책이라니 일단 소장하고 봅니다.

k952938903_1.jpg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 [사냥꾼의 수기]

'사냥꾼의 수기를 읽었다. 이제 글을 쓰기가 힘들어졌다.' 라고 누가 말했게요? 톨스토이입니다.

'루시에 골짜기와 여름밤이 존재하는 한, 도요새와 물떼새가 존재하는 한 투르게네프는 결코 잊히지 않을 것이다.' 라고는? 체호프입니다.

이 작가의 소설은 [첫사랑]을 읽은 것 같은데 오래 되어 내용이 잘 기억도 안 나네요. 이번 책이 첫 대면이라고 해야겠습니다. 

19세기 러시아의 다양한 계층의 인간들 일상이 연작단편으로 스물 다섯 편 묶인 완역이라고 합니다. 두껍습니다. 문학동네 세계문학시리즈인데 해설 포함해서 650페이지가 넘어요. 이종현 번역가가 쓴 해설 제목이 '행복한 이들도 멀리 떠나고 싶어한다'입니다. 어떤 맥락에서 나온 말인지 몰라도 일단 좋네요. 

8954698956_1.jpg

엔도 슈사쿠의 [사무라이]는 저번에 산 책 글에 썼었어요. 이번에 읽었습니다.

저는 [침묵] 보다 이 소설이 좋습니다. 원제를 '사무라이'로 번역한 것이 아쉽기도 하고 다른 좋은 표현이 저도 잘 생각이 안 나긴 합니다. 섬김, 모심, 시종....다 이상하네요. 

항해하는 내용이 나오지만 일부입니다. 미지의 세계를 밟아나가야 하는 사절단이 꾸려집니다. 지구의 절반을 횡단하는 내용이 분량상으론 많지만 여행과 모험이 주가 되는 이야기도 아니었어요.   

조금 상세하게 써 볼까 하다가 일단은 혹시 읽을 거리를 찾으시면 추천드리려고 새로 들인 책 밑에 붙입니다.

k142733548_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3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7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66
125946 '브레이크 댄스' 돌도끼 2024.04.10 95
125945 위화감 1도 없는 시구자들 daviddain 2024.04.10 190
125944 민주진영은 200석을 넘을수 있을까 분홍돼지 2024.04.10 296
125943 조커: 폴리 아 되 예고편 [1] 상수 2024.04.10 165
125942 [넷플릭스] '리플리', 인상적인 장면 몇 개 (스포일러 포함되었을지도) S.S.S. 2024.04.10 271
125941 [넷플릭스바낭] 고지라 말고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를 봤어요 [15] 로이배티 2024.04.09 265
125940 넷플릭스 찜한 리스트에 대해 catgotmy 2024.04.09 151
125939 스즈키 세이준의 3부작 보고 왔습니다. [6] Sonny 2024.04.09 292
125938 에피소드 #84 [2] Lunagazer 2024.04.09 44
125937 프레임드 #760 [4] Lunagazer 2024.04.09 195
125936 Roger Daltrey - Heaven on their minds daviddain 2024.04.09 70
125935 곰돌이 푸의 모험 (1977) catgotmy 2024.04.09 117
125934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2] 조성용 2024.04.09 377
125933 2024 백상 예술대상 후보 [1] 상수 2024.04.08 391
125932 프레임드 #759 [4] Lunagazer 2024.04.08 55
125931 사전투표하면... 민주당 지지자로 의심받습니다(??), 제 22대 투표용지 길이 상수 2024.04.08 321
125930 요즘 좋았던 예전 노래...들과, 태안여중 밴드부의 커버실력(케이온 실존) [1] 상수 2024.04.08 146
125929 우정과 정치색 [8] Sonny 2024.04.08 509
125928 네메시스 5 신상 돌도끼 2024.04.08 82
125927 [영화바낭] 현시점 기준 아마도 가장 존재감 없을 콩, '킹 콩(1976)'을 봤습니다 [13] 로이배티 2024.04.07 34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