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게 영화상 투표도 이제 얼마 안남았습니다.
단 한표만 던진다는 게 참 힘든 결정이더군요.

어떤 부문에는 가장 훌륭하진 않아도 내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
어떤 부문에는 결점이 뚜렸한데도 응원하고 싶은 영화,
또 어떤 부문에서는 객관적으로 가장 잘만들었다 생각하는 영화...

음, 이렇게 적어놓보고니 완전 중구난방으로 투표를 했구만요.

투표 게시판에 한 표씩 던지다보니,
입이 근질근질해서 올려보는 나만의 2010 베스트.




2010년 영화 베스트.



예언자
그을린
허트로커
클래스
엉클분미
경계도시2
괴물들이 사는 나라
용문신을 한 소녀 (스웨덴판) {전형적인 "남들이 못 본 영화 나는 극장서 봤다고 자랑하는 경우"}
여행 (배창호 감독) {전형적인 "이건 내가 좋아하는 감독 작품이니 당신들이 까든 말든 난 모르겠다고 배째는 경우"}



여기에 넣을까 말까했던 12편
드래곤 길들이기, 인디에어, 소셜 네트워크, 셔터아일랜드, 
승리, 테트로, 하얀리본, 토이스토리3, 
인셉션, 우리 의사 선생님, 꼬마 니콜라, 그리고 무법자 (영웅본색 리메이크한 그 영화 말고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본 알제리 독립 갱스터영화)



나 아직 안봤는데 만일 봤으면 이 목록에 포함시켰을 것 같은 영화들.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 나다에서 볼 예정. 하지만 해를 넘기겠네요.

오션스 - 그놈의 빵꾸똥꾸 더빙만 아니면 극장에서 봤을텐데...

유령작가 - 이 영화 꼭 보라고 추천한 바로 그 사람 일 도와주다가 극장에서 놓쳤다는.




올해 너무 과소평가받았다고 생각하는 영화들:

이층의 악당 - 다시금 말하지만 이 영화는 망하지 말았어야 합니다.

울프맨 - 이 영화가 어디가 어때서! 곰돌이같은 안소니 홉킨스 옹만으로도 낄낄대며 즐길 수 있었다구요! 

꼬마 니콜라 - 원작을 말아먹었다는 평가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저는 이 영화를 보는 내내 원작의 향수 속에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다만 니콜라 아빠가 대머리라는 건 여전히 원작 파괴라고 생각.

아웃레이지 - 평론가들이 폭탄을 줄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기타노 다케시에 대한 기대치가 워낙 높았기 때문인지도.

여행 - 종종 나이브한 부분도 있었지만, 제작 환경의 제약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편안하고 즐거운 영화. 
특히 엄마를 찾는 소녀의 챕터가 저는 가장 좋았습니다. 
디지털이 아닌 필름 촬영, 또는 요즘 나온 더 비싸고 좋은 카메라로 촬영했다면 더 좋았겠지만요.





2010년 워스트

황해 - 영화 외적인 건 그렇다치죠. 전 영화 자체에도 실망했습니다. 
높은 평을 주신 분들이 어느 부분을 좋게 보신 건지는 알겠는데, 전 그 부분들에 전혀 동의할 수 없어요. 
의도를 하나도 못살렸고 2부 초반부 빼고는 지루할 뿐이었습니다.

카페느와르 - 다양성과 작가주의라는 측면에서는 이 영화가 지나치게 비판받는 걸 원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지금같은 일관된 호평은 어리둥절합니다. 정말 이게 최선이라고들 생각하는 건지.

타인의 뒷뜰 - 대체 왜 이 내용없는 영화가 왜 전 세계 영화제를 계속 돌고 있는 건지 이해불가. 
그리고 dv처럼 찍을 거면 그 비싼 레드 카메라 쓰지 말란 말이야.

그린존 - 의도는 좋을지 모르죠. 아직도 대량살상무기를 믿는 일반 대중들에게 사실을 폭로하겠다! 
아아, 의도만 좋으면 뭘합니까. 처음부터 끝까지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이 영화는 
결국 본 시리즈의 열화 짝퉁으로 전락해버렸고, 열심히 연기한 배우들만 아쉽습니다.

킥애스 - 전 이 영화가 전혀 통쾌하지 않습니다. 액션 장면들은 밋밋했고, 
이 영화에 장점이 있다면 원작에서 가져온 설정들이 다일 뿐이었습니다.

프롬 파리 위드 러브 - 너무나 뻔뻔할 정도로 대충만든 이 영화는 상영시간 내내 지루하진 않았지만, 
그렇다고 tv시리즈 파일럿같은 이 영화를 옹호해줄 수는 없죠. 
그나마 흑인 백인 동양인 아랍인 프랑스인 미국인 골고루 빼먹지 않고 까댄 건 칭찬해줄만합니다. 
적어도 전작 테이큰처럼 불편하진 않았으니까요.

스카이라인 - 이 영화를 빼놓을 수 있겠습니까. 
물론 재미있는 장면도 있었고, 엔딩은 소문만큼 끔찍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소문만큼이나 어이없긴 하더군요.) 
하지만 상도덕 무시하고 남의 영화 컨셉 빼온 주제에 겨우 이렇게 만들어서 낚시질이라니. 
이 사람들 앞으로 어떻게 일하려는 걸까요?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