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0아시아 연휴특집입니다. http://10.asiae.co.kr/

 

 

보자마자 원빈 카테고리를 눌렀는데 안 나오네요. 현빈도 아직 안 떴어요.

 

새로운 기사들일까요, 아니면 예전 기사들의 링크 모음집일까요. 어쩐지 예전 기사 모음집 같지만.. 또 모르죠. 기대를 +_+

 

 

 

 

2.

 

미네르바 사태(???)가 났을 때, 사실 저는 미네르바가 쓴 글이며, 미네르바 팬들과 중립에서 관찰하는 사람들과 반대파 사람들의 글들을 전혀 읽지 않았습니다. 처음에는 시간이 없었고, 나중에는 너무 사태가 진전되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랐기 때문이죠. (얼마전 타진요 사건도 비슷..) 그래서 미네르바의 경제적 통찰력이 어떠했는지, 그가 어떤 수준이었는지에 대한 '저 나름의 판단'이 부재합니다. 여기 저기 많았던 말들 중 일부는 우연치 않게 접하기는 했지만, 제가 그의 글을 직접 읽어보지 못하고, 당시 돌아가는 상황을 참관하지 못한 상황에서 덜컥 믿고 싶지는 않았어요. 그런데 리얼타임 사건들이 지나가고 나니 관련 인터넷 글들도 사라져서, 찾아 읽지 않는 이상 그 분 글을 접하기 힘들게 되었죠. 그래서 지금까지 못 읽었습니다. 

 

그런데 방금 막 교보문고 e-book 어플을 받아 깔다가 , <인터넷 경제 대통령 미네르바의 2011 경제 대전망>이라는 책이 겨우 1000원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헐... 가격 좀 봐 사 말아 고민하고 있는데, 바로 밑에 보니 2009년에 나온 <미네르바의 생존 경제학> 이란 책도 있더군요. 평들도 보니 상당히 좋고...두 권 다 e-book을 질러? 아니면 서점 가서 확인 해보고 사? 고민 중입니다..

 

사실 1000원 내고 2011년 분석 책 부터 사 보고, 괜찮으면 뒤에 것을 사도 되지만..그래도 갑자기 궁금해지기도 해서 질문 드려봅니다.

 

미네르바의 경제 분석은 어떤가요. 그 분의 글은 돈 내고 책 사서 꾸준히 따라가며 읽을 만 한가요?

 

 음...제가 좋아하는 경제쪽 글은...사실 국내 저자 글은 없는 것 같아요. 폴 크루그먼 스티글리츠 책들은 간간히 따라가며 읽는 편인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히트를 치고 계시는 장하준 교수님 책만 해도 출간 된 것들을 다 사 놓기는 했는데 (;;;;) 계속 안 읽고 있거든요. 이번에 나온 <...23가지..>는 몇 꼭지는 읽기 시작했습니다만. (괜찮더군요.) 시골의사? 이 분 책도 사 놓기만 하고 안 읽었어요.

 

갑자기 미네르바 관련 책에 관심을 가진 것은, 제테크를 다시 시작하려고 생각하고 모네타에서 적금 금리를 찍어보며 놀다가 '금리 앞으로 오르는 추세인건가? 인플레가 쭉 되니까 오르기는 해야 할텐데...' 머리 굴리는데, 요 근래 경제에 대해 제가 아는 것이 정말 단 한 가지도 없다는 끔찍한 사실을 깨달았어요. 덕분에 큰 충격을 먹고 이코노미스트와 관련 경제 서적들을 다시 읽어치우기 시작하려고 급 다짐. 그러다가 미네르바 책이 눈에 띈거에요.

 

어떤가요 미네르바님의 글은?

 

 

 

 

 

3.

 

순전히 아이콘 누르는게 재미있다는 이유로 그나마 잘 유지 중인 KB스마트폰 적금은, 남을 추천해서 끌어들이면 내 적금의 이율이 올라가는 피라미드 구성입니다. (그래봤자 2명이 한도에요. 한 명당 + 0.1%)  그래서 동생녀석의 스마트폰을 뺏어서 적금 가입을 해서 제 추천번호를 추천한 후 바로 해지를 하려고 뽀시락대니까, 동생이 아주 귀찮아 하더군요.  (테라를 하다가 때려치고 WOW로 복귀하여 만랩을 향해 달리는 와중이었음 -_-)

 

'얼마나 오르는데 이자'

 

'너 하면 +0.1%'

 

'아 뭐야. 그거 해 봤자 1000만원에 1만원이잖아. 내가 줄께 만원.'

 

갑자기 머리가 땡..한 거에요. 1000만원 적금이면 (제 기준에서는) 작은 돈이 아닌데, 그런데 겨우(??) 만원... 아침에 제대로 일어나서 지각택시만 안 타도, 커피전문점에 가는걸 두어번만 줄여도, 쓸데 없는 귀고리며 바르지도 않을 전시용 립스틱만 하나 안 사도, 결정적으로 심심하면 사먹는 과자, 빵 서너번만 덜 사먹어도 가뿐히 커버가 되는 돈이었어요.

