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시 Twenty One Pilots 얘기를 꺼냅니다.

그냥 좋다는 말 말고 감상이 있어서 말하고 싶었어요.

곡이 마음에 들고 좋은데, 가사를 보니 확 마음에 와닿아서요.


가사: https://bit.ly/4cFfSRX


저의 지극히 주관적 감상이니 제 이해와 감상이 잘못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곡은 중반 이후까지 신나게 몰아치다가 마지막에 가서야 조용하고 잔잔한 분위기로 바뀝니다.

이것은 불안과 우울의 기분에서 어떤 깨달음으로 전환하였기 때문입니다.

확실하진 않지만 이 곡은 화자 자신의 경험과 깨달음에 관한 곡으로 보입니다.

 

I don’t want to be here. (가사 중 일부)

 

이러한 경험이 있었던 분들도 있을 겁니다. 가고 싶지 않은 자리, 모임, 학교에서의 괴롭힘, 직장에서의 괴롭힘 등 우울과 좋지 않은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그 모든 상황들 말이예요.

이 곡은 정신 건강의 여정에 관한 본인(화자)의 소회일 수 있을 겁니다.

화자는 충동을 느꼈고 도로에 뛰어드는 극단적 선택을 합니다. 하늘로 가고 싶은 기분을 표현합니다. (영상속에서도 도로로 뛰어든 화자의 모습이 나와요.)

I prayed those lights would take me home. (가사 중 일부)

 

그런데 운전자는 도로에 뛰어든 화자를 보고 화자에게 Hey, Kid, Get out of the road!라고 외칩니다.

운전자는 속도를 줄이고 창문을 열고 말합니다.

Can't change what you've done

Start fresh next semester

(가사가 여기에서 끝납니다.)

아마도 화자는 종국에는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삶을 지속하며 다음 학기를 이어나갈 것 같아요.

 

저는 화자가 정신적인 문제와 자살에 대해서 말할 때

나는 이것을 다 극복했고 내 삶은 거룩해. 너도 할 수 있어.’와 같은 접근 방식을 취하지 않는다는 점이 마음에 듭니다.

뻔한 말들, 공허한 외침처럼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화자와 마주앉아 자신의 경험을 털어놓고 공유하며 공감하고 위로하는 즉,

화자와 청자 간의 대화 같은 느낌입니다.

엄청난 위안과 위로를 받을 수 있었어요. (눈물 또르륵) (이런 점은 Pearl Jam을 연상시키기도 합니다.)

 

때로는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어두운 색조로 칠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는데

왜냐하면 인생이 꼭 어두운 부분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 동정을 불러일으키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를 해나가는 것은

어떻게 이겨내고 극복했는지에 대한 성찰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 곡을 들으면서 슬펐지만 한편으로는 점점 더 좋기도 하였습니다.

중간에 극단적 선택에 관한 부분이 충격으로 다가오면서도 결국엔 다음 학기를 새롭게 시작하라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요.

 

스스로 결론을 내려본다면, 힘냅시다. 다 잘 될 거예요. 살아남자고요.


영상 댓글에 이런 게 있더군요.


"can't change what you've done. Start fresh next semester" is the new "the sun will rise and we will try again"




이 곡을 접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보고 싶으시다면 영상의 댓글을 보셔도 좋고

https://www.reddit.com/r/twentyonepilots/comments/1bp353q/next_semester_deep_meaning/

이곳을 보셔도 좋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0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06
126075 프레임드 #777 [4] Lunagazer 2024.04.26 61
126074 "이처럼 사소한 것들"은 우리나라에서 개봉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2] 산호초2010 2024.04.26 327
126073 한화 이글스는/류현진선수의 스트판정 논란에대한 크보 입장입니다 [4] daviddain 2024.04.26 156
126072 낚시터에서 들은 요즘 고기가 안잡히는 이유 [2] ND 2024.04.26 416
126071 토렌트, 넷플릭스, 어중간하거나 명작인 영화들이 더이상 없는 이유 [2] catgotmy 2024.04.26 447
126070 [왓챠바낭] 전 이런 거 딱 싫어하는데요. '헌터 헌터' 잡담입니다 [5] 로이배티 2024.04.25 441
126069 에피소드 #86 [4] Lunagazer 2024.04.25 69
126068 프레임드 #776 [4] Lunagazer 2024.04.25 70
126067 ‘미친년’ vs ‘개저씨들‘ [1] soboo 2024.04.25 971
126066 Shohei Ohtani 'Grateful' for Dodgers for Showing Support Amid Ippei Mizuhara Probe daviddain 2024.04.25 61
126065 오아시스 Be Here Now를 듣다가 catgotmy 2024.04.25 121
126064 하이에나같은 인터넷의 익명성을 생각해본다 [2] 상수 2024.04.25 347
126063 민희진 사태, 창조성의 자본주의적 환산 [13] Sonny 2024.04.25 1450
126062 3일째 먹고 있는 늦은 아침 daviddain 2024.04.25 150
126061 치어리더 이주은 catgotmy 2024.04.25 238
126060 범죄도시4...망쳐버린 김치찌개(스포일러) 여은성 2024.04.25 422
126059 다코타 패닝 더 위처스, 난 엄청 창의적인 휴머니스트 뱀파이어가 될 거야(...), 악마와의 토크쇼 예고편 [3] 상수 2024.04.25 294
126058 요즘 듣는 걸그룹 노래 둘 상수 2024.04.24 191
126057 범도4 불호 후기 유스포 라인하르트012 2024.04.24 247
126056 오펜하이머 (2023) catgotmy 2024.04.24 11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