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인정이라는 가혹하고 희귀한 복권에 제 운명을 맡기지 말고 자기 소명을 찾으시라."


 전 이부분이었어요.

 이거.... 딱히 예술가들에게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닐 것입니다.

 

 디자인쟁이들도 결국 타인(소비자, 클라이언트)의 인정을 받아야 먹고 살 수 있고

 (다만 그 인정이 어느정도 체계화되어 있어서 예술가들보다 미니멈이 높고 예측가능성이 어느정도 있다는 차이는 있지만)

 회사원들도 마찬가지죠.


 그런데 예술가들에게는 그게 자신의 노력만으로 분명히 성취핳 어떤 보장이 없으니 '복권'이란 표현이 얼마나 적절한지!



 한편, 해외에서 활동하다가 얼마전 귀국(한국으로)한 제 친구가 이야기한 것이 떠 오르더군요.


 " 그 나라의 모든 동료, 친구들은 항상 작품이 하나 완성될 때마다 이렇게 묻는다. [이번 작품 마음에 드니?]

   그리고 그 동료들과 친구들은 다른 작가들의 근황을 전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모모가 이번 자기 작품이 정말 마음에 든데!!! 아주 입이 귀에 걸렸더라구. 정말 다행이야!]

   그런데 한국에 오면 모든 이들이 나에게 이렇게 묻는다 [평이 좋아?]"


  복권에 자기 운명을 맡기기 보다 '자기 소명'을 찾으라....는 말의 깊이를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교양머리가 저에게 있어서 다행이에요.



 전 디자이너 교육시간에 늘 입이 닳도록 해주는 이야기가 있어요.

 "디자이너는 예술가가 아니다. 예술가는 자기 스스로의 만족이 제1순위지만 디자이너는 구체적인 클라이언트, 소비자의 만족이 제1순위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해석하면 예술가는 자칫 한걸음만 잘못 딛어도 예술가로서의 자기정체성을 잃게 될 수도 있다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0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18
106877 니콜라스 홀트가 브라이언 싱어의 신작 [Jack the Giant Killer]에 출연하네요. [7] 보쿠리코 2011.02.12 2880
106876 씨씨 스페이식이 매력적으로 나온 영화는 뭐가 있나요?? [7] bighug 2011.02.12 2250
106875 현대판 계급표라는데, 풍자가 아니고 진심을 담은거라면 섬뜩합니다 [36] amenic 2011.02.12 7824
106874 영화 감독의 능력은 [2] 가끔영화 2011.02.12 2975
106873 지상에서 영원으로 재밌나요? [9] 자두맛사탕 2011.02.12 1995
106872 페이지가 넘어가 버렸네요. [용의 이]요... 그리고 다른 것들... [2] DJUNA 2011.02.12 1755
106871 축구 선수들 골 세레머니 할 때 섹시하지 않나요? [12] 푸른새벽 2011.02.12 2761
106870 케이블에서 보드워크 엠파이어 시작했네요.마티 영감님이 만드신.(냉무) 8월 2011.02.12 1400
106869 2011년 지산과 부산. [11] 교집합 2011.02.12 2845
106868 보고 싶은 유명인들을 꿈에서 잘 만나요. ^^ [5] 스위트블랙 2011.02.12 1891
106867 호불호가 갈리는 영화, 호불호가 분명한데도 나는 반대쪽인 영화 [19] 스위트블랙 2011.02.12 3031
106866 분당녀 이엘 , 조성하 [9] 무비스타 2011.02.13 8961
106865 [시국좌담회] 주제에 관심있으신 분들이라면 누구나 참석하시면 됩니다. 어려운 자리 아닙니다. [8] nishi 2011.02.13 1885
106864 후배에게 책을 사주는 선배 [17] loving_rabbit 2011.02.13 4802
106863 미국 시트콤 추천이요 아님 모던패밀리 같은 웃으면서 보는 미드 추천 좀 해주세요~ [11] 냉방탐험 2011.02.13 6591
106862 여러 가지... [7] DJUNA 2011.02.13 3264
106861 타르트를 처음 먹어봤어요! [6] 우잘라 2011.02.13 3321
106860 박노자씨는 확실히 구 소비에트 연방 시절에 초.중등 교육을 받은 한계가 있는 것 같아요 [20] amenic 2011.02.13 5482
106859 코레일 내일로 여행 가려는데, 좋았던 곳이 있으신가요? 맥씨 2011.02.13 1500
» 아래 김영하 작가의 글 중에서 인상 깊었던 구절 [5] soboo 2011.02.13 3908
XE Login