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추억(?)

2010.06.08 02:19

산호초2010 조회 수:3833

수학은 참 저한테는 참 특별한 존재죠.

인생을 약간 파란만장하게 해준 존재라고 할지.

 

새콤한 사과님 글을 읽다보니 제 과거가 확~ 떠오르네요.

 

수학 보통 못한다, 못한다해도 저처럼 거의 엽기적(?)으로 못한 사람들은

거의 보지 못했어요. 주변에서.

 

전 수능에서도 한 문제도 안풀고 그냥 보자마자 줄세워서 찍고 자버렸거든요. 5개 맞았던걸로 기억나네요.

 

물론 저 학생은 저보다 월등히 전체적으로 공부를 잘합니다. 수학도 저보다는 잘하네요.

고등학교 때 수학실력은 늘 20점 맞다가-2번으로 쭉 찍어서 4개 맞으면 딱 20점-

과외 몇 달 받고 시험범위 정석을 외우다시피 해서 55점을 받은게 최고점수였는데

그런 식으로 계속하면 다른 과목 공부할 시간이 없다는 생각에 포기해버렸어요.

외워서 내신까지는 조금 오른다쳐도 수능까지 좋은 결과가 나오지는 않더군요.

 

초등학교, 중1까지는 수학이 괜찮았어요. 웃긴게 중1때까지 우리 수학선생님이

문제를 교과서에서 정말 똑같이 거의 숫자도  아마 비슷하게 그런 식으로 냈기 때문에

그 때까지는 지장이 없었죠. 중 2 첫 시험에서 72점이 나왔어요. 계산 실수를 좀 많이 하고

시간이 부족하더군요. 그리고 엄마가 엄청나게 야단을 쳤고 전 많이 초조해지기 시작했죠.

 

중2 여름방학에 목표를 높게 잡아서 수학에 시간을 많이 쓰자 생각에

문제집을 엄청 많이 풀려고 했는데 그 때부터 슬럼프에 빠지기 시작했어요.

 

전 수학에 능력이 지극히 없었던거죠. 다른 과목에 비해서 너무 효율이 낮은거에요.

그런데 수학이라는게 포기할 수 있는 과목이 아니잖아요? 그 때만 해도 SKY가 목표였던 저한테는

수학 포기라는건 있을 수 없는 일이였는데 어쩌겠어요? 공부가 안되더라구요.

 

아마도 그런 압박감이 더 효율성을 떨어뜨렸던게 분명해요. 그 때부터 긴장성 두통에 2년동안 시달리게 되고

중3이 되었을 때는 수학은 28점이 되더라구요. 다른 과목들은 그 때 80~90점대였습니다.

 

그리고 고등학교에 갔을 때 만회해보려고 괴외도 몇번 해보았지만 늘 안되더군요.

이미 마음에 학습된 무기력감이랄까, 패배감이 가득했고 중학교 때보다 훨씬 어려워진 수학에

적응이 안되었죠.

 

우울증에 많이 시달리고 많이 괴로워했던 것들이 기억나네요.

 새벽에도 수학 문제집을 풀어보면서 나는 왜 안될까????  답지를 보지 않고는 한 문제도

내 손으로 풀 수가 없었거든요. 수학문제집에 떨어지던 절망의 눈물이 기억나네요.

학벌을 목숨처럼 생각하고 있던 그 당시에 자존감도 엄청 무너지고. 결국은 소위 명문대에 가지 못했고 수도권에 있는 4년제 대학,

 전공은 제가 원하던 과에 들어갔어요. 한참 뒤에 직업상 필요해서 대학을 다시 편입하긴 했지만요. (학벌때문에 편입한건 아닙니다.

그러기엔 저한테는 시간+경제적으로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는 일이었으니까요.)

 

수학이라는게 내 인생을 그렇게 쥐고 흔들었던 세월이 지금 와서는 억울해요.

그런 것에 휘둘렸던게 어리석다는 생각도 들고.

 

학벌은 우리나라에서 참 중요한 것이고 그 이후에 학벌 때문에 씁쓸한 대접을 받았던 시간들도 많았지만

그렇게 우울해하거나 자학하지 말고 그 때 조금 더 밝은 추억들이 내 청소년 시절에 많았더라면 좋았을 것을

나를 소중하게 생각했더라면 좋았을 것을 그런 후회.

 

* 그리고 궁금해요. 내가 수학 학습 장애였던 것인지, 노이로제가 심했던 것인지

   대충 둘 다였겠지 뭐. 이러지만 말이죠. 지금은 더하기 빼기라도 잘했으면 좋겠어요.

   여전히 숫자가 들어간건 쥐약이란 말이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01
110473 형이 오빠가 언니가 보다 더 오글거리는거 [15] carcass 2012.04.22 3833
110472 올훼이스의 창 유리우스는 어떤가요? [15] 안녕하세요 2012.10.21 3833
110471 마트 캐셔 아줌마가 앉거나 누워서 일하면 좋겠어요 [12] 바오밥 2013.05.21 3833
110470 김태원의 멘토스쿨이 1주만에 끝난건 왜그런거죠? [2] 국자형 2011.03.05 3833
110469 이거 듀나님 트위터 주소 맞나요?(황해 간단 언급 있네요.) [2] 자본주의의돼지 2010.12.20 3833
110468 저 밑에 여성들의 속물화에 대해서. [33] 디나 2011.05.13 3833
110467 인대가 늘어나면 아프군요. [2] 태시 2010.09.10 3833
110466 쿠엔틴 타란티노 베니스 사진 왕창 [12] Jekyll 2010.09.02 3833
110465 (바낭) 차 바꾼다고 여자가 생기남? [31] 새벽하늘 2013.08.14 3833
110464 여러 가지... [16] DJUNA 2010.08.18 3833
110463 우리동네 치킨집들...ㅎㅎㅎ [9] 화기치상 2010.08.14 3833
110462 다음에 천계영 DVD2가 연재되는 군요. [1] 쥬디 2010.08.08 3833
110461 운전 중 딴 짓 갑-,.- [17] Mk-2 2013.02.27 3833
110460 류현진 불쌍해요 [7] 감동 2010.06.22 3833
110459 신밧드의 모험 [2] 차가운 달 2010.06.09 3833
110458 [사진] 2010 제주 등불 축제 [8] 태시 2010.06.08 3833
110457 6월 개봉작 중 재밌는거 없나요? [14] 자두맛사탕 2010.06.06 3833
» 수학의 추억(?) [13] 산호초2010 2010.06.08 3833
110455 Unplayable(플레이 불가능) - 울티마4를 학생들에게 시켜본 이야기 [11] catgotmy 2015.01.29 3832
110454 올해 sm 사건 정리 [7] 감동 2014.10.14 383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