 

결국 이자고 투자수익이고, 지가 아무리 해봤자 쓸 돈 안 쓰는 것이 최고였어요. 바보같이 적금 이자율 조금이라도 높은거 찾는 답시고 인터넷 사이트에서 허송세월 하지 말고, 펑펑 새고 있는 돈 부터 확실히 틀어막고, 기타 소비 억제를 제대로 해야 했던 거에요. 머리로만 알고 있던 이 사실이 정말 제 피부로 느껴지는 경험이었어요. 1000만원에 겨우 1만원 이자..

 

덕분에 정말 제 지출 상황 부터 정리를 해야 겠다 다짐했습니다. 다행히, 가계부를 한 달 동안 꾸준히 썼거든요. 생각 보다 쓰는 돈이 많아서 가계부 그만 접고 싶은 무의식적 꼬드김에 무던히도 흔들렸는데, 그래도 꾸역꾸역 한 달 간 쓰길 참 잘했어요. 그래서 1월달 가계부 결산페이지를 오픈하니...헐...제 (형편없는) 지출 습관을 너무 적나라하게 보게 되었어요. 반성 정말 많이 했어요.

 

우선 일주일에 서너번 밖에 읽지 않는 신문들부터 싹 정리를.  패션잡지도 이젠 안녕. 에이..한달에 5000원인데 뭘~ 하고 많이 안 읽어도 가볍게 생각하고 샀는데, 알고 보니 니들 몸 값 하나가 1000만원짜리 적금 +0.05% 이자였어. 그걸 12개월 해봐. 헐..  잘 들어가지도 않는 멜론 사이트 해지를 해버려 말아.. 책도 제발 그만 사야겠어요 (과연?)  어지간한 책은 주말에 서점가서 다 읽고 와야지 -_ㅠ 결정적인건 화장품. 가계부 보고 놀랐어요. 화장품에 돈 왜 이리 많이 쓰는지 ㄷㄷㄷ (6개월치 한꺼번에 사는 타이밍이긴 했지만;;) 그런 주제에 화장품 쓰기는 왜 그렇게 펑펑 쓴겐지. 한 번 펌핑할 때 마다 돈이 몇 백원이여. ㅠㅠ  앞으로 아껴써주마!!!!  커피숍도..음, 요새는 잘 안가는군.  간식도 소식하기로 했으니 확 줄테고.

 

젊어지고 오래 사는 데다가 살도 빠지고 심지어 돈 까지 아끼다니... 역시 소식이 진리인 듯...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4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3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73
79 교내폭력과 교사 [2] catgotmy 2011.07.17 1075
78 성시경이 김윤아에게 귀여운 표정을 지어보라고 하자.. [20] catgotmy 2011.07.27 6112
77 [무더위바낭] 아이폰 3Gs 너무 하네요 ㅠㅜ [10] kiwiphobic 2011.08.05 2368
76 요즘 레몬물을 먹어요. [3] Hello, Starling? 2011.08.12 3164
75 [무상급식] 이건 복지정책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존엄성의 문제 같습니다. [7] soboo 2011.08.23 1595
74 이애를 어디서 봤드라 [3] 가끔영화 2011.08.30 1667
73 요즘 이만큼 길게 만든 한국영화 뭐 있을까요 [5] 가끔영화 2011.09.09 1162
72 [기사] MB, 우리는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권 [6] 각개격파 2011.09.30 1923
71 메피스토님은 제게 철수를 소개시켜주시면 안 되는 거였습니다 [13] 13인의아해 2011.10.14 3745
70 [오타] 졸지에 19금 노래가 되어 버린 노래 제목 [2] espiritu 2011.10.22 2542
69 밑도 끝도 없이 던져 봅니다. '안철수 대통령'을 보고 처음 생각나는 단어나 말은? [3] chobo 2011.10.27 1515
68 (펌) 꼼수 크래프트 - 제4편 새로운 희망 (A New Hope) [1] 걍태공 2011.10.30 1819
67 기억 [6] HardCore 2011.11.14 1143
66 탐욕과 어리석음으로 몰락한 한 중국 음식점 이야기 [3] 걍태공 2011.11.21 1947
65 내년부턴 자대가서 예비군 훈련 받으시오! [6] chobo 2011.11.23 2231
64 난 가장 좋은 것 같은 프로 [2] 가끔영화 2011.12.18 1624
63 문부식은 왜 그랬을까 [8] 푸네스 2011.12.31 1833
62 바낭2)혹시 게시판 댓글 달기가 정상화 된 다음 안달리니까 막 써놓은게 [2] 가끔영화 2012.01.01 970
61 진중권은 커버 범위가 너무 넓은듯 [11] catgotmy 2012.01.08 2304
60 청와대의 자신감, “대통령과 관련된 대형 권력형 비리가 나온 것도 아니고, 현 정부의 주요 정책들이 실패했다고 단정할 수도 없다” [6] chobo 2012.01.19 178